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2014년 한라홀딩스의 자동차부품 제조ㆍ판매업 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2022년 9월 5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사명이 만도에서 HL만도로 변경됨. 동사는 제동, 조향, 현가장치 및 기타 자동차부품의 설계, 조립, 제조, 공급 및 자동차부품의 마케팅, 판매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사업구조 안정화를 위하여 현대기아차 뿐 아니라 GM, Ford, 중국 로컬 OEM, 유럽 및 인도 완성차로 고객다변화를 진행 중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3% 증가, 영업이익은 6.8% 증가, 당기순이익은 41.2% 감소. 각 부문에서 고르게 매출이 발생하고, 매출액이 증가했으나 원재료비 및 판관비의 증가로 영업이익은 감소한 모습을 보임. 동사는 완성차업체의 차종별 제품을 생산 및 납품하고 있으나, 완성차 업체의 생산계획에 따라 당사의 수주총액이 결정됨. 따라서 수요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움.
식음료 및 산업 포장용기와 전자제품에 쓰이는 전기주석도금강판·전해크롬산처리강판·전기동도금강판·전기니켈도금강판·라미네이트강판 등을 생산하는 표면처리강판 전문제조업체임. 주 수요자는 제관업체, 왕관업체 및 가전업체 등이 있으며, 국내 전기주석도금강판 시장은 국내 3개의 석도사가 공급하고 있는 시장구조로 영업안전성이 높은 편임. 매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50% 이상으로 동아시아 지역 및 미주지역 등 다양한 국가에 판매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5% 증가, 영업이익은 71.8% 증가, 당기순이익은 1.9% 증가. 2차 전지 소재인 니켈도금강판의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원자재 가격상승에 따른 제품 판가 인상으로 매출액, 영업이익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함. 니켈도금강판의 증설 효과가 실적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되어 원통형 배터리 독점적 소재 공급사인 동사의 수혜가 지속될것으로 전망됨.
동사는 1965년에 설립되어 각종 전자제품을 생산하여 수출해 왔으며, 모바일 오디오, 비디오 기기, XM위성수신 라디오, GPS 수신기, 스마트키 등을 해외에 판매함. 국내에서는 유통, 임대사업도 영위함. 구로 크라운플라자, 서울 면목동 CAMELLIA 면목점 등을 운영함. 작성 대상에 포함된 종속기업은 NAMSUNG AMERICA,INC (지분율 99.60%)와 남성에이엠디 (지분율 100%)가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1% 감소, 영업이익은 63.4% 감소, 당기순이익은 53.4% 감소. 미국지역으로의 매출이 감소하여 연간으로는 전년대비 4% 감소한 981억원의 매출실적을 기록함. 광고선전비 등의 증가로 판매관리비가 증가하여 전년 동기대비 63% 감소한 25억원의 이익을 거뒀고, 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금융비용과 지분법손실이 증가하여 전년 동기대비 51% 감소함.
동사와 종속회사는 인조피혁과 벽지, 화공약품 제조와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함. 오산에 생산시설을 운영함. 합성피혁 부문은 나이키와 아디다스, 윌슨 등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를 주요 고객사로 보유했음. 국내 벽지사업은 3~4개의 대규모 전문업체와 4~5개의 중규모 업체 및 약 수십여개의 소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음. LG하우시스, 신한벽지, 개나리벽지 등이 주요 경쟁사로,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5% 증가, 영업손실은 12.2% 감소, 당기순손실은 37.5% 증가. 코로나팬데믹으로 인한 국내 경제 침체 및 국제경제 침제와 원재료비 상승및 국제유가에 연동된 에너지 비용상승이 영업이익 감소 요인으로 작용함. 신규 거래처 개척과, 현재 경제위기에 유연하게 대처한 결과 매출액 전체를 늘리는 데는 성공했음.
동사는 1960년에 설립되어 자동차 부품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로 1977년 상장되었음. 동사가 신규로 자동차부품시장에 진출한 이래 광주시트사업부에서는 스포티지(QL/NQ5), 쏘울(PS/SK3), 셀토스(SP2)/카렌스(RP), 봉고트럭(PU) 전차종을 기아 광주사업장에 독점공급하고 있음. 카렌스(RP)후속 차종인 셀토스(SP2) 또한 2019년 7월부터 성공적으로 양산중에 있음.
2022년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6%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손실은 대폭 증가. 동사는 경형 SUV 캐스퍼에 신형 스포티지, 셀토스에 이어 전기차 시트 공급까지 맡게 됐지만, 원가와 환율 부담으로 인해 실적 부진. 동사는 최근 지분 매각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위니아전자 중국법인(DEMOJIN) 유한공사의 지분 51%를 계열사 위니아전자에 매각.
제철, 제강 및 기타 공업로용 내화물 제품을 생산, 판매할 목적으로 동국산업(주)로부터 인적분할 후 설립되었으며, 2004년 2월 13일 한국증권업협회 상장함. 내화물 부문은 정형·부정형 등의 내화물 제품과 세라믹 제품을 생산하여 국내외 철강업체 등에 공급하고 있으며, 주요 매출처는 동국제강 등임. 스틸부문은 단관·각관 파이프 등의 제품을 생산하여 국내외 철강업체 등에 공급하고 있으며, 주요 매출처는 대풍농자재마트 등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5% 증가, 영업이익은 51.8% 증가, 당기순이익은 24.9% 증가. 내화사업부와 스틸사업부 등 주요 사업 매출이 고르게 증가하며 전체 외형이 확대됨. 이에 따라 영업이익도 증가 동사의 주요 매출처는 동국제강(주), 한국철강 주식회사, 환영철강공업(주), 한국특강 등이며, 동사의 주요 5대 매출처에 대한 매출비중은 전체 매출액 대비 약 48% 수준임.
2000년 5월에 설립되어 2차 전지 설비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차 전지 설비 중 Notching 설비 및 Folding 설비의 제조 및 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진행함. 국내 최초로 양산 적용에 성공하였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고속 Notching설비의 H/W 및 S/W 기술특허 및 요소기술을 보유하였음. 현재 신규사업으로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과 전고체 배터리 장비 개발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2% 증가, 영업손실은 39.4% 증가, 당기순손실은 60.1% 증가. 동사는 국내 배터리 제조사의 생산능력 확충에 따른 수주 증가와 해외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여 실적이 증가함. 반면, 원자재 가격 상승 및 외주비용 증가에 따른 제조원가율 상승과 해외 프로젝트 셋업비용 증가, 부실자산 정리에 따른 영업외비용이 발생하여 손식 폭이 확대됨.
동사는 1978년 10월 5일 설립되었으며 1989년 5월 30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동사 및 동사의 종속회사는 지주사업, 산업기계, 자동차부품, 유압기기 등으로 나눠짐. 산업기계는 콘크리트 펌프카, 자동세차기, 카고크레인, 골프카 등을 판매함. 세차기 부문은 차량등록 및 운영 여부, 주유소 투자와 밀접한 연관이 있어 공간적 제약과 설치 시 공사를 수반하는 특성이 있어 자금력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특성이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7% 증가, 영업이익은 29.6% 감소, 당기순손실은 38.5% 감소. 크레인, CPT, 골프카 등 사업 부문 매출 증가로 외형 성장에 성공. 단 원가율 악화와 판관비, 인건비 등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줄어듦. 2021년부터 시작된 정부 안전투자 혁신사업을 통해 특장 크레인 부문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동사는 자동차용 전자부품 및 전장부품을 제조 및 판매를 주사업으로 영위함. 스마트키 시스템, Car Lock Set 등의 스위치류와 BCM, 무선충전기, 집중형조작계, Immobilizer 등의 전자Unit 등을 생산, 공급하는 동종업계의 선두주자임. ISO14001, ISO/TS16949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경영 측면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CMMI Level 3 국제품질 인증을 획득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6% 증가, 영업이익은 182.6% 증가, 당기순이익은 6.9% 감소. 내수시장에서의 매출 급상승으로 비교적 양호한 외형 기록하였으며, 원가율 또한 하락하여 영업수익성 또한 크게 상승한 모습.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급격한 실적회복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빠른 시간에 실적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는 점은 긍정적. 반도체 수급 원활시 실적 추가개선 가능 기대.
동사는 소형전지, 중/대형전지 등의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생산/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소형전지는 원형, 파우치 등의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으며 자동차용 중형전지는 고효율, 고용량 리튬이온 2차전지를 개발하고 이를 자동차 완성업체에 공급하고 있음.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에너지 분야에서 활용되는 소재를 개발 및 판매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5% 증가, 영업이익은 69.4% 증가, 당기순이익은 66.9% 증가. 중대형전지 사업은 자동차용 전지의 미주와 유럽향 매출 확대와 고부가 ESS 제품 매출 증가로 매출과 손익 모두 사업 착수 이후 최대의 성과를 올렸음. 전자재료 사업은 OLED와 반도체 등 고부가 제품 중심 신소재 판매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음.
동사는 1987년 1월 설립되어 전기, 전자기기 구성부품 및 정밀사출부품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영위하며, 2004년에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함. 액정표시장치(LCD)관련 부품사출, OA주변기기 FINISHER제조, 자동차부품사출, TV BLU용 금형제품 제조, LED 조명제품 제조를 주목적으로 함. KMBT,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솔루엠이 주요 매출처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6% 증가, 영업손실은 92.3%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원가율 악화와 판관비, 인건비 등 비용 증가에 따라 영업손실 폭이 확대됨. 동사는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도광판(LGP)사업은 Note-PC용 이외에 Monitor, 3D LCD-TV용 도광판 개발에 착수하여 차별화된 TV도광판 업체로 성장하고자 하고 있음.
동사는 2차전지부품 개발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2년 1월 28일에 설립됨. 또한 2007년 5월 23일에 주식을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2차전지의 후방 재료산업으로서 리튬이온 방식의 2차전지 중 노트북, 전동공구 등에 사용되는 원형 CAN,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EV CAN, 대용량 저장장치 ESS 등을 주력으로 생산함. 삼성SDI를 주요 고객사로 보유함.
2022년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7.2% 증가, 영업이익은 66.7% 증가, 당기순이익은 39.8% 증가. 2022년에도 글로벌 배터리 시장의 성장에 발맞춰 대응하고 제품의 품질과 기술개발에 전념한 결과 실적이 큰폭으로 개선되었음. 2023년 국내산업은 인건비 및 금리부담에 따른 사업확장성 약화와 수요감소에 따른 재고 증가 등으로 인해 주요 산업 대부분이 위축되는 상황에서도 2차전지 분야의 성장은 지속될 전망.
2002년 9월 설립된 동사는 리튬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전극 제조관련 장비를 전문 제작하며 2차 전지 전공정인 Coater, Calender, Slitter, Tape Laminator 및 기타설비 등을 생산. 코팅공정에서 기존 열풍 방식의 건조 시스템의 틀에서 벗어나 과열증기를 이용한 건조 방식의 코터를 개발하여 생산성을 높임. 슬리팅 공정에는 불량 부분을 식별하는 라벨러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1% 증가, 영업이익은 52.2%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의 거래처인 Britishvolt의 법정관리에 따른 충당금 설정(약 114억원)에 의한 일시적 손실이 반영됨. 주가 하락으로 인해 전환사채 전환가격과 주가(전환 및 평가시점)간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전환사채 평가손익(약 161억원)이 반됨.
첨단소재와 기능성 부품 및 환경/에너지 시스템 등의 사업영역을 가진 소재부품 기업으로 2004년 1월에 설립되었음. 고효율자성소재와 방열/나노 Membrane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첨단소재부문과 FPCB, 박막필름 등을 개발하는 기능성 부품 부문, ESS, 수처리와 공기청정 및 환기시스템 등을 개발하는 환경에너지시스템부문이 있음. 2018년 9월 30일 기준으로 지적재산권 1,068건을 보유하여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6.4% 증가, 영업이익은 400.6% 증가, 당기순이익은 325.1% 증가. 동사는 5G, 전기차, IoT, 차세대 디바이스 등 초고속으로 성장하는 부문에 적용되는 다양한 첨단소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검증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우량 고객군을 확보함. 기존 고객사인 테슬라 외 추가적인 전기차 완성업자 매출이 추가될 경우 해당 사업무문의 고성장이 기대됨.
동사는 2000년 1월11일 설립되었으며, 2007년 12월 26일 주식을 코스닥시장(KOSDAQ)에 상장함. 동사의 사업부문은 핸드폰 금속부품부문, 1차전지부문, 2차전지 금속부품부문, 친환경 수소부문, 기타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동사의 핸드폰 금속부품 사업부문은 Galaxy 시리즈, 폴드, 플립, Hinge 등을 비롯한 휴대폰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음. 국내와 중국 동관, 베트남 박장 등에서 사업을 영위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5%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으며 각종 비용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함. 영업이익 흑자전환 등의 영향으로 당기순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함. 동사는 삼성전자와 거래관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국내 여러 경쟁사를 두고 점유율 경쟁을 펼치고 있음.
동사는 자동차 부품 제조를 목적으로 2007년 8월 16일에 설립되었으며, 2018년 12월 5일자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자동차용 전기ㆍ전자장치 부품인 자동차용 전선(Wire&Cable), 자동차용 와이어링하네스 (Wiring Harness), 벌브 소켓 (Bulb Socket), LED Module 제품 등을 주력으로 생산함. 중국현지 생산법인, 판매법인과 물류창고, 미국현지 판매법인과 창고를 보유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5% 증가, 영업손실은 84.3% 감소, 당기순손실은 62.3% 감소. 당분기 기준 당사의 차량용 전선은 전체매출 비중의 42.1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멕시코 현지 공장을 통한 미주 지역의 상업용 전기자동차 분야의 부품 공급을 위한 새로운 고객을 개발하고 시장 확대 우위를 선점할 기회를 가지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동사는 2015년 4월 1일을 분할기일로 하여 우리산업홀딩스 주식회사로부터 자동차 부품 제조 및 판매사업을 인적분할하여 설립함. 전기 및 수소차 등 친환경 자동차의 핵심부품을 개발 및 양산하며 차세대 자동차부품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용인에 본사와 평택에 생산공장을 두고 있음. 완성차 업계의 2차 공급업체로 국내 주요거래처로는 한온시스템, 현대모비스, 두원공조 등이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3% 증가, 영업손실은 236.7%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액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원재료 가격 상승과 판매비와관리비의 증가로 인해 영업손실이 발생하였음. 국내 완성차 1차업체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탈피하기 위해 미국 북미지역에 직수출을 시작하여 해외 시장 진출의 기반을 만들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출시장의 다변화를 추진중임.
동사는 자동차 차체 자동용접 라인 설비에 대한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자동차 차체 설비에 대한 Total Engineering 업체임. 매출 중 해외 비중이 60% 내외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 차체자동용접 설비 시장에서는 20% 내외의 시장점유율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 동사 차체부품부문의 안정적 성장으로 해당 부문의 매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 감소,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주력상품의 수출환경 개선됨에 따라 동사의 매출 또한 증가세를 기록하였으며, 원가율 및 판관비 비중 하락 영향으로 흑자전환에 성공. 다만 여전히 매출액 대비 원가 및 비용 부담 큰 상황으로 적정 수익성 확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원가 및 비용구조 개선 필요한 상황.
사업 초기에는 북미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수출 전문기업으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국내외 다수의 고객사로 부품을 공급하고 있음. 주요 제품은 대부분 자동차의 내부 기계장치에 대한 부품으로 엔진, 변속기, 공조장치, 조향장치 등 크게 4가지 관련 분야로 나눌 수 있음. 국내 완성차 업체인 현대차, 기아, 한국GM 등으로 제품을 공급 중이며 해외완성차 업체인 GM, Ford, Crysler, Fiat, Tesla 등으로 공급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2% 증가, 영업이익은 71.7%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시장 감소와 차량용반도체 수급 애로에 따른 생산량 감소 등의 원인이 차츰 해소되었고, 멕시코 사업장의 실적이 '21년 761억에서 '22년 1,172억으로 53.9% 증가함. 실적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해외창고 화재로 인한 기타손실 반영에 따라 당기순이익은 17,952백만원 적자 전환됨.
2000년 12월 대우의 무역부문의 인적분할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2010년 8월 포스코가 한국자산관리공사 등으로부터 지분 68.2%를 취득하여 최대주주가 됨. 2020년 철강 가공사업을 물적 분할함. 2023년 1월 LNG사업 밸류체인 완성을 위해 포스코에너지를 흡수합병함. 무역업을 중심으로 자원개발, 인프라 개발·운용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철강, 곡물, 화학, 이차전지소재, 친환경차부품, 천연가스 등이 주요 품목임.
에너지부문에서 전사 이익의 절반 이상을 창출함. 특히 미얀마, 호주 세넥스 등 해외 가스전을 안정적으로 운영해 자원개발사업에서만 약 370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둠. 상사부문에서는 포스코제 철강 판매량이 최초로 천만 톤을 돌파했으며, 해외 무역 자회사의 실적호조에 따라 트레이딩 사업에서 영업이익 3000억원을 창출함. 팜유 판매증가와 가격상승, 유연탄가격 상승, 구동모터코아 판매물량 확대 등으로 상사부문 투자 자회사 이익도 증가함.
동사는 1991년 12월 23일에 설립되었으며 자동차용 공조 부품, 합성사사업부, 화학사업부 총 3개 사업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음. 국내 주요 거래처로는 한온시스템, DENSO 등이 있으며, 국외 수출 거래선으로는 BOSCH, GATES 등이 있음. 최근 완성차 업체들의 부품구매 추세가 급격히 다국적화 되어감에 따라 부품업체들도 다각적인 해외시장 개척이 중요한 성장요소로 부각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1.2%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74% 감소. 주요종속회사인 폴라리스우노는 2021년 6월 30일을 취득일로 간주하여 21년 3분기부터 손익연결되었음. 따라서 전년동기와 비교를 위해서는 기존 사업부문인 자동차 공조 부품 사업부문에서 발생한 매출을 살펴봐야함. 매출액이 증가하였고 손익연결의 효과로 영업이익 또한 개선된 효과를 가져옴.
동사는 자동차용 DOOR MOVING SYSTEM을 전문 제조하는 업체이며, 현대자동차(주), 기아자동차(주)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주력 제품은 DOOR MODULE, LATCH, HINGE, STRIKER 등임. 매출은 한국, 중국 외 기타 지역에서 창출되고 있음. 동사는 국내 11개, 해외 15개의 관계사가 있으며 피에이치에이(주) 와 (주)에이에스티가 한국법인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4% 증가, 영업이익은 247.4% 증가, 당기순이익은 24.8% 감소. 주요 완성차 고객들의 글로벌 생산·판매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당사의 원가율 개선 노력으로 호실적을 기록함. 국내 완성차 제조사에 Door System을 공급하고 있으며 ISO/TS 16949, ISO 14001인증 등을 획득하여 차량용 Door System 부문에서 생산능력과 기술력을 보유.
2003년에 설립된 회사로 Roll to Roll 기술을 바탕으로 IT용 소재, 2차 전지의 음극 및 분리막 소재, Copper 등의 코팅 및 슬리터 장비의 제작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음. 디스플레이 소재용 필름 및 전자전기와 소형 및 ESS용 중대형 2차 전지의 분리막/음극/양극 소재, 그리고 회로소재 및 2차 전지용 극박 등 생산하는 장비 등을 개발 및 생산함. 국내 Copper 생산업체 중 LS엠트론에 독점 공급중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6% 증가, 영업이익은 42.9% 증가, 당기순이익은 12.5% 증가. 동사의 국내외 주요 고객사의 지속적인 CAPA 증설은 수주잔고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됨. 최근 소재단의 수주잔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수주 대부분은 전지용 동박 생산 장비로 추정. 글로벌 2차전지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는 장기간 지속될 전망됨.
리비안(RIVIAN)은 미국의 전기자동차 회사입니다.
1. 배터리 기술 개발: 전기자동차의 주요 구성 요소인 배터리 기술은 용량, 충전 시간, 수명 등의 측면에서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기술의 개선은 전기차의 주행 거리를 늘리고 충전 시간을 단축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충전 인프라 구축: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의 확대가 필요합니다. 충전소의 설치 및 공공 및 사적 부문에서의 충전 인프라 구축이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빠른 충전 기술과 장거리 충전 인프라 개발이 필요한 과제입니다.
3. 국가 정책 및 장려 정책: 전기자동차 보급을 위해 많은 국가에서 정부 차원에서 장려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환경 친화적인 교통수단으로서의 전기자동차를 지원하는 감면제도, 보조금 지원, 충전 인프라 구축 지원 등이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4. 자율주행 기술: 자율주행 기술과 전기자동차의 결합은 미래 차량 산업의 주요 트렌드 중 하나입니다. 인공지능, 센서 기술 등을 활용하여 차량의 주행을 자동화하고, 운전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5. 환경 친화적인 이동 수단: 전기자동차는 탄소 배출을 줄이고 대기 오염을 개선하는 친환경적인 이동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환경 보호 및 지속 가능성과 관련된 이슈들이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습니다.
자동차 대표주 TOP7 (1) | 2023.06.14 |
---|---|
렌터카 관련주 TOP6 (0) | 2023.06.14 |
골프 관련주 TOP15 (1) | 2023.06.13 |
면세점 관련주 TOP8 (1) | 2023.06.12 |
UAM(도심항공모빌리티) 관련주 TOP24 (0) | 202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