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1972년 7월 25일 케이디씨상사로 설립되어 1996년 8월 27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주요 사업은 NI(Network Integration)/ SI(System Integration)이며, Network Consulting, 기획, 설계, 구축, 감리, 유지보수 등을 제공하고 있음. ITO사업본부의 사업영역은 동사가 장비 임대 및 유지보수 계약관계를 체결하고 있는 KT의 기업용서비스 중 일부와 연계되어 있음.
광무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3.6%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동사 매출은 2차전지소재 사업부문 연결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이에 따른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함. 당기순손실은 지속됐으며 적자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확대됨. 2차전지 소재 시장은 탄소배출량의 규제 및 신규시장의 확대로 인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2. NI(네트워크통합) 관련주 - 누리플렉스(040160)
누리플렉스 개요
동사는 통신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광범위한 무선통신솔루션의 핵심기술개발과 다양한 제품군으로 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2년 3월 16일 설립되었음. 동사는 직접 지배하는 계열사는 7개사가 있으며, 계열회사는 현재 비상장 회사임. 동사는 AMI 기술기반의 EMS 분야(AMI-EMS)와 ESS 기반의 EMS분야(ESS-EMS), 태양광 등 에너지 자립섬 구축을 위한 솔루션을 확보하고 있음.
누리플렉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5.7% 증가, 영업이익은 88.6% 증가, 당기순이익은 92.8% 감소. 매출원가의 급등으로 인하여 매출액 증가에도 불가하고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은 감소함. 의료서비스 전문기업 아셉틱과 손잡고 합작법인 메디허브를 설립해 비대면 의료컨설팅 플랫폼 사업을 추진. 외부전문 의료진을 통해서 의료 컨설팅이 필요한 기업, 단체에 맞춤형 온라인의료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중.
3. NI(네트워크통합) 관련주 - 링네트(042500)
링네트 개요
동사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설계, 통신 장비공급, 설치 및 유지보수를 포함하는 NI사업과 화상회의시스템, Storage시스템, 클라우드 가상화 등의 사업을 영위함. 네트워크 시장은 LAN, WAN 그리고 인터넷이 점차 하나의 개념으로 통일되어 가고 있음. 동사는 고객에게 최적의 클라우드 구성(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 등) 및 제공을 위한 최적의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음.
링네트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 감소, 영업이익은 2.4% 증가, 당기순이익은 16% 증가.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매출원가 절감 노력과 함께 판관비 역시 줄이는데 성공하면서 인건비 등이 소폭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함. 법인세 부담이 가중됐음에도 영업이익 증가 영향으로 당기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늘어남.
4. NI(네트워크통합) 관련주 - 에스넷(038680)
에스넷 개요
1999년 2월에 설립. HW, SW, 솔루션, 컨설팅 등 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필요한 모든 제품과 서비스 제공. 주요 서비스는 ICT인프라, 데이터센터, 클라우드의 구축 및 운영서비스로 구분됨. 2021년 올인원 디지털 서비스의 핵심기술거점인 ‘S2F센터’를 구축, 고객 체험 서비스를 통한 IoT, 가상화 기반 무선통신, AI, BigData, 메타버스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한 미래형 ICT서비스 모델 제공.
에스넷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3%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58.6% 감소. 반도체 및 금융권의 주요 고객향 매출 증가로 영업손익 흑자전환에 성공했으나 관계기업투자주식평가손실로 영업외비용이 증가함. 동사는 오감지능연구소를 설치하여 자체 신규 솔루션의 개발 및 고도화를 비롯하여 AI, IoT, BigData 등 신규 사업 영역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5. NI(네트워크통합) 관련주 - 오파스넷(173130)
오파스넷 개요
동사는 2004년에 설립되었고, 기업체, 공공기관 및 금융권 네트워크 통합과 다양한 솔루션 공급 등에서 강세를 유지해온 네트워크 통합 전문기업임. 동사는 네트워크 통합 및 시스템 통합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매출은 용역매출인 네트워크 구축 및 유지보수로 구성되어 있음. 주요 매출처로는 SK그룹 계열사와 삼성전자, 한국거래소, 국민은행, 넥슨, 아모레퍼시픽, 두산 등 국내 주요 대기업을 포함함.
오파스넷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0.1% 증가, 영업이익은 47% 증가, 당기순이익은 2.6%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대폭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와 판관비, 인건비 등 부담은 늘었지만 매출 증가 폭이 커 영업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함. 영업이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법인세 및 이자 비용 부담이 늘어나면서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함.
6. NI(네트워크통합) 관련주 - 오픈베이스(049480)
오픈베이스 개요
동사는 각종 컴퓨터 및 관련 기자재의 제조/판매업, 각종 컴퓨터 통신장비 제조 판매및 통신 소프트웨어 개발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2년 9월 설립됨. 주력 사업부문은 스위치 제품군을 생산하는 네트워킹 솔루션, 스토리지 솔루션 사업 등이 있음. 빅데이터, AI, 디지털 뉴딜, 원격근무 등의 흐름은 클라우드 생태계의 확장을 가속화함. 향후 국내의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트렌드 확산은 클라우드 전환 속도를 가속화시킬 전망.
오픈베이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8% 증가, 영업이익은 47.7% 증가, 당기순이익은 29.7% 증가.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늘어남. 동사가 새로 도전하는 보안솔루션 사업의 경우 보안강화 이슈로 인해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음. 동사는 기술/연구개발 조직의 인원 비율이 전체 인원의 65%를 차지할 정도로 R&D 투자에 적극적임.
7. NI(네트워크통합) 관련주 - 인성정보(033230)
인성정보 개요
동사는 시스템통합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2년 2월에 설립되어 1999년 7월 상장함. 컨설팅, 설계, 개발, 구축, 운영, 유지보수에 이르기까지 고객의 IT인프라 라이프사이클 전반을 책임지는 종합 IT 서비스 기업임.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컨택센터 및 하이브리드 업무환경 서비스, 인프라 매니지드 서비스, 원격진료 헬스케어, 데이터센터 등 IT 환경 변화에 따른 핵심 인프라 솔루션 및 서비스를 One-Stop으로 제공함.
인성정보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8% 증가, 영업이익은 46.4% 증가, 당기순이익은 19.8% 증가. 수주증가에 따라 외형이 성장했고, 원가 및 판관비 절감 정책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되었음. 전환사채의 자본전환에 따른 금융상품 평가를 미인식하여 순손익이 개선됨. 현지 파트너와 협력을 통해 다양한 국가의 홈케어, 퇴원 환자 관리 등 질병관리 서비스 사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8. NI(네트워크통합) 관련주 - 콤텍시스템(031820)
콤텍시스템 개요
동사는 1983년 8월 18일에 설립되었으며, 1997년 2월 12일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네트워크통합(Network Integration) 및 시스템통합(System Integration)과 유지.보수 사업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 신규사업 아이템 발굴, 산업별 맞춤형 솔루션 개발, 조달 나라장터몰 사업 아이템 확대, 솔루션 파트너와 사업 협력 모델 등을 통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해가고 있음.
콤텍시스템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5.8% 증가, 영업이익은 8.2%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매출원가와 판관비 등도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함. 영업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일부 사옥 본관과 별관 등 부동산 매각과 같은 1회성 이익 등의 영향으로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함.
NI(네트워크통합) 관련 이슈
네트워크 통합 (Network Integration)은 기업이나 조직에서 다양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는 과정이나 기술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 내부의 네트워크 인프라 및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보안: 다양한 시스템과 장비가 통합되면서 보안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통합은 보안 프로토콜, 방화벽 및 암호화 등의 보안 기술을 적용하여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2. 호환성: 다양한 제조사의 장비와 시스템을 통합해야 할 때,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통합은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표준 프로토콜 및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3. 성능: 다양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합하면서 전체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효율적인 네트워크 설계, 대역폭 관리, 로드 밸런싱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최적의 성능을 유지해야 합니다.
4. 관리: 네트워크 통합은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를 관리하는 작업을 포함합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모니터링, 장애 관리, 이벤트 로깅 등의 관리 도구와 프로세스를 도입하여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5. 확장성: 기업의 규모가 확장되거나 비즈니스 요구사항이 변화할 때, 네트워크 통합은 새로운 요구사항을 수용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해야 합니다. 모듈화된 설계와 유연한 구조를 갖춘 네트워크 시스템은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