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와 차트

반응형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목차

     

 

 

 

1.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JW중외제약(001060)

JW중외제약 개요

동사는 의약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며 치료제 중심으로 병원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리바로, 트루패스, 시그마트, 악템라 등 강력한 오리지널 파이프라인, 세계 5대 수액제 브랜드로 오메가3와 오메가6를 이상적으로 배합한 3세대 3챔버 영양수액 위너프 등을 보유. 피타바스타틴과 에제티미브를 결합한 2제 복합신약을 국내 최초로 품목허가를 받았음.

 

 

JW중외제약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8% 증가, 영업이익은 101.8%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늘어남. 핵심품목(리바로 등) 집중육성 및 신규시장개척을 통하여 COVID-19를 성공적으로 극복함. 동사는 저염 환자식 JW안심푸드 등 웰빙과 환자와 삶의 질 개선이라는 컨셉에 맞춘 다양한 제품 개발을 위해 노력 중임.

 

 

 

2.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SK바이오사이언스 개요

동사는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의 VAX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백신 및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및 관련된 지식재산권의 임대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글로벌 최고 수준의 백신 생산시설인 L House를 기반으로 글로벌 제약사와의 수주 계약을 통해 코로나19 백신의 C(D)MO사업을 본격화함. AstraZeneca, Novavax 위탁생산으로 코로나19 백신을 공급하고 있음.

 

 

SK바이오사이언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0.8% 감소, 영업이익은 75.7% 감소, 당기순이익은 65.5% 감소. 백신 사업 인프라 구축과 R&D에 투자해왔고, 2012년에는 경북 안동에 세계 최고 수준의 백신 공장 L하우스를 완공하였음. COVID-19에 따른 백신 위탁 생산 및 COVID-19 백신 'GBP510'은 2021년 8월 식약처로부터 제3상 임상시험계획(IND)의 승인받아 임상실험 중임.

 

 

 

3.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강스템바이오텍(217730)

강스템바이오텍 개요

동사 및 종속회사 사업부문은 줄기세포, 화장품, 바이오파마, 비임상시험 등임. 동사의 줄기세포 사업은 자체 개발한 다분화능을 가진 줄기세포를 인간 제대혈로부터 고순도로 분리하고, 대량배양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동종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치료제(의약품) 연구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화장품 사업은 동사의 줄기세포 배양액을 기반으로 한 제품을 위주로 판매하고 있으며, 온라인유통망을 강화함.

 

 

강스템바이오텍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4% 증가, 영업손실은 9.6% 감소, 당기순손실은 5.2% 감소. 자산은 전기대비 226억원(22%) 감소한 806억원임. 자산 감소의 주요 원인은 당사의 경우 줄기세포치료제 신약개발을 진행중인 법인으로 임상시험비용 및 회사운영비 등에 지출되는 비용의 규모가 크기 때문임. 신규사업인 의약품 도매업 론칭 등으로 전년 대비 39억원(31%) 증가한 163억원을 기록함.

 

 

 

4.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국전약품(307750)

국전약품 개요

동사는 원료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며, 제약회사와 원료의약품회사를 대상으로 공급하고 있음. 핵심 역량인 화학합성 기술을 통해 원료의약품만 아니라 OLED소재, 반도체 소재, 이차전지용 전해질 첨가제, 일반케미컬 합성 등을 제공하며 케미컬 토탈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해가고 있음. 2023년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충북 음성에 위치한 전자소재 생산공장을 건설해 수요 대비 부족했던 생산능력을 충족시킬 예정임.

 

 

국전약품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5% 증가, 영업이익은 42.8% 감소, 당기순이익은 121.6% 증가. 원료의약품 판매 확대 및 전자소재 프로젝트 진척으로 매출액은 증가했으나 환율과 신사업 투자 등으로 영업이익은 전기 대비 감소함. 2023년은 생산 공장 등 생산설비를 증설해 생산량 증대와 원가경쟁력을 강화해갈 예정임. 또한 전자소재 사업의 경우 상용화가 확정된 2개 품목의 추가적인 매출 발생이 예상됨.

 

 

 

5.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네이처셀(007390)

네이처셀 개요

동사는 2014년에 줄기세포사업부문을 추가한 후 2019년 5월 2일부터 기초 의약물질 및 생물학적제제 제조업으로 주요업종을 변경하여 줄기세포 사업부문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또한 음식료품, 건강기능성 음료 등 식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사업 부문별 매출 실적은 전체 매출 215억원 중 줄기세포사업부문이 약 49%, 식품사업부문이 51%를 차지하고 있음.

 

 

네이처셀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9% 증가, 영업손실은 27% 증가, 당기순손실은 78.7% 감소. 보고서 기준일 현재, 임상시험의 진행을 위해 현지 임상시험수탁기관(CRO)과 세부 내용을 검토하고 있음. NK항암면역세포 기술은 면역세포 증식률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며 NK세포비율 및 세포살해능도 높일 수 있는 면역세포를 연구, 개발하고 있음.

 

 

 

6.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레고켐바이오(141080)

레고켐바이오 개요

동사는 2006년 설립되어 의약화학을 기반으로 합성신약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신약개발 후보물질을 적정단계까지 개발한 후 이를 글로벌제약사나 국내외 제약회사에 기술이전하거나, ADC 기술 등의 원천기술 판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비즈니스 모델임. 기존 항암제 분야 뿐만 아니라 면역항암제나 항생제 등의 영역으로도 확장 연구를 진행함.

 

 

레고켐바이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 증가, 영업손실은 81.8% 증가, 당기순손실은 92.8% 증가. 글로벌 제약사인 암젠과 다케다를 비롯하여 소티오, 익수다에 ADC플랫폼기술을 이전하였으며, 동사의 기술을 적용한 ADC 그리고 신규 기전의 면역항암제를 개발중에 있음. 의약사업부문은 2020년부터 손실사업을 정리하고 수익성 사업만 진행하고 있음.

 

 

 

7.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메디콕스(054180)

메디콕스 개요

2010년 중앙오션과 합병했고 선박의 선수, 선미, 프로펠라보스, 엔진룸 등 9곳의 특수제작요건을 요하는 부문의 블록제작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함. 동사의 진해 공장은 초대형 선박 블록 선적이 용이한 해안에 인접해 있으며, 국내 3대 조선소와 인접 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유리한 입지경쟁력 확보함. 시설투자 및 보수 작업을 통해 생산량을 확대하여,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동종 업체 대비 약 1.4배로 효율적인 생산능력을 실현하고 있음.

 

 

메디콕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 증가, 영업손실은 31.9% 증가, 당기순손실은 78.1% 증가.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동종 업체 대비 약 1.4배로, 체계화되고 계량화된 제조공정, 관리기법, 일괄생산통합시스템 등을 통하여 효율적 생산능력을 실현하고 있음. 동사의 관계기업이 개발한 제품이 출시되었을 때 독점적인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원천기술 특허 및 확대 가능한 영역의 특허까지 확보하고자 노력중임.

 

 

 

8.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비엘(142760)

비엘 개요

HumaMAX® platform과 MucoMAX® platform 원천기술에 대한 세계적 원천특허 및 용도특허를 근간으로 1999년 12월 설립되어 2016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됨. MucoMAX®을 이용한 신약개발사업(자궁경부전암 치료제, 백신 아쥬반트)과 의약품 유통사업을 영위. 신규사업으로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의 기술지주회사인 예다와 합작하여 설립한 이스라엘 현지법인인 퀸트리젠을 통한 바이오항암신약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비엘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7% 감소, 영업손실은 0.9% 증가, 당기순손실은 17% 증가. 2021년 12월에 출시한 '면역88골드'는 홈쇼핑에서 소비자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회사의 면역증진 주력제품으로 육성할 계획임. 자궁경부전암 치료제인 ‘BLS-M07’은 현재 국내에서 임상 2b상을 완료하고 지난 8월 2/3상 임상시험계획을 승인받았음.

 

 

 

9.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샤페론(378800)

샤페론 개요

동사는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는 연구개발 전문기업으로, 신약 후보물질을 비임상이나 임상단계에서 기술이전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세계 최초로 개발한 GPCR19-P2X7-NLRP3 염증복합체 억제제 플랫폼 및 기존 항체 치료의 미충족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나노바디 항체 개발 플랫폼을 보유함. 국가신약개발재단으로부터 COVID-19 폐렴 치료제에 대한 임상 개발비를 지원 받아 다국적 2b/3상 임상을 수행하고 있음.

 

 

샤페론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82.4% 증가, 영업손실은 5.4% 증가, 당기순손실은 55.2% 감소. 아토피 치료제에 대한 임상2상의 환자 등록을 완료하여 바이오마커 분석 중에 있으며, 알츠하이머 임상 1상 진행 및 2건의 기술이전에 성공함. 현재 차세대 염증복합체 억제제 뿐만이 아닌 이중항체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전으로 확장이 가능한 나노바디를 연구하고 있음.

 

 

 

10.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세종메디칼(258830)

세종메디칼 개요

동사는 2010년 8월 3일에 설립되어 의료용 기기(복강경 수술 기구 등) 제조 및 조립업을 영위하고 있음. 한편 동사는 Trocar를 비롯한 다양한 수술 기구 개발 및 생산 경험을 보유. 향후 급변하는 복강경 수술 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춘 셈임. 복강경수술 기구인 LapSingle Plus는 로봇수술 발전과 함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일회용 생체검사용 도구인 LapBag는 국내 의료현장에서 고유명사처럼 사용됨.

 

 

세종메디칼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7% 증가, 영업손실은 166.3% 증가, 당기순손실은 2972.3% 증가.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적자 폭이 확대되며 수익성이 악화됨. 동사가 2022년 인수한 두원사이언스제약이 ‘의약품 제조업 허가’를 획득 하면서 올해 종합 제약사로 도약 가능성에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음.

 

 

 

11.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셀리드(299660)

셀리드 개요

동사는 2006년 12월에 설립된 연구중심의 항암면역치료백신 및 COVID-19 예방백신 개발 전문 바이오벤처기업임. 현재 보유하고 있는 파이프라인은 항암면역치료백신 기반기술인 CeliVax와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기반 감염병 예방백신 기반기술인 Ad5/35 등이 있음. 2020년 11월 30일 백신&세포유전자치료제 GMP센터를 완공, 현재 제품의 임상 단계에 필요한 생산과 향후 GMP 인증 후 시판 예정인 제품의 생산능력을 보유.

 

 

셀리드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7.2% 감소, 영업손실은 14.6% 증가, 당기순손실은 74.9% 증가. 오미크론 전용 부스터샷 백신을 개발하고 시판을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 중임. 올해는 임상 3상 진입과 함께 향후 범용 다가백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할 계획임. 위탁생산(CMO) 및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의 확장을 추진함에 따라 2023년에는 본격적인 매출 발생을 기대하고 있음.

 

 

 

12.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셀트리온(068270)

셀트리온 개요

동사는 생명공학기술 및 동물세포대량배양기술을 기반으로 항암제 등 각종 단백질 치료제(therapeutic proteins)를 개발, 생산하는 것을 목적사업으로 하고 있음. 아시아 최대인 140,000L 규모의 동물세포배양 단백질의약품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개발 일정과 수요 등을 고려하여 3공장 신설 예정. 세계 최초 개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는 2016년 미국 FDA로 부터 판매 승인 받음.

 

 

셀트리온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6% 증가, 영업이익은 13% 감소, 당기순이익은 7.2% 감소.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은 유럽을 중심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미국 시장에서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에 따라 매출이 성장하고 있음.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의 세계 시장 출시 및 판매를 위해 셀트리온헬스케어를 통한 직접/간접 판매 네트워크 구축을 완료하여 시장 선점을 위한 기반을 확보하고 있음.

 

 

 

13.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수성샐바시온(084180)

수성샐바시온 개요

동사는 전동지게차 및 물류기계등을 생산공급할 목적으로 1982년 2월 23일 법인전환형태로 설립됨. 중대형지게차시장은 두산산업차량, 현대중공업, 클라크, 수성 등이 경쟁관계에 있으나 당사의 경우 진입초기단계에 있어 점유율은 아직까지 10%미만에 머물고 있음. 소형지게차시장의 경우 수성, 동명중공업등이 경쟁관계에 있으며 당사의 주력시장으로 50%정도의 시장점유를 하고 있음.

 

 

수성샐바시온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1.4% 증가, 영업손실은 1194% 증가, 당기순손실은 26.7% 감소. 수출 시장 부진에도 불구하고 대리점, 직판 매출과 신사업인 전기차 사업 호조로 전체 외형이 확대됨. 단 원가의 상승으로 인해 영업손실은 오히려 증가함. 중국, 중동, 러시아, 중남미 등 각 언어권별로 영업사원을 배치하여 매출 확대를 위해 전력하고 있음.

 

 

 

14.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신풍제약(019170)

신풍제약 개요

동사는 1962년 6월 5일 의약품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1990년 1월 20일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동사의 주요 목적사업은 완제의약품 및 원료의약품 등의 제조 및 판매임. 동사는 경쟁력 강화 및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하여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신약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과제 수행의 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기적으로 개량 신약 및 퍼스트제네릭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음.

 

 

신풍제약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6% 증가, 영업손실은 137.8% 증가, 당기순손실은 205.4% 증가.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 적자 폭이 확대되었음. 당기순이익 또한 손실이 이어짐. 동사는 신약개발 또는 기업간의 제휴 및 인수합병을 통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춤과 동시에 매출 수단의 다변화를 위해 해외시장으로의 진출을 추진 중임.

 

 

 

15.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아이진(185490)

아이진 개요

동사는 2000년 설립되었으며 신약 연구 개발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벤처기업으로서 2013년 코넥스시장에 상장, 2015년 기술특례로 코스닥 이전상장함. 허혈성 질환 중 당뇨망막증, 욕창, 창상, 그리고 심근허혈/재관류 손상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자궁경부암 백신과 대상포진 백신에 대한 연구도 진행중.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2017년부터 바이오 IT 시스템 사업을 시작했으며 2018년부터는 의약품 도매와 건강기능식품 사업 개시함.

 

 

아이진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3.3% 증가, 영업손실은 31.2% 감소, 당기순손실은 24.9% 감소. 동사는 바이오의약품 분야 중에서도 노화 관련 성인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의약품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동사는 향후 AERAS* Gate 1 진입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여 전임상 및 임상 단계를 비영리 생명공학 그룹인 AERAS로부터 국제적인 지원을 받아 결핵 백신을 개발할 계획임.

 

 

 

16.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압타바이오(293780)

압타바이오 개요

동사는 플랫폼 기술 기반 'First-in-Class' 신약개발 전문기업으로, 산화 스트레스 조절, CAF Modulation, 압타머-약물 복합체 플랫폼의 3가지 독창적인 기술로 혁신 신약을 개발하고 있음. 플랫폼 기술을 이용한 신약후보물질을 개발하고 파트너사와 공동연구 또는 기술이전을 사업화 모델로 하고 있음. 세계 최초의 '압타머-약물 복합체 플랫폼' 기반으로 현재 췌장암, 혈액암, 간암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음.

 

 

압타바이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78.6% 감소, 영업손실은 16.4% 감소, 당기순손실은 1.2% 감소. 동사는 동연구계약 및 라이센스계약에 따른 기술료와 시약매출을 매출액으로 인식하고 있음. 현재의 사업전략 상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은 임상2상 진행 후 기술이전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향후 임상 진행중인 파이프라인의 기술이전 시 큰 규모의 기술료 용역 매출이 발생 할 것으로 예상됨.

 

 

 

17.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앱클론(174900)

앱클론 개요

동사는 2010년에 설립된 난치성 질환 치료 목적의 항체신약 개발 전문 기업이며, 2017년 9월에 코스닥 시장에 기술특례 상장함. 동사 보유 기술은 NEST, AffiMab, CAR-T 등 플랫폼 기술로 파이프라인 확장성이 높음. 보유 기술을 통해 블록버스터 항체의약품과 병행치료 효과를 낼 수 있는 항체신약을 개발중. 개발한 신약은 직접 판매하지 않고 다국적제약사 등에 전임상 단계에서 License-out하여 수익창출함.

 

 

앱클론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2.9% 증가, 영업손실은 14.5% 감소, 당기순손실은 9.6% 감소. 항체의약품 개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제약사들에 지속적으로 파트너쉽을 구축하고 있으며, 새로운 서비스를 발굴하고자 노력중임. 동사가 개발중인 AT101, AT501의 CAR-T 세포치료제는 차세대 면역항암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세포치료제 시장은 2028년 82.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18.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에이비온(203400)

에이비온 개요

동사는 2007년 4월 설립되었으며 2021년 9월 코스닥 이전상장되었음. 동사는 정밀의료 기반의 항암제 및 호흡기 바이러스 치료제 등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있음. 동사의 주력 파이프라인으로는 c-MET 표적항암제 ABN401, 바이러스성 감염병 치료제 ABN101, Claudin3 표적 항체 치료제 ABN501이 있으며, 현재 ABN401은 임상2상 진행 중에 있음.

 

 

에이비온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3.1% 증가, 영업손실은 135.8% 증가, 당기순손실은 63.3% 감소.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적자 폭이 확대됨. 동사의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ABN401’은 2022년 해외 기술수출을 추진 중임. ABN90X는 국방과학연구소 주도의 프로젝트로 해당 연구과제를 수주하여 연구를 진행 중임.

 

 

 

19.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옵티팜(153710)

옵티팜 개요

동물관련 사업과 인체관련 사업을 동시에 영위하는 회사로 2000년 설립되어 동물질병진단사업, 동물약품사업 및 박테리오파지 사업을 통해 사업 영위. 인체사업으로는 미니피그를 이용한 이종장기, VLP백신, 인체진단키트 연구개발을 주축으로 생명공학 부문 또한 진출한 경쟁력 보유 업체.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84개 질병, 212개 검사항목을 지정 받았으며 환경부로부터 야생동물 질병진단기관으로도 지정 받아 관련 영역을 확장해가고 있음.

 

 

옵티팜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2.3% 증가, 영업손실은 25% 감소, 당기순손실은 33.6% 감소. 미니피그 원재료와 동물약품 상품 등의 원재료 가격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매출 성장과 비용 절감에 힘입어 손실폭이 감소하고 있음. VLP백신은 대상선정에서부터 시드 확보까지 6개월 이내 백신 개발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해 생산성 향상 및 개발 기간을 단축함으로써 차별화를 도모하고 있음.

 

 

 

20.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유바이오로직스(206650)

유바이오로직스 개요

동사는 물리, 화학 및 생물학 연구개발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2010년 3월 설립되었으며 2017년 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함. 주요제품은 콜레라백신 치료제(유비콜)과 바이오의약품 수탁 연구 및 수탁 제조 등이 있으며, 국내 중소 바이오업체들의 임상시료를 생산하고 있음. 춘천에 제1, 2공장 및 기업 부설연구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신규 예방 백신제품 개발 및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CRMO 서비스 사업 병행하고 있음.

 

 

유바이오로직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0.8% 증가, 영업손실은 47.9% 감소, 당기순손실은 96% 감소. 부채총계는 426억원으로 2022년 코로나 백신 임상등 연구개발 관련 비용이 전년대비 200억원 가량 증가했기 때문임. WHO에서의 'Ending Cholera 2030' 로드맵에 따라 유비콜플러스는 향후에도 회사의 안정적인 캐시카우 역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21.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유틸렉스(263050)

유틸렉스 개요

2015년 설립된 동사는 면역항암 세포치료제와 면역항암 항체치료제 사업을 동시에 영위하고 있으며, 신기술 및 신약개발 제품 제조 및 판매하고 있음. 면역학 및 종양학에 대한 오랜 연구를 바탕으로 확보한 다양한 플랫폼 기술 기반의 항체치료제, T세포치료제 및 CAR-T치료제 등 차세대 면역항암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EU307은 2023년 2월 15일 국내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서(IND) 승인이 완료됐음.

 

 

유틸렉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1.9% 증가, 영업손실은 9.5% 증가, 당기순손실은 14.3% 증가. 자기자본비율은 전년 대비 23.62%p 증가한 86.98%, 부채비율은 전년 대비 42.86%p 감소한 14.96%로 재무건전성은 개선됐음. 2022년 12월 글로벌 전문경영인을 영입하며 향후 비전 및 사업 전략 수립 등이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며 이를 위한 조직 정비, 개편 등도 뒤따를 예정임.

 

 

 

22.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일동제약(249420)

일동제약 개요

동사는 의약품, 의약품 원료, 건강보조식품 및 특수영양식품의 제조 및 판매 사업 등을 주로 하고 있음. 주요 생산 품목인 의약품에는 활성비타민인 아로나민류, 항생제인 후루마린 등이 있으며, 제7기말 연결기준 637,714백만원의 매출을 기록하였음. 동사는 연구개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규모를 확대해가고 있으며 안질환 치료제, 당뇨병 치료제 등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일동제약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9% 증가, 영업손실은 32.3% 증가, 당기순손실은 42% 증가. 넥시움 등 신규 품목 도입과 진단키트 코프로모션 매출이 증가하였으나, 연구개발비 증가로 영업손실 적자 폭이 확대됨. 영업부문에서는 아로나민은 넘버원 비타민의 위상을 지키고 있고, 투탑스, 피레스파 등 치료제시장에서의 영향력도 높였으며, 새롭게 도입한 품목들이 힘을 더하여역대 최대 매출 달성에 기여함.

 

 

 

23.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진매트릭스(109820)

진매트릭스 개요

동사는 2000년에 설립되어 자체개발한 분자진단 원천기술로 질병을 일괄 진단하는 의료기기를 개발,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009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분자진단 사업부문과 체외진단 사업부문으로 구분하며, NeoPlex STI, OmniPlex-HPV, 생화학 및 래피드 등의 제품과 의료장비, LUCICA GA 등의 상품이 있음. 현재 연결대상 종속법인은 없음.

 

 

진매트릭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7.4% 감소, 영업손실은 24.3% 증가, 당기순손실은 721% 증가. Neoplex COVID-19, Omniplex HPV 등의 수출 물량 감소로 외형 축소된 상황이며, 원가율 또한 상승한 영향으로 수익성 하락한 모습. 체외진단키트 매출은 당분간 수요가 계속될 것이나 제한적일 전망. 그밖에도 동사는 지카감염, A형감염 예방을 위한 백신 등 바이오의약품 개발을 진행중임.

 

 

 

24.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진원생명과학(011000)

진원생명과학 개요

동사는 초기에 의류용 심지 전문 제조와 판매를 목적으로 1976년에 설립되어 1987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주요 목적사업은 생명공학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 등으로 확장한 상태이며 핵산 기반 바이오 신약과 항염증 치료 신약 등의 신약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동사는 현재 CMO 제조 및 생산, 심지 제조 및 생산을 영위하는 2개의 연결대상종속회사를 보유중임.

 

 

진원생명과학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9% 증가, 영업손실은 46.1% 증가, 당기순손실은 140.1% 증가. 대상감염병 3종의 백신으로 사용할 원형 mRNA 플랫폼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2022년 9월 특허의 국내정식출원과 국제출원(PCT) 함. 2022년 12월 기준 GLS-1027의 2상 임상시험을 완료하고 현재 결과 분석 중.GLS-1200은 2차 임상시험대상자 모집을 완료하였음.

 

 

 

25.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카이노스메드(284620)

카이노스메드 개요

동사는 의약화학(medicinal chemistry)을 기반으로 합성신약을 연구 개발함. 또한 적정 개발단계의 신약후보물질로 License-Out 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함. 파킨슨병 치료제는 임상2상의 1단계이며, 에이즈 치료제는 기술이전한 중국의 장수아이디社에서 신약 승인 후 판매 중임. 또한 다계통위축증 치료제는 국내 식약처에서 임상2상 IND 승인 및 임상병원의 IND 승인 후 실행 준비 중.

 

 

카이노스메드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2.2% 감소, 영업손실은 44% 증가, 당기순손실은 2% 감소. 매출 감소에 더해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적자 폭이 확대되며 수익성이 악화됨. 주요 매출은 동사가 개발한 후보물질에 대한 기술이전 및 마일스톤 등의 수취를 통해 발생되는데, 현재 제품 출시가 완료되어 판매되고 있는 제품은 없는 상황임.

 

 

 

26.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케어젠(214370)

케어젠 개요

동사는 2001년 설립된 기업으로, 2015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함. 펩타이드에 대한 연구와 기술을 바탕으로 화장품과 의료기기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음. 펩타이드는 건강기능식품, 의약품으로의 개발도 가능하며 식품은 제품화 단계, 의약품은 시제품 단계까지 연구가 진행됨. 최근 세계적 화학적 기업 BASF와 4종의 특허 펩타이드 원료에 대한 독점공급계약을 체결, 21년 2분기부터 공급을 개시하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 효능 입증받음.

 

 

케어젠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9% 증가, 영업이익은 19.2% 증가, 당기순이익은 7.7% 증가. 국내 최초 펩타이드 기반 코에 뿌리는 코비드-19 항바이러스 치료제 "스파이크다운"을 개발 중으로 코비드-19 해결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됨. 동사가 개발한 습성황반변성 치료 펩타이드는 현재 전임상이 완료되었으며 미국 식품의약국(FDA) 임상 시험계획서(IND)를 제출 준비 중임.

 

 

 

27.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케이피엠테크(042040)

케이피엠테크 개요

동사는 약품사업본부, 기계사업본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타 사업으로 신약을 연구 개발하는 제약 및 바이오 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알리코제약 및 비보존과 임상시험용 위약품 위탁생산계약을 체결하여 임상시험용 외용제를 생산하고 있음. 표면처리약품 및 도금설비의 주요 수요층이 되는 전방산업은 PCB 산업으로서, 첨단 전자산업 분야와 직결되는 핵심 전자부품의 필수산업으로 관련 산업과 함께 동반 성장함.

 

 

케이피엠테크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 증가, 영업손실은 94.4% 감소, 당기순손실은 72.1% 감소. 원가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와 판관비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적자 폭이 축소됨. PCB, 전자, 통신, 반도체, 자동차 부품 관련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시장은 가격 및 품질뿐만 아니라 동사의 인지도가 기술적인 면에서 크게 작용하고 있어 향후 시장점유율이 더욱 증가할 전망임.

 

 

 

28.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코미팜(041960)

코미팜 개요

동사는 1972년 9월 21일 동물의약품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동물용 백신 등 동물의약품을 생산 판매하고, 임상병리검사 분석 대행 서비스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2001년부터 전략적 신규사업으로 함암제 및 암성통증 치료제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이를 위해 2013년 9월 오송공장 준공 및 2016년 호주공장 취득을 완료함. 동사는 강력한 마약성 진통제를 코미녹스(PAX-1)로 대체한다는 목표로 신약개발을 추진 중임.

 

 

코미팜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 증가, 영업손실은 28.1% 감소, 당기순손실은 46.1% 증가. 원가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수주 증가에 따른 해외수출의 증가로 인해 매출 증가하였고 판관비는 7.6% 감소함에 따라 영업적자 폭이 축소됨. 동사는 인체의약품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기 위하여 인체의약품인 신약 코미녹스(PAX-1)를 개발하여 임상실험을 진행하고 있음.

 

 

 

29.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텔콘RF제약(200230)

텔콘RF제약 개요

동사는 1999년 1월 8일에 설립되어 2014년 11월 24일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5G 관련 차세대 기지국 핵심 기술인 FTTA(Fiber-To-The Antenna) Solution과 베트남 등의 동남아시아 진출을 통한 국내 및 글로벌 시장의 leader로 발돋움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음. RF부문의 신규사업으로는 광 사업장 확대를 추진하는 등 광 솔루션 업체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음.

 

 

텔콘RF제약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5% 감소, 영업손실은 48.2% 증가, 당기순손실은 82.2% 증가.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며 매출 감소에 따른 매출원가 부담이 줄었고 판관비와 인건비 절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매출 감소 폭이 커 영업손실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확대됨. 영업손실 규모가 증가하면서 당기순손실 역시 전년 동기 대비 확대됨.

 

 

 

30.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한국비엔씨(256840)

한국비엔씨 개요

동사는 2007년 8월 설립되었으며, 더말필러(Dermal Filler) 등 미용성형용 의료기기, 창상피복재 등 수술, 시술용 의료기기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음. 더말필러 등 메조테라피제품, 유착방지재, 콜라겐흡수성창상피복재와 콜라겐조직보충재의 4가지 의료기기 제품군이 주된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음. 2019년 12월 1일 엔에이치스팩11호와 합병하여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한국비엔씨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7.5% 증가, 영업손실은 10.1% 감소, 당기순손실은 74.6% 감소. 동사는 HA 가교기술에 관한 특허를 기반으로 HA필러, HA유착방지재 등을 자체 개발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보툴리눔톡신과 같은 전략적 신규제품을 개발하여 차세대 바이오 시장을 주도할 예정임. 미용성형의료시장에서 한류 바람을 일으키며, 빠른 속도로 해외시장에 진출하고 있음.

 

 

 

31.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한국파마(032300)

한국파마 개요

동사는 1974년 9월 3일 민생제약사를 인수하였고, 1985년 12월 24일 한국파마 법인으로 전환하였음. 자체 R&D 개발을 통해 정신신경계, 순환기계, 소화기계, 항생항균 등 제조에 강점이 있으며 내분비, 호흡기, 소염제, 당뇨병 등 다양한 질환군의 기타 처방 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함. 동사는 EU /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수준의 생산시설을 구축하였음.

 

 

한국파마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8% 증가, 영업이익은 23.4%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 소폭 상승, 판관비 감소에 힘입어 수익성 증가함. 이자비용이 크게 발생하여 당기순이익은 감소함. 동사 매출의 34.3%를 차지하고 있는 정신신경계 제품군은 시장의 규모는 작지만 진입장벽이 높아 비교적 안정적으로 매출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함.

 

 

 

32.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주 - 현대바이오(048410)

현대바이오 개요

동사는 2000년 5월, 현대전자로부터 분사하여 설립되었으며 피부용 비타민C 신물질인 '비타브리드'를 원료로 한 바이오 화장품, 양모제 등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함. 바이오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IT사업 대부분을 2018년 6월부로 중단하고 2018년 8월 상호를 현대바이오사이언스로 변경함. 바이오 화장품 사업 외에도 최대주주인 씨앤팜과 공동으로 코로나19 치료제, 췌장암 치료제 개발에 참여하며 사업 영역을 넓혀가고 있음.

 

 

현대바이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 감소, 영업손실은 169.7% 증가, 당기순손실은 21.2% 감소. 코로나19 상황 장기화에 따른 시장악화로 매출액이 전기대비 감소하였으며, 매출액 감소에 따른 매출총이익의 감소, 경상개발비의 증가, 대손상각비의 증가 등 사유로 영업손익은 악화되었음.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처분 이익 발생, 전환사채 이자비용 감소 등 사유로 당기순손실은 전기대비 감소함.

 

 

 

치료제,백신 개발 관련 이슈

1. 치료제 및 백신 개발: 새로운 전연병의 등장은 다양한 의약품 개발 회사 및 연구기관들이 신속하게 치료제 및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임상시험을 진행하게 만듭니다. 이로인해 세계적인 관심을 받으며, 효과적인 백신 개발과 배급은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백신 접종 캠페인의 중요한 이슈입니다.

2. 면역치료제 개발: 면역치료제는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시켜 암, 면역질환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됩니다. 현재 면역치료제 개발은 항체 치료, CAR-T 세포치료 등의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 치료 방법에 비해 더 나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면역항암제 개발: 면역항암제는 암세포에 대한 면역 반응을 촉진시켜 암 치료에 활용됩니다. 최근에는 면역항암제인 체크포인트 억제제 등의 개발로 인해 암 치료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개인 맞춤형 치료를 위한 면역프로파일링 기술도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암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됩니다.

4. 백신 개발 및 안전성 검증: 백신은 감염 질병 예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새로운 감염 질병에 대한 백신 개발은 항상 중요한 이슈입니다. 백신 개발에는 효과적인 백신 후보물질의 선별, 임상시험 단계를 거친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대량 생
산 등 다양한 과정이 포함됩니다.

5. 저비용 및 효율적인 의약품 개발: 의약품 개발 및 생산의 비용과 시간은 많은 도전과제입니다. 저비용 및 효율적인 의약품 개발 방법에 대한 연구와 혁신은 의료 분야에서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과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도입하여 의약품 개발 프로세스를 효율화하고, 더 많은 환자들에게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