재무와 차트

반응형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상태나 경영성과 등을 보여주는 문서이며 기업의 성과 등을 파악하기 위해 내부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상장기업의 경우 매년 결산기에 일반 대중에게 공개하게 되어있습니다. 대부분 상장된 기업에 투자하기 때문에 증권사의 HTS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키움증권의 영웅문4은 0919번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로 구성이 됩니다.재무상태표는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작성되며 , 나머지는 일정기간을 기준으로 작성됩니다.

 

 

 

1. 재무제표 -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에서는 자산과 자본, 부채를 볼 수 있습니다. 자산은 자본과 부채의 합입니다.

 

삼성전자 재무상태표

 

 

 

저 같은 경우에는 재무비율을 통해 안정성을 판단합니다. 재무비율 중 유동비율과 부채비율과 유보율을 챙겨봅니다. 키움증권의 기업분석 - 재무비율 화면에서 유동비율, 부채비율과 유보율도 볼 수 있습니다. 유동비율이 낮고 부채비율이 높고 유보율이 낮다면 안정성이 부족한 회사라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유동비율이 높고 부채비율이 낮으며 유보율이 높다면 안정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재무비율 안정성

 

 

 

2. 포괄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에서는 매출과 이익에 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매출의 증가량이나 순이익의 증가량 등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매출과 순이익의 증가성을 통해 회사의 성장성을 판단하게 됩니다. 적자를 계속 기록하고 있다면 조심해야 하며 4년 연속 영업손실을 기록한다면 상장폐지 사유가 될 수 있으므로 4년 이상 연속으로 영업손실을 기록한 회사가 있다면 투자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삼성전자 포괄손익계산서
삼성전자 포괄손익계산서

 

 

 

 

 

3.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란 한 회계기간 동안 자기 자본 총액의 변동내역을 보여주는 지표로 자본금 ,자본조정,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변동을 알 수 있습니다. 키움증권에서는 따로 자본변동표만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자본의 변동 중 투자자가 유의 깊게 봐야 할 부분은  증자와 감자 배당, 대주주의 지분 정도이며 대부분 공시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증자와 감자는 형태와 이유에 따라 호재와 악재가 될 수 있으며 배당이 높은지 낮은지 대주주 지분이 높은지 낮은지 등을 공시를 통해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배당을 통한 수익이 생긴다면 좋을 수 있지만 너무 높다면 투자를 덜 하는 저성장 기업일 수 있으며 대주주 지분이 너무 낮다면 오너리스크가 생길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자본변동
삼성전자 자본변동

 

 

 

4.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는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 별로 기업의 일정기간 동안의 현금성 자산의 변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재무제표를 말합니다. 현금흐름표에서는 투자활동의 비용을 통해 회사의 성장 의지를 확인합니다. 그 외에도 전체적인 현금흐름을 통해 기업의 흐름을 볼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현금흐름표
삼성전자 현금흐름표

 

 

 

재무제표를 보는 관점

재무제표에서 사람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다를 수 있으며 업종에 따라 관점을 달리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또 재무제표는 과거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현재의 기업을 잘 나타내 주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회사의 과거를 참고하여 미래를 가늠해 볼 수는 있습니다. 단기적인 기업 성과에 흔들리기보다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용도로 재무제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