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2004년 7월 LG를 인적 분할하여 설립된 지주회사로서, 자회사로 GS에너지, GS리테일, GS스포츠, GS이피에스, GS글로벌, GS이앤알 등이 있음. 사업부문은 가스전력사업, 유통, 무역, 투자 및 기타(호텔업, 프로축구 등)으로 구분됨. 주식의 장부가액이 자산총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자회사로 GS에너지(주), (주)GS리테일 2개사가 있음.
GS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7% 증가, 영업이익은 88.8% 증가, 당기순이익은 47.9% 증가. 정유부문의 경우 글로벌 공급망 교란과 석유수요 회복에 따라 정제마진이 급등했고 유가상승에 따라 재고평가 이익도 증가하여 실적이 개선됨. GS리테일은 GS홈쇼핑 흡수합병과 편의점 신규 출점에 따라 전년대비 매출 16% 증가, 당기순이익은 염가매수차익 기저효과와 투자자산평가손실 등으로 전년대비 94% 감소.
2. 자원개발 관련주 - GS글로벌(001250)
GS글로벌 개요
1954년 국제무역을 전문으로 하는 금성산업라는 이름으로 설립됨. 1975년에 쌍용으로 상호가 변경되었고, 2009년 7월에 GS로 대주주가 변경되며 현재의 상호를 사용함. 철강, 석유화학, 에너지 등의 무역/유통, 수입차 PDI, 특장차 제조 등 물류부문, 정유, 석유화학 플랜트 및 복합화력발전 설비의 제조, 개발 및 신사업 등 총 4개의 사업을 영위함. 트레이딩 사업은 소비재 보다는 철강, 석유화학 등 산업재 비중이 높음.
GS글로벌 실적
코로나19의 영향에서 점차 벗어나 세계경기가 회복세로 접어들고 국제 원자재 가격이 가파르게 오른 영향으로 2022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31.7% 증가함. 트레이딩 부문의 수익성 확대 및 헬스케어 등 신사업 부문의 실적 호조로 영업이익도 큰 폭으로 늘어남. 물류 부문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부족으로 인한 수입차 공급 물량 감소로, 제조 부문은 플랜트 업황 경색 및 수주 급감,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실적이 위축됨.
3. 자원개발 관련주 - LX인터내셔널(001120)
LX인터내셔널 개요
1953년 설립되었으며, 사업부문은 자원, Trading/신성장, 물류로 구분됨. 자원부문은 광물자원에 대한 투자 및 팜농장 운영 사업임. 2차전지 원료인 니켈 광산에 대한 투자를 검토 중임. Trading/신성장 부문은 자원, 소재 및 IT부품 트레이딩과 신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투자사업임. 물류 부문은 위탁 화물을 국제운송 주선 및 중개하는 포워딩 사업과 물류센터의 운영 및 내륙운송의 관리를 대행하는 W&D사업으로 구성됨.
LX인터내셔널 실적
2022년 자원 시황 개선과 트레이딩 물량 증가, 물류 운임 및 환율 상승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하며 양호한 실적을 기록함. 니켈 등 2차 전지 전략광물과 신재생 발전을 전략육성 사업으로 선정함. 인도네시아 내 복수의 니켈 광산을 대상으로 투자를 검토 중임. 2022년 10월 포승그린파워, 2023년 1월 한국유리공업의 인수를 마무리하는 등 M&A를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음.
4. 자원개발 관련주 - SK이노베이션(096770)
SK이노베이션 개요
SK가 2007년 투자사업부문을 영위할 SK와 석유, 화학 및 윤활유 제품의 생산 판매 등을 영위할 분할신설법인인 동사를 인적 분할함으로써 설립됨. 2009년 10월 윤활유 사업부문을, 2011년 1월 석유 및 화학 사업부문을 각각 물적 분할하였음. 사명을 SK에너지에서 SK이노베이션으로 변경하였으며 2018년 9월 말에 회사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FCCL사업을 넥스플렉스에 매각 완료함.
SK이노베이션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6.6% 증가, 영업이익은 124.9% 증가, 당기순이익은 437.2% 증가. 중장기적인 공급 잉여가 예상되는 화학 원료 경쟁을 지양하고 2025년말 완공을 목표로 국내 최초의 Recycle Cluster 구축을 진행 중임. 배터리 사업은 Site 신증설 및 신규공장가동을 통해 생산능력이 2배 이상 증가했고, 매출액 7조 6,177억원이라는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함.
5. 자원개발 관련주 - 대성산업(128820)
대성산업 개요
동사는 대성산업공사를 모태로 2010년 6월 분할 설립되었으며, 석유가스사업, 전력발전사업, 에너지사업, 기계사업, 기타사업(해외자원개발 등) 등을 영위함. 석유가스부문은 GS칼텍스의 최대 일반대리점 지위로서 서울, 경기, 경남, 경북지역에 주유소 및 충전소를 설치, 운영하고 있음. 전력발전부문은 LNG를 연료로 전기와 열 그리고 스팀을 생산하여 오산인근 및 공업지역과 한국전력거래소에 판매함.
대성산업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5.7% 증가, 영업이익은 161.2% 증가, 당기순손실은 15.8% 증가. 디에스파워의 전력 및 열 매출 증가, 대성계전 수출 확대, 석유가스사업부문 판매 증가의 영향으로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증가함. 디에스파워의 영업권 손상차손 420억원 등의 일시적인 비현금성 평가비용 발생으로 96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함. 이는 금리인상에 따른 가치평가 할인율 상승에 기인한 것임.
6. 자원개발 관련주 - 비엘팜텍(065170)
비엘팜텍 개요
2008년 7월 회사 분할 후 종속기업인 네추럴에프앤피의 기존 제조사업의 안정적인 기반 위에 유통사업부, 해외사업부로 세분하여 운영하고 있음. 주로 건강기능식품을 위탁제조하여 홈쇼핑 등 온/오프라인을 통해 유통하고 있으며 자회사인 네추럴에프앤피는 OEM생산을 주로 하고 있음. 건강기능식품시장 성숙에 따라 기존의 네트워크, 식품대기업, 홈쇼핑 및 계열사를 통한 OEM 방식의 주문 등으로 안정적인 매출기반 확보에 노력 중.
비엘팜텍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6% 감소, 영업손실은 19.1% 감소, 당기순손실은 31.2% 감소. 시장이 경색되면서 매출은 크게 성장하지 못하였으나 원가 및 판관비를 크게 절감하여 영업손실폭은 크게 감소하였음. 주력 제품군과 함께 신원료 기반 사업으로 브랜드 경쟁력과 차별성을 강화해 온오프라인 건강식품 사업을 확대하고 시장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음.
7. 자원개발 관련주 - 삼성물산(028260)
삼성물산 개요
동사는 1938년 설립되었으며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을 합병하였음 . 건설/상사/패션/리조트/급식·식자재유통/바이오 산업을아우르는 Global Business Partner 및 Lifestyle Innovator로 더욱 성장해나가고 있음. 매출비중은 21년말 하반기 기준 건설부문 32%, 상사부문 50%, 패션부문 4.5%, 리조트부문 1.5%, 급식/식자재유통 6.7%, 바이오부문 4.1%을 차지
삼성물산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3% 증가, 영업이익은 111.4% 증가, 당기순이익은 25% 증가. 전 사업 영역에 걸친 매출 확대 및 이익 성장세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크게 성장하였음. 원가 및 비용 상승에도 불구하고 큰 영업이익을 기록하였음.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등 급변하는 사업환경에서도, 사업별 경쟁력 및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기반으로 실적 성장세 지속.
8. 자원개발 관련주 - 서울가스(017390)
서울가스 개요
동사와 연결대상 회사 주요 사업은 도시가스 공급, 해외자원 개발, 부동산 임대로 분류됨. 도시가스 공급업이 매출의 99%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사업임. 서울 강서구 등 11개구(서울 전역의 38%), 경기도 3개시(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등이 동사 도시가스 공급 권역임. 농업회사법인 굿가든, 지알엠, 지알이에스 등 21개사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서울가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112.9% 증가. 주력인 도시가스 공급 사업 부문 매출이 크게 늘면서 전체 매출도 증가. 동시에 판관비를 효율적으로 집행해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했음. 경기도 공급권역의 경우는 87.3% 보급되어 향후에도 개발 등에 따른 잠재적인 요소가 있어 영업활동 및 홍보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임.
9. 자원개발 관련주 - 에스아이리소스(065420)
에스아이리소스 개요
1987년 7월에 설립되었으며, 2002년 8월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동사가 유통하기 위한 유연탄 확보를 추진하고 있음. 동절기의 계절적 비수기 극복을 위해서는 건축자재 유통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와는 별개로 '이탄 판매사업'을 시작하였음. 동사는 유연탄 채굴량 감소로 인한 '유연탄 판매사업‘의 매출 감소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 중임. 또한 신규사업으로 바이오중유 제조와 이탄 유통을 진행하고 있음.
에스아이리소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77.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원가율 하락에도 불구하고 매출 감소와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적자 전환함. 동사는 2023년 3월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15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함. 동사가 공급하는 '유연탄'은 러시아(사할린) 현지에서 국내외 최종 수요자(발전소)에 공급함.
10. 자원개발 관련주 - 엘컴텍(037950)
엘컴텍 개요
전자부품 제품 제조 및 판매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1년에 설립되어 2000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고 2013년에 파트론 컨소시엄에 매각됨. 주요 사업은 핸드폰용 카메라 모듈용 렌즈, LED조명 및 임가공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몽골지역에서 3개의 탐사권을 확보하며 광산개발 사업도 진행 중임. 당기말 현재 중국현지생산법인 등 총 3개의 연결대상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음.
엘컴텍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 감소, 영업이익은 23.3% 증가, 당기순이익은 91.8% 증가. 주요 제품의 매출액은 감소 되었으나, 수율이 안정화 되어 영업이익이 증가했고, 토지 일부가 한국토지주택공사 편입되어 처분이익 약19억원 발생 함. 제품개발력, 품질안정화, 납기준수를 통하여 다양한 제품모델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생산시스템을 기반으로 점유율 확대를 위해 노력 중임
11. 자원개발 관련주 - 큐로홀딩스(051780)
큐로홀딩스 개요
동사는 1987년 12월에 에스비텍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2008년 3월 27일 주식회사 큐로홀딩스로 상호를 변경하였음. 동사가 영위하는 주 사업영역은 엔터테인먼트 사업부문, 커피 사업부문, 자원개발 사업부문으로 구성됨. 엔터테인먼트 사업부문은 지배회사인 동사를 중심으로 영화ㆍ드라마 등의 영상 콘텐츠 제작, 연예인 매니지먼트, 보조출연자 공급 에이전시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큐로홀딩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7% 증가, 영업이익은 26.3% 감소, 당기순손실은 10444% 증가.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지만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 부담이 커졌고 판관비와 인건비 부담 역시 가중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함. 전반적인 수익성이 악화된 반면 법인세와 이자 비용 부담은 늘어나면서 당기순손실 전년 동기 대비 확대됨.
12. 자원개발 관련주 -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
포스코인터내셔널 개요
2000년 12월 대우의 무역부문의 인적분할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2010년 8월 포스코가 한국자산관리공사 등으로부터 지분 68.2%를 취득하여 최대주주가 됨. 2020년 철강 가공사업을 물적 분할함. 2023년 1월 LNG사업 밸류체인 완성을 위해 포스코에너지를 흡수합병함. 무역업을 중심으로 자원개발, 인프라 개발·운용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철강, 곡물, 화학, 이차전지소재, 친환경차부품, 천연가스 등이 주요 품목임.
포스코인터내셔널 실적
에너지부문에서 전사 이익의 절반 이상을 창출함. 특히 미얀마, 호주 세넥스 등 해외 가스전을 안정적으로 운영해 자원개발사업에서만 약 370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둠. 상사부문에서는 포스코제 철강 판매량이 최초로 천만 톤을 돌파했으며, 해외 무역 자회사의 실적호조에 따라 트레이딩 사업에서 영업이익 3000억원을 창출함. 팜유 판매증가와 가격상승, 유연탄가격 상승, 구동모터코아 판매물량 확대 등으로 상사부문 투자 자회사 이익도 증가함.
13. 자원개발 관련주 - 한국가스공사(036460)
한국가스공사 개요
동사는 1983년 8월 18일 설립되어 천연가스 도입 및 판매 기업이며 1999년 12월 15일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함. 해외에서 LNG를 도입하여 국내의 발전사 및 도시가스사에 공급하며, 세계 최대 LNG 터미널 건설과 해외 사업에 진출을 추진하고 있음. 탄소중립 및 저탄소 친환경 에너지 시대에 맞춰 LNG벙커링, Gas To Power사업, 냉열 등 신규 LNG사업을 발굴하고 있음.
한국가스공사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7.9% 증가, 영업이익은 98.7% 증가, 당기순이익은 57% 증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가격 상승과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해, 안정적인 천연가스 공급에도 재무구조 악화됨. 천연가스 사업은 도매와 소매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사는 LNG 인수기지와 천연가스 공급배관망을 건설하여 안정적인 공급을 하고 있음.
14. 자원개발 관련주 - 현대코퍼레이션(011760)
현대코퍼레이션 개요
1976년 설립된 동사는 자동차, 철강, 화학제품 및 플랜트 등의 제품을 수출입하는 종합상사임. 2016년 공정위의 승인으로 현대중공업 기업집단으로부터 계열 분리됨. 철강, 승용부품, 상용에너지, 기계선박, 석유화학, 기타(자원개발) 등 6개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사업부문은 수출입업, 삼국간 무역 및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영위함. 2015년 10월 브랜드/신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를 설립함.
현대코퍼레이션 실적
팬데믹 후 거래 정상화와 환율 상승에 따라 2022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늘어남. 완성차 수요 증가의 영향을 받은 승용부품 부문과 글로벌 물동량 회복으로 벙커링 매출이 크게 늘어난 석유화학 부문의 이익 증가세가 두드러짐. 상용에너지 부문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주요 거점 시장의 수요가 위축되고 Fleet Deal 실적도 감소함에 따라 매출액은 줄고 영업이익은 적자를 기록함.
자원개발 관련 이슈
1. 자원 발견 및 새로운 광맥 발견: 새로운 자원 광맥의 발견은 자원개발 업계에 긍정적인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광맥은 추가적인 자원 공급을 제공하고, 기업들에게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2. 자원 가격 상승: 자원의 수요와 공급 상황에 따라 자원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자원개발 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가격 상승은 기업의 수익을 증가시키고 자원개발 프로젝트의 경제적인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3. 정부 정책 및 지원: 정부의 자원개발에 대한 지원 및 유리한 정책은 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부의 자원개발 촉진 정책, 세제 혜택, 금융 지원 등은 기업들이 자원개발에 더 많은 투자를 할 수 있도록 돕고, 프로젝트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4. 기술 혁신: 새로운 기술의 개발 및 도입은 자원개발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효율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기술의 도입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동시에 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5. 안정적인 정치 및 경제 환경: 안정적인 정치 및 경제 환경은 자원개발 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정치적 불안정성이나 경제 불황은 자원개발 프로젝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환경은 업계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