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도지수(Force Index)는 알렉산더 엘더(Alexander Elder)에 의해 개발된 오실레이터로서 주가상승 배경인 매수세력과 주가하락 배경인 매도세력을 측정합니다. 그리고 이 지표는 주가변화의 방향과 크기, 거래량 등 주요 시장정보를 종합적으로 결합한 개념의 지표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파생지표
Force Index Long Term = 강세장과 약세장의 강도를 긴주기 변화를 보여줍니다.
Force Index Short Term = 민감한 FIST지표가 중앙선을 넘으면 강세장이 더욱 강하게, FIST지표가 중앙선을 하회하면 약세장을 강하게 합니다.
Force Index지표 계산법
Force Index = eavg(v*(c-c(1)), Period) = 거래량*(당일종가 - 전일종가)의 Period기간 지수 평균
Force Index Long Term = eavg((C-C(1))*V/C,period) = 거래량*(당일종가 - 전일종가)를 종가로 나눈 값의 Period기간 지수 평균
Force Index Short Term = eavg((C-C(1))*V/C,period) =거래량*(당일종가 - 전일종가)를 종가로 나눈 값의 Period기간 지수 평균
Force Index 지표 추가 및 설정방법(키움증권 영웅문)
0600 화면 -> 우클릭 -> 지표추가 -> Force Index 검색 -> 적용
Force Index 지표 추가
추가한 Force Index지표를 더블클릭하면 설정화면으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기간을 설정하거나 기준선을 변경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준선 0을 추가하여 줍니다.
Force Index 지표 설정
Force Index 지표 해설
Force Index는 당초 엘더가 정의한 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동평균으로 평활(변동의 폭이 큰 시계열 자료 값을 변화가 완만한 값으로 변환하는 것)하면 지표의 유용성이 더 높아집니다.
단기 이동평균으로 평활한 Force Index는 단기매매에 적합하고 장기 이동평균으로 평활한 Force Index는 매매세력으로 중요한 변화를 보여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강도지수의 13일 지수이동평균은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의 장기적 변화를 나타냅니다. 강도지수가 기준선인 제로선을 중심으로 차지하는 위치는 어느 그룹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주가와 강도지수의 13일 지수이동평균 간의 괴리는 중요한 주가의 전환점을 나타냅니다.
Force Index 지표 활용법
0선을 상향돌파시 매수 0선을 하향돌파시 매도하는 방법이 있으나 너무 잦은 매매로 신뢰성이 떨어집니다. 주가는 하락추세인데 지표가 상승추세일 때 매수, 주가는 상승추세이나 지표는 하락추세일 때 매도 하는 매매를 활용하여 보겠습니다.(다이버전스를 이용한 매매)
주가 상승추세(저점 상승), 지표 하락추세(고점 하락)
Force Index 매도 신호
주가 하락, 지표 상승
Force Index 매수 신호
Force Index 지표 주의사항
Force Index지표는 주가와 같이 움직이는 경우가 많아 신뢰도가 떨어집니다. 시장강도를 살펴볼 때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