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와 차트

반응형

EOM(Ease Of Movement) 지표란?

EOM은 거래량과 주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EOM 지표 계산법

EOM = Eavg(((H+L)/2 - (H(1)+L(1))/2) / ((V/k/(H-L)), period)

avg(a, b) = b기간 동안의 a의 단순평균

 

 

키움증권에서 상수 k는 1을 사용하였습니다.

H(p) = p일전 고가, L(p) = p일전 저가

EOM 계산법
EOM 계산법

Signal = Eavg(EOM, sigperiod)

eavg(a, b) = b기간 동안의 a의 지수평균

 

 

EOM 지표 추가 및 설정방법(키움증권 영웅문)

0600 화면 -> 우클릭 -> 지표추가 -> EOM 검색 -> 적용

EOM 추가 방법
EOM 추가 방법

 

추가한 EOM지표를 더블클릭하면 설정화면으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기간을 설정하거나 기준선을 변경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EOM 지표설정
EOM 지표설정

 

 

EOM 지표 해설

EOM은 거래량이 적은 상태에서 주가가 상승 중일 때는 높은 수치를 나타내며 거래량이 적은 상태에서 주가가 하락 중일 때는 낮은 수치를 나타납니다. 주가의 변동이 거의 없거나 변동은 있는데 거래량이 많은 경우 EOM의 값은 거의 0에 가깝습니다.

 

EOM 지표 활용법

EOM이 0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신호, EOM이 0선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 신호

지표를 보기 편하게 설정하여 봅시다. 아래와 같이 과열과 침체의 기준값을 0으로 설정하면 지표를 보기 편합니다.

EOM 과열,침체 설정
EOM 과열,침체 설정

 

아래와 같이 푸른 구간에서 붉은 구간으로 갈 때 매수, 붉은 구간에서 푸른 구간으로 갈 때 매도하는 방식으로 매매할 수 있습니다.

EOM 매매
EOM 매매

 

 

EOM 지표 주의사항

아래와 같이 변동성이 작거나 거래량이 많을 시 EOM값이 0 값 주변에서 생성되어 가짜신호가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매매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니 주의하여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