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4년 국제무역을 전문으로 하는 금성산업라는 이름으로 설립됨. 1975년에 쌍용으로 상호가 변경되었고, 2009년 7월에 GS로 대주주가 변경되며 현재의 상호를 사용함. 철강, 석유화학, 에너지 등의 무역/유통, 수입차 PDI, 특장차 제조 등 물류부문, 정유, 석유화학 플랜트 및 복합화력발전 설비의 제조, 개발 및 신사업 등 총 4개의 사업을 영위함. 트레이딩 사업은 소비재 보다는 철강, 석유화학 등 산업재 비중이 높음.
GS글로벌 실적
코로나19의 영향에서 점차 벗어나 세계경기가 회복세로 접어들고 국제 원자재 가격이 가파르게 오른 영향으로 2022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31.7% 증가함. 트레이딩 부문의 수익성 확대 및 헬스케어 등 신사업 부문의 실적 호조로 영업이익도 큰 폭으로 늘어남. 물류 부문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부족으로 인한 수입차 공급 물량 감소로, 제조 부문은 플랜트 업황 경색 및 수주 급감,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실적이 위축됨.
2. 종합상사 관련주 - LX인터내셔널(001120)
LX인터내셔널 개요
1953년 설립되었으며, 사업부문은 자원, Trading/신성장, 물류로 구분됨. 자원부문은 광물자원에 대한 투자 및 팜농장 운영 사업임. 2차전지 원료인 니켈 광산에 대한 투자를 검토 중임. Trading/신성장 부문은 자원, 소재 및 IT부품 트레이딩과 신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투자사업임. 물류 부문은 위탁 화물을 국제운송 주선 및 중개하는 포워딩 사업과 물류센터의 운영 및 내륙운송의 관리를 대행하는 W&D사업으로 구성됨.
LX인터내셔널 실적
2022년 자원 시황 개선과 트레이딩 물량 증가, 물류 운임 및 환율 상승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하며 양호한 실적을 기록함. 니켈 등 2차 전지 전략광물과 신재생 발전을 전략육성 사업으로 선정함. 인도네시아 내 복수의 니켈 광산을 대상으로 투자를 검토 중임. 2022년 10월 포승그린파워, 2023년 1월 한국유리공업의 인수를 마무리하는 등 M&A를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음.
3. 종합상사 관련주 - SK네트웍스(001740)
SK네트웍스 개요
1953년 직물 분야로 출발, 현재는 Global Trading, 휴대폰을 중심으로 한 정보통신유통, 렌터카·정비 중심의 Mobility 서비스, 호텔 서비스, 생활가전 등 다양한 사업들을 영위함. 주요 브랜드로는 SK매직, SK렌터카, 타이어픽, 워커힐 등이 있으며, 최근 사업형 투자회사로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만들어 가고 있음. Trading 분야에서는 2021년 철강 사업을 종료한 후 화학 산업재 중심으로 사업 영역을 조정함.
SK네트웍스 실적
SK렌터카, SK매직 등 렌탈 자회사의 성장은 지속되고 있으나, 정보통신 사업부의 단말기 판매 감소와 철강사업 철수 등으로 인해 2022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12.3% 감소함. 영업이익의 경우 중고차 매각이익 증가 및 COVID-19 엔데믹 영향으로 호텔 사업부 실적이 개선되어 322억원 증가함. SK렌터카는 장기렌터카 고객 증가와 중고차 매각 호조로, 스피드메이트는 수입차 부품사업 활성화, 방문정비 증가를 통해 실적이 개선됨.
4. 종합상사 관련주 - 삼성물산(028260)
삼성물산 개요
동사는 1938년 설립되었으며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을 합병하였음 . 건설/상사/패션/리조트/급식·식자재유통/바이오 산업을아우르는 Global Business Partner 및 Lifestyle Innovator로 더욱 성장해나가고 있음. 매출비중은 21년말 하반기 기준 건설부문 32%, 상사부문 50%, 패션부문 4.5%, 리조트부문 1.5%, 급식/식자재유통 6.7%, 바이오부문 4.1%을 차지
삼성물산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3% 증가, 영업이익은 111.4% 증가, 당기순이익은 25% 증가. 전 사업 영역에 걸친 매출 확대 및 이익 성장세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크게 성장하였음. 원가 및 비용 상승에도 불구하고 큰 영업이익을 기록하였음.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등 급변하는 사업환경에서도, 사업별 경쟁력 및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기반으로 실적 성장세 지속.
5. 종합상사 관련주 -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
포스코인터내셔널 개요
2000년 12월 대우의 무역부문의 인적분할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2010년 8월 포스코가 한국자산관리공사 등으로부터 지분 68.2%를 취득하여 최대주주가 됨. 2020년 철강 가공사업을 물적 분할함. 2023년 1월 LNG사업 밸류체인 완성을 위해 포스코에너지를 흡수합병함. 무역업을 중심으로 자원개발, 인프라 개발·운용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철강, 곡물, 화학, 이차전지소재, 친환경차부품, 천연가스 등이 주요 품목임.
포스코인터내셔널 실적
에너지부문에서 전사 이익의 절반 이상을 창출함. 특히 미얀마, 호주 세넥스 등 해외 가스전을 안정적으로 운영해 자원개발사업에서만 약 370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둠. 상사부문에서는 포스코제 철강 판매량이 최초로 천만 톤을 돌파했으며, 해외 무역 자회사의 실적호조에 따라 트레이딩 사업에서 영업이익 3000억원을 창출함. 팜유 판매증가와 가격상승, 유연탄가격 상승, 구동모터코아 판매물량 확대 등으로 상사부문 투자 자회사 이익도 증가함.
6. 종합상사 관련주 - 현대코퍼레이션(011760)
현대코퍼레이션 개요
1976년 설립된 동사는 자동차, 철강, 화학제품 및 플랜트 등의 제품을 수출입하는 종합상사임. 2016년 공정위의 승인으로 현대중공업 기업집단으로부터 계열 분리됨. 철강, 승용부품, 상용에너지, 기계선박, 석유화학, 기타(자원개발) 등 6개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사업부문은 수출입업, 삼국간 무역 및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영위함. 2015년 10월 브랜드/신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를 설립함.
현대코퍼레이션 실적
팬데믹 후 거래 정상화와 환율 상승에 따라 2022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늘어남. 완성차 수요 증가의 영향을 받은 승용부품 부문과 글로벌 물동량 회복으로 벙커링 매출이 크게 늘어난 석유화학 부문의 이익 증가세가 두드러짐. 상용에너지 부문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주요 거점 시장의 수요가 위축되고 Fleet Deal 실적도 감소함에 따라 매출액은 줄고 영업이익은 적자를 기록함.
7. 종합상사 관련주 - 효성티앤씨(298020)
효성티앤씨 개요
동사는 2018년 6월 1일을 주식회사 효성에서 인적분할되어 섬유/무역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음. 섬유 부문의 주요 제품은 스판덱스, 나일론원사, 폴리에스터원사, PTMG 등 이고, 무역 등 부문의 주요 사업내용은 철강 및 화학제품의 Trading이며, 그 외 주요 제품으로는 NF3, 타이어보강재 등이 있음. 특히 스판덱스는 아시아, 유럽, 미주 지역을 아우르는 글로벌 생산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며, MS 세계 1위를 지키고 있음.
효성티앤씨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 증가, 영업이익은 91.3% 감소, 당기순이익은 98.5% 감소. 글로벌 스판덱스 수요 감소 및 공급물량 증가에 따른 스프레드 악화로 수익성 하락, 수요 회복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증설투자를 지속하면서 차입금은 증가 2022년 3분기를 저점으로 하여 영업실적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2023년 이익 증가가 예상, 주요 설비 증설 완료로 투자 관련 차입금은 감소할 예정.
종합상사 관련 이슈
종합상사는 다양한 산업과 업종에 걸쳐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1. 경기 회복: 경기가 회복되고 경제적인 활동이 활발해지면 종합상사의 다양한 사업 부문들도 회복할 수 있습니다. 경기 회복은 수요 증가, 판매 증가, 수익 상승 등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2. 산업 성장과 새로운 시장 기회: 특정 산업이 성장하거나 새로운 시장 기회가 개척되는 경우, 종합상사는 다양한 사업 부문에서 이러한 성장과 기회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기술 산업의 성장이나 신 에너지 시장의 개척과 같은 분야에서 호재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인수합병과 사업 다각화: 종합상사는 다양한 업종에 걸쳐 사업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에 인수합병이나 사업 다각화를 통해 새로운 사업 영역을 개척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인수합병이나 사업 다각화 전략은 종합상사의 사업 영역을 확장시키고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4. 글로벌 시장 개척: 종합상사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사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해외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진출과 수출 확대는 종합상사에게 호재가 될 수 있습니다.
5. 혁신과 기술 개발: 혁신과 기술 개발은 종합상사에게 경쟁력과 차별화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의 개발, 기술 혁신을 통한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 등은 종합상사의 성장과 수익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