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1963년에 합성섬유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1968년 대한화섬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함. 1985년 12월에 한국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함. 직물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제조 및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공장은 울산에 있으며, 연간 생산능력은 65,700톤임. 동사를 포함하여 섬유/석유화학부문 9개사, 미디어부문 4개사, 금융부문 6개사, 인프라/레저부문 5개사 등 총 24개사의 계열회사가 있음.
대한화섬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8.6% 증가, 영업이익은 102.2% 증가, 당기순이익은 37.2% 증가. 주력제품인 Polyester의 수출 증대로 외형 확대되었으며, 수익성 측면에서는 원가율 안정되는 모습이며, 판관비중 축소 및 인건비 등의 감소로 비교적 크게 개선된 모습. 안정적인 매출 확대 전략속에서 향후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및 제품 다변화를 적극 추진하여 추가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
2. 화학섬유 관련주 - 성안(011300)
성안 개요
동사가 영위하는 주요사업은 섬유제품의 제조가공 및 판매업, 수출입업, 부동산 임대업 등임. 폴리에스터F 직물제조 사업부가 매출의 84.5%를 차지함. 도매업은 11%, 부동산은 4.2%를 차지함. 연구개발 전담부서를 운영하고 있으며 꾸준한 R&D를 통해 연간 300여 품목의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10~20% 이상이 상품화되어 세계 각 지역으로 수출되고 있음.
성안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1% 감소, 영업손실은 75.2%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해당 종목은 현재 관리 종목으로, 매출액은 전년대비 8.15% 감소하였으며, 매출원가 절감등의 노력을 경주하였으나 15억원의 영업손실과 80억원의 당기순손실이 발생함. 친환경제품, 메디칼섬유, 기능성섬유등 신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해외시장개척과 원가절감 노력을 하고 있음.
3. 화학섬유 관련주 - 코오롱인더(120110)
코오롱인더 개요
동사는 코오롱의 제조사업부문이 분할되어 신설된 제조회사임. 2010년 2월 1일자로 상장되어 유가증권시장에서 매매가 개시됨. IFRS도입으로 인한 동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총 41개사이며, 주요종속회사는 9개사임. 사업특성상 산업자재군, 화학소재군, 필름/전자재료군, 패션군, 의류소재 등의 5개 사업군으로 나뉘며 산업자재군이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함.
코오롱인더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1% 증가, 영업이익은 4% 감소, 당기순이익은 4.9% 감소.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줄어듬. 동사는 그린에너지, 고성능산업소재, 필름/전자/디스플레이소재, 모빌리티소재, 화학분야 각 영역에서 기반이 되는 첨단소재와 응용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미래 신사업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4. 화학섬유 관련주 - 태광산업(003240)
태광산업 개요
1961년 설립 된 동사는 주요 사업으로 PTA, AN 등을 생산하는 석유화학부문과 원사, 직물 등을 생산하는 섬유부문 등을 영위하고 있음. 제조 및 임대부문은 품질과 설비 우위를 통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PTA, 프로필렌, AN 등 석유화학공장 가동을 통해 수직계열화를 구축하며 업계를 선도함. 연결 실체 중 방송통신부문은 종합유선방송사업자로서 '티브로드'라는 서비스명으로 케이블 TV방송,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등의 사업을 영위함.
태광산업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3%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8% 증가. 방송통신사업부문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주력인 석유화학제품의 수출 호조로 양호한 매출을 기록하였으나, P-X 및 프로판 등 주요 원재료가 폭등 영향으로 영업수익성은 큰 폭으로 하락함. 주력제품의 수요 확대되고 있어 외형 성장 가능하고, 향후 원가 안정시 질적인 성장 또한 가능할 것으로 기대.
5. 화학섬유 관련주 - 티케이케미칼(104480)
티케이케미칼 개요
동사는 합성섬유 및 그 원료와 관련 화학제품의 제조 가공 판매, 도소매 및 수출입을 목적으로 2007년 11월 7일 설립됨. 2008년 2월 1일 동국무역의 화학사업부문을 영업 양수 받아 현재까지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는 오랫동안 축적된 기술력과 연구개발로 POLYESTER, SPANDEX, 그리고 PET-RESIN 분야에서 독창적이고 우수한 세계 최고의 품질을 갖춘 화학소재전문 기업임.
티케이케미칼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1.8% 증가, 영업이익은 99.3% 감소, 당기순이익은 21.5% 감소.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줄어듬. 동사의 화학부문 주요 매출처는 효성티앤씨, 코카콜라음료, 삼양패키징, 포스코인터내셔널 등임. 동사의 사업다각화로 새로 추가된 건설사업은 꾸준한 주거용 아파트 공급및 관급 공사의 수주를 통해 외형 및 질적 성장을 견인하고 있음.
6. 화학섬유 관련주 - 효성티앤씨(298020)
효성티앤씨 개요
동사는 2018년 6월 1일을 주식회사 효성에서 인적분할되어 섬유/무역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음. 섬유 부문의 주요 제품은 스판덱스, 나일론원사, 폴리에스터원사, PTMG 등 이고, 무역 등 부문의 주요 사업내용은 철강 및 화학제품의 Trading이며, 그 외 주요 제품으로는 NF3, 타이어보강재 등이 있음. 특히 스판덱스는 아시아, 유럽, 미주 지역을 아우르는 글로벌 생산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며, MS 세계 1위를 지키고 있음.
효성티앤씨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 증가, 영업이익은 91.3% 감소, 당기순이익은 98.5% 감소. 글로벌 스판덱스 수요 감소 및 공급물량 증가에 따른 스프레드 악화로 수익성 하락, 수요 회복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증설투자를 지속하면서 차입금은 증가 2022년 3분기를 저점으로 하여 영업실적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2023년 이익 증가가 예상, 주요 설비 증설 완료로 투자 관련 차입금은 감소할 예정.
7. 화학섬유 관련주 - 휴비스(079980)
휴비스 개요
동사는 2000년 11월 1일에 (주)삼양사와 에스케이케미칼(주)의 폴리에스터 원사 및 원면사업부문의 시설물 등을 현물출자하는 형식의 50:50 동일지분으로 설립됨. 동사는 폴리에스터(Polyester) 섬유인 단섬유(Staple Fiber) 및 장섬유(Filament Yarn 및 산업자재소재)를 주력으로 생산, 판매함. 주요 제품은 폴리에스터 제품인 SF, FY, CHIP과 폴리에스터 외의 신소재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음.
휴비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6%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글로벌 경쟁 심화로 인한 공급과잉이 발생되면서 매출 감소. 주요 원재료인 TPA의 가격 상승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 및 영업이익 적자전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2021년 Mcell에 이어 미국 스타트업 기업 '솔리얀'의 지분 25%를 인수하며 스마트섬유에 대한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함.
화학섬유 관련 이슈
화학섬유 관련 이슈는 다양한 측면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친환경화학섬유: 친환경적인 생산과 재활용이 가능한 화학섬유의 개발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친환경 화학섬유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2. 마이크로플라스틱 오염: 일부 화학섬유는 세탁 및 사용 과정에서 마이크로플라스틱을 방출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수질 오염과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과 연구가 필요합니다.
3. 섬유 강도 및 내구성 개선: 화학섬유의 강도, 내구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더욱 튼튼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화학섬유 소재의 개발은 제품 수명과 지속 가능성을 향상시킵니다.
4. 생분해성 화학섬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생분해성 화학섬유의 개발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생분해성 소재는 자연 분해되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재생 가능한 원료로 제작될 수 있습니다.
5. 재활용 문제: 일부 화학섬유는 재활용이 어렵거나 제한적인 경우가 있습니다. 재활용 기술 및 시설의 부족으로 인해 많은 양의 화학섬유가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효과적인 재활용 및 순환 경제 모델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6. 기능성 화학섬유: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맞추기 위해 기능성 화학섬유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방수, 방염, 보온 등의 기능을 가진 섬유 소재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기존 소재의 개선과 새로운 소재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피부 친화적인 섬유, 기능성 섬유, 자동차 및 항공 용품에 활용되는 섬유 등에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이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