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태양광 모듈 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태양광 모듈 판매 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90%를 상회함. 동사는 해외 Top-tier 태양광 셀/모듈 제조업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추가적인 공급능력 확보 및 생산 유연성을 증대시키고 있음. 동사는 음성공장 내 PV R&D Center및 분당사무소에서 연구활동을 수행하면서 태양광 셀/모듈 제품 및 시스템 제품의 효율, 출력 향상 및 신뢰성 개선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6% 증가, 영업이익은 849.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의 판매량이 꾸준히 증가했고 판매 가격 상승과 해상운임 하락 등에 따라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음. 신규고객 발굴과 마케팅 강화 노력 중임. 신규 시설투자를 통해 대면적(M6, M10) 태양전지 및 고출력, 저탄소 육상/수상용 태양광 모듈 제품을 공급할 계획임.
동사는 EV, ESS, IT기기, LEV 등에 적용되는 전지 관련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EV용 배터리의 경우 경쟁사 대비 앞선 개발과 공급 및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Global 자동차OEM 대부분을 고객으로 확보하였음. 배터리 Recycle/Reuse 사업과, 배터리 및 차량 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해내는 BaaS 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3.4% 증가, 영업이익은 57.9% 증가, 당기순이익은 3.2% 감소. 신규 전기차 수요 증가와 EV용 원통형 수요 확대 및 원가 상승분의 판가 인상 반영을 통해 매출 및 영업이익 증가 폭 확대. 2022년 신·증설 투자 및 품질 강화 투자에 총 6.3조원을 사용하였음. 향후에도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경영 환경 및 시장 변화에 맞춰 적정한 투자를 집행해 나갈 예정임.
동사와 종속기업의 주요사업부문은 Home Appliance & Air 솔루션, Home Entertainment, Mobile Communications, Vehicle component 솔루션 등 6개로 구분. OLED TV는 초슬림, 월페이퍼, 롤러블 TV 등 지속적인 혁신 제품 출시로 프리미엄 시장을 지속 선도하고 있음. 디스플레이 오디오와 내비게이션 영역에서는 동사의 디스플레이 및 소프트웨어 역량을 활용하여 제품 차별화중.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9% 증가, 영업이익은 12.5% 감소, 당기순이익은 16% 증가. 영업이익은 주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재료비 증가 및 글로벌 공급망 이슈에 따른 물류비 증가 등 영향으로 전기 대비 감소함. 지분법 이익 감소에 따른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감소 대비 전년도 휴대폰 사업의 중단영업 손실 반영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한 당기순이익이 증가함.
동사는 각종 전력정보 관리 및 제어를 통해 발전설비 운용/에너지사용 효율화 및 급전 안정화를 구현하는 전력IT사업을 영위함. 또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위한 EPC 사업과 ESS 관련 시스템 구축 EPC 사업 등 신재생 에너지 사업, 철도분야의 전력 및 신호제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철도 시스템 EPC사업을 영위. 주요 재화 및 용역으로는 전력기기, 고압기기, 계량기, 계전기, 초고압, 배전반, 철도시스템, 신재생 에너지 등이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6% 증가, 영업이익은 20.9% 증가, 당기순이익은 6.6% 증가. 동사는 CRM 정보를 활용한 END-USER 집중공략 및 Solution 영업을 강화하고 중국 및 동남아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와 중동 및 북미시장 적극공략하고 있음. 생산기종 확대와 더불어 조기 현지화가 이루어지도록 현지 파트너 발굴을 적극추진함.
부동산개발을 주요 목적으로 부동산개발과 신재생에너지개발사업을 주 영업목적으로 하고 있음. SoC 개발, Platform 개발, IP 개발, Embedded Memory 개발, Library 개발, 테스트 개발 및 QA등 전문화된 조직을 구성하여 고객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함. 디앤디플랫폼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를 활용해 종합 부동산 플랫폼 회사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 중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1% 감소, 영업이익은 69.3% 감소, 당기순이익은 42.5% 감소. 해상 풍력 발전사업 진행 중으로, 신안우이 해상풍력발전사업(400MW)을 한화건설 등과, 인천 굴업도 해상풍력발전사업(230MW)은 대우건설 등과 함께 사업개발에 참여함. 국민연금, 인프라펀드인 글렌몬트파트너스와 합작한 블라인드 리츠/JV를 통해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부동산과 에너지 개발사업 영위함.
SK가 2007년 투자사업부문을 영위할 SK와 석유, 화학 및 윤활유 제품의 생산 판매 등을 영위할 분할신설법인인 동사를 인적 분할함으로써 설립됨. 2009년 10월 윤활유 사업부문을, 2011년 1월 석유 및 화학 사업부문을 각각 물적 분할하였음. 사명을 SK에너지에서 SK이노베이션으로 변경하였으며 2018년 9월 말에 회사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FCCL사업을 넥스플렉스에 매각 완료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6.6% 증가, 영업이익은 124.9% 증가, 당기순이익은 437.2% 증가. 중장기적인 공급 잉여가 예상되는 화학 원료 경쟁을 지양하고 2025년말 완공을 목표로 국내 최초의 Recycle Cluster 구축을 진행 중임. 배터리 사업은 Site 신증설 및 신규공장가동을 통해 생산능력이 2배 이상 증가했고, 매출액 7조 6,177억원이라는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함.
1999년 7월 26일에 설립해 전자부품 종합유통전문회사로 출발하여, 슈퍼커패시터 분유로 사업을 확대, 수소연료전지 부품의 양산준비를 위해 완주1공장을 완공. 슈퍼커패시터는 과학기자재용 장난감부터 친환경발전소(태양열, 풍력) 및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되고 있음. 응용분야와 기술적 발전은 화학전지(리튬이차전지, 납축전지)의 보완재 및 일부대체하는 형태로 그 쓰임새가 다양화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3% 증가, 영업이익은 66.2% 증가, 당기순이익은 55.7% 증가. 연료전지 스택의 주요부품인 MEA와 이를 구성하는 촉매, 지지체를 종합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해 중형슈퍼커패시터 시장에서 글로벌 리딩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자체 개발된 지지체와 촉매 기술을 접목한 MEA 대량생산기술 개발을 진행 중, 2023년도에는 연 100만장 생산기반 구축을 진행중.
동사는 리튬일차전지 중 가장 시장이 큰 Li/SOCl2 전지와 Li/MnO2(OEM)전지 분야를 주 사업영역으로 하고 있음. 리튬일차전지 시장에서 프랑스 사프트, 이스라엘 타디란에 이어 세계 3위을 기록하고 있음. 88년 미국 Greatbatch사로부터 기술제휴를 한 이후로 20년 이상의 기간 동안 리튬1차전지만을 연구, 개발해 왔으며 91년 이후로 양산을 시작해 현재까지 양산설비를 자체 개발해 오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5% 증가, 영업이익은 65.5% 증가, 당기순이익은 35.8% 증가. 22년 하반기부터 코로나 팬데믹 및 자재 수급 불안 해소로 인해 주요 전방산업의 영업활동이 개선되기 시작했고, 당진 스마트 캠퍼스의 생산효율 및 가동율 증가가 실적 달성에 기여함. 또한 리튬 등 주요 자재의 원가 절감 및 환율 상승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증가한 것도 주요 요인임.
동사는 소형전지, 중/대형전지 등의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생산/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소형전지는 원형, 파우치 등의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으며 자동차용 중형전지는 고효율, 고용량 리튬이온 2차전지를 개발하고 이를 자동차 완성업체에 공급하고 있음.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에너지 분야에서 활용되는 소재를 개발 및 판매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5% 증가, 영업이익은 69.4% 증가, 당기순이익은 66.9% 증가. 중대형전지 사업은 자동차용 전지의 미주와 유럽향 매출 확대와 고부가 ESS 제품 매출 증가로 매출과 손익 모두 사업 착수 이후 최대의 성과를 올렸음. 전자재료 사업은 OLED와 반도체 등 고부가 제품 중심 신소재 판매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음.
동사는 1987년 1월 설립되어 전기, 전자기기 구성부품 및 정밀사출부품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영위하며, 2004년에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함. 액정표시장치(LCD)관련 부품사출, OA주변기기 FINISHER제조, 자동차부품사출, TV BLU용 금형제품 제조, LED 조명제품 제조를 주목적으로 함. KMBT,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솔루엠이 주요 매출처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6% 증가, 영업손실은 92.3%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원가율 악화와 판관비, 인건비 등 비용 증가에 따라 영업손실 폭이 확대됨. 동사는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도광판(LGP)사업은 Note-PC용 이외에 Monitor, 3D LCD-TV용 도광판 개발에 착수하여 차별화된 TV도광판 업체로 성장하고자 하고 있음.
동사는 1973년 삼화니찌콘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74년 삼화전기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콘덴서의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하고있음. 제품의 특성별로 전해콘덴서, 전기이중층콘덴서, 칩전해콘덴서, 하이브리드콘덴서 등 제품군으로 구별하고 있음. 매출은 전해콘덴서 64.4%, Green-Cap 2.54%, 기타 제품 1.19%, 콘텐서 및 자재 외 상품 31.8% 등으로 구성됐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 감소, 영업이익은 37.5% 감소, 당기순이익은 24.4% 감소.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금리인상과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등 악재가 겹치면서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가 덮친 탓에, 실적이 하락함. 동사는 실적은 하락하였으나 재무비율로는 부채비율이 전년 대비 26.4%p 감소한 56.2%로 건전한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음.
동사는 종합콘덴서(축전기) 제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56년 설립되었으며 1976년 한국거래소에 상장됨.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서 관계사인 삼화전기가 생산중인 전해콘덴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콘덴서, 즉 전력용 콘덴서(FILM), 단층 세라믹 콘덴서, 적층형 콘덴서(MLCC)를 생산하고 있음. 내수면에서는 대형 IT기업과의 안정적인 거래관계 유지로 경쟁사에비해 상대적 우위에 있음.
2022년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5% 증가, 영업이익은 8% 감소, 당기순이익은 2.5% 증가하였음. 탄소 배출 규제에 따른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 전환으로 부품 수요 증가 예상되어 MLCC 자동차 사업부문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예상되었음. 중전기 분야에서 동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연되었던 신규 및 보수분 투자가 진행됨에 따라 수요 확대 전망함.
동사는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핵심기반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독자적인 가공기술을 사용하여 제품 생산시스템 및 자체설계 및 제작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국내 최고수준의 불소수지 및 고기능성 플라스틱 원료에 대한 혼합, 중합, 합성 등의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객이 요구하는 특정 요구물성을 만족하는 원재료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음. 2차전지 부품, 프린터의 핵심부품 등을 제조함.
2022년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 증가, 영업이익은 7.8% 증가, 당기순이익은 20.1% 감소. 말레이시아 공장이 원통형 2차전지 부품을 신규개발하고 생산라인을 확대하여 양산을 진행 중. 헝가리 공장은 증축을 완료하고 중대형 2차전지 모듈과 셀 부품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 중. 수소연료전지는 현재 2개의 양산 라인을 구축하여 기존 수송용 외에 정치형과 수처리 사업 등 다양한 사업분야로 확대 중.
동사는 2007년 10월 30일 주식회사 서진시스템으로 설립됨. 금속가공 기술 및 시스템 설계 역량을 바탕으로 각종 통신장비, 핸드폰, 반도체장비 등의 함체, 구조물, 전기구동장치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음. 동사는 종속회사를 생산거점으로 베트남 공장 및 설비 투자를 통해 자동차부품 및 전기자동차 부품을 일부 양산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개발 및 양산 준비중에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9% 증가, 영업이익은 23.5% 감소, 당기순이익은 95.8%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지만 원재료비 상승 영향으로 매출원가가 대폭 늘었고 판관비와 인건비 부담이 가중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다소 감소함. 영업이익 축소 영향과 함께 고금리 등에 따른 이자비용 부담이 늘었고 법인세 부담마저 늘어나면서 당기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대폭 감소함.
동사는 차량용 및 산업용 연 축전지 등을 제조/판매하는 회사로서 대표 브랜드로는 '로케트 배터리'가 있음. 내수 판매경로는 대리점, 직판, 기관납 등이며, 수출 판매는 DIRECT 및 LOCAL 수출 등으로 이뤄지며 각각의 당기 매출 비중은 내수 32.8%, 수출 67.2% 임. 2021년에는 세계 130여개국에 US$68,461만불(2020년 연간 : US$67,174만불)의 수출을 시현함.
2022년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 증가, 영업이익은 19% 감소, 당기순이익은 50% 감소하였음. 동사는 큐브밸리제일차(SPC)가 매입하는 전환사채에 대하여 향후 자산 리밸류에이션을 목적으로 총수익스왑계약을 체결하였음. 국내 연 축전지 업체는 10여개 사가 있으며 동사를 포함한 4대 MAKER가 29,504억원으로 98%을 점유하고 있는 상황임.
동사가 영위하고 있는 클린룸 사업은 반도체 및 평판디스플레이, 이와 관련한 소재 및 제품 등의 제조공간에 공기청정도를 제어하는 장비를 생산, 설치하는 사업임. 동사의 재생에너지 사업부문은 태양광모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사업과 직접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ESS를 설치, 시공하는 사업을 영위함. 인버터 제품의 판매, 태양광 발전소의 설치공사와 사후관리를 통해 매출을 다변화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6.1% 증가, 영업이익은 780.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출원가와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힘입은 고정비용 부담 감소로 영업이익이 늘어나며 수익성이 개선됨. 동사는 충청북도 증평군에 신규 공조공장 투자를 실시하여 기존 클린룸 사업의 성숙기 진입에 대비하고 사업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따른 매출확대를 목표로 함.
2002년 9월 설립된 동사는 리튬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전극 제조관련 장비를 전문 제작하며 2차 전지 전공정인 Coater, Calender, Slitter, Tape Laminator 및 기타설비 등을 생산. 코팅공정에서 기존 열풍 방식의 건조 시스템의 틀에서 벗어나 과열증기를 이용한 건조 방식의 코터를 개발하여 생산성을 높임. 슬리팅 공정에는 불량 부분을 식별하는 라벨러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1% 증가, 영업이익은 52.2%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의 거래처인 Britishvolt의 법정관리에 따른 충당금 설정(약 114억원)에 의한 일시적 손실이 반영됨. 주가 하락으로 인해 전환사채 전환가격과 주가(전환 및 평가시점)간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전환사채 평가손익(약 161억원)이 반됨.
46016동사는 2009년 공장자동화장비의 개발, 생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주요제품은 MMC-E 로봇 모션제어기, ESS용 전력변환장치(PCS) 등이 있음. 로봇 모션 제어 및 에너지 제어 장치를 제품군으로 보유한 국내 유일의 기업임. 동사가 제공하는 모션제어기 및 드라이브 제품들은 4차 산업혁명 및 이의 근간이 되는 IoT, 로봇, 스마트 팩토리 등의 핵심 장치들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7% 감소, 영업이익은 31.6% 감소, 당기순이익은 65.1% 감소. 동사는 글로벌 원자재수급 불균형에 따른 매출 및 수익구조가 변동되었으나, 주력사업인 로봇모션의 매출은 상승하였음. 최근 미국, 유럽 등 수출 확대와 국내 대기업의 설비투자 확대 등 주요 고객과 맞춤형 솔루션 공동개발로 성장 가속화를 진행 중.
2003년 4월 설립된 동사는 이차전지 제조장비 중에서 파우치형의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 조립공정 장비 제조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함. 전기자동차용 및 ESS용 이차전지 생산 장비에 집중하고 있음. 동사는 2008년부터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태동기부터 미국의 A123 Systems와 협력하여 세계에서 처음으로 조립공정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 성공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2.5% 증가, 영업손실은 29.7% 감소, 당기순손실은 88.7% 증가. 원자재 가격 상승, 인력 증가에 따른 인건비 상승과 파생상품 관련 손실 발생 등의 영향으로 이익이 감소함. 최근 SKI의 해외공장 투자에 따른 수주가 확대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고 있으며 향후 유럽, 미국지역으로 수주가 증가 할 것으로 예상.
동사의 주요제품은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전기자동차, 전기차 충전기, 태양광 인버터 등에 적용되는 직류 고전압 EV Relay임. 뿐만 아니라 저전압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전동차, 정류기, 조명제어 등에 활용되는 DC Relay 및 Latch Relay도 고객에게 공급함. 2022년 결산 기준 매출은 EV Relay 97.16%, DC Relay 2.77%, 기타 0.07%로 구성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64.1% 증가, 영업이익은 113.8% 증가, 당기순이익은 97.4% 증가. 환율의 영향과 신규 설비 투자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증가율이 더 높았음. 국내 EV Relay 시장의 경우 2016년 208만 달러에서 2026년 8,492만 달러로 CAGR 38.73%의 성장률을 보이며 전세계 성장률을 상회하는 고성장 전망.
동사는 1999년 11월 설립되었으며, 2차전지 조립공정장비 및 충방전장비(Formation, Cycler 등) 제조 및 납품하는 사업을 영위. 또한 자회사(피앤이시스템즈)를 통해 충전인프라 사업도 함께함. 국내 주요 납품처는 이차전지 제조 3사 등을 확보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해외 고객사와의 거래가 꾸준히 증가. 주력사업인 2차전지 사업 뿐 아니라 폐배터리 사업영역 등의 확장으로 제품 고도화 및 사업 다각화를 진행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3.7% 증가, 영업이익은 73.6% 감소, 당기순이익은 86.3% 감소. 사세 확장 및 투자증가로 인한 영업이익은 감소하였지만 적극적 영업활동에 따른 매출 증가세 유지 중. 이차전지 산업은 전기자동차, 스마트폰, 스마트 그리드, ESS 등의 수요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동사는 신형 IT전지 패키징 장비에 관한 연구 과제를 진행하는 등 제품 및 산업 동향에 대응 중.
동사의 사업부문은 크게 두가지로, 신재생에너지 부문과 Power Solution 부문임.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태양광발전 시스템과 ESS의 구성요소인 전력변환장치를 자체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과 태양광발전 시스템과 ESS의 EPC사업을 진행 중임. 동사는 전기압력밥솥용 유도가열 인버터, 선박수처리용 전력변환장치, 직수정수기, 순간온도제어장치, 통신용 배터리팩 및 전기차 충전기 등 다양한 전력변환장치를 개발, 제조 및 판매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4.9% 증가, 영업손실은 903.6% 증가, 당기순손실은 4,603.7% 증가.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적자 폭이 크게 늘어남. 동사의 주요 목표시장인 1MW 이상 태양광 발전설비에 사용되는 대용량 태양광 인버터 시장은 동사 포함 소수의 회사가 시장의 대부분을 과점하여 동사의 20~40% 수준 점유율을 유지 중임.
동사는 전기 자동차 및 ESS용 2차전지 제조를 위한 조립공정의 핵심 장비 Notching기, Stacking기, Tab welding기 제작을 영위함. 또한 전기 자동차에 장착되는 배터리 모듈 팩을 조립 생산하는 Module & Packline 자동화 장비제작을 주사업으로 영위함. 또한 신성장 동력 위해 국내 대형 수소연료전지 생산 업체인 두산퓨얼셀에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소재 촉매코팅 양산장비를 납품하며 수소연료전지 시장 진입.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1.7% 증가, 영업손실은 231.5%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의 총 인원 중 약 40%를 초과하는 인원이 연구소 인력으로 근무하며 경쟁사 보다 앞선 기술 경쟁력을 보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신규 제품 및 기존 제품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Notching기 및 Stacking기 부문에서 시장의 우위를 선점함.
동사는 2010년 12월 17일에 설립되어 CMD(상태감시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수배전반, 태양광발전시스템 등의 제조 및 설치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CMD기술은 IoT(사물인터넷), AI(인공지능), ICT(정보통신)가 적용된 EMS의 일종으로 정부로부터 신기술로 인정받았으며 공공기관에 대한 공급이 매출의 대부분의 차지함. 주요 제품은 수배전반, 태양광발전시스템, 인버터(PCS)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0% 증가, 영업이익은 93.1% 감소, 당기순이익은 36.5% 증가. 동사는 신기술(NET), 조달우수제품, 혁신제품 등 정부 인증을 바탕으로 수배전반 사업에서 2022년 연간 기준 관급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함. 동사는 광섬유 신경망 센서 기반 안전진단 EPC사업, 친환경전력기기사업, 전기차 충전시스템 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음.
동사는 1995년 7월 31일에 설립되어, 선박용 탈황설비(SOx Damper)와 발전플랜트설비 Damper, 전력배전설비 Busway,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ESS)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음. 동사는 에이치엘비파워에서 주식회사 티에스넥스젠으로 사명을 변경하였음. 2022년 10월 24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티에스넥스젠은 존속하며, 티에스셀메디는 소멸해산하는 소규모합병을 진행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7.6% 증가, 영업손실은 50.8% 감소, 당기순손실은 48.2% 증가. 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와 판관비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적자 폭이 축소됨. 동사는 티에스셀메디 흡수합병을 통해 사업다각화 및 수익구조 다변화, 경영합리화를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 신사업 역량강화, 경영효율성 제고를 추진 중임.
동사는 PCM(Protection Circuit Module), SM(Smart Module),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CM(Camera Module) 등을 생산 및 판매함. 보라전자(천진)유한공사, 보라전자과기(양주)유한공사, 엔코, 티엔에스 등 10개 회사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삼성SDI, 삼성전자, LG화학 등을 주요 거래처로 보유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1% 감소, 영업손실은 178% 증가, 당기순손실은 504.7% 증가. 핵심 완제품 시장인 스마트폰 수요감소는 국내외 경쟁기업과의 경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 기존 제품 Portfolio의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있음. 2022년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12억~12.4억대 수준으로 전년대비 11% 내외 감소함.
동사는 소프트웨어 개발, 정보처리 및 정보통신서비스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9년 11월 15일에 설립되었으며 2000년 11월 28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와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IT서비스 사업과 시스템 엔지니어링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당사를 포함한 연결대상 회사는 총 4개사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솔루션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6%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 부담은 늘었지만 판관비와 인건비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며 흑자전환함. 법인세 비용 부담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 증가폭이 커 당기순이익 흑자전환에 성공함.
인테리어 디자인, 가구 디자인, 건축 설계, 시공 등의 종합인테리어 부문, 신재생 에너지 장치 및 설비를 공급하는 에너지 부문 사업을 영위함. 동사는 1998년 12월 28일에 설립 되었으며, 2002년 11월 1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 건축과 에너지관리 노하우가 어우러진 미래지향적 사업모델을 추구하며, 부동산 개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여 사업개발에 주력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4.8% 증가, 영업손실은 218.4% 증가, 당기순손실은 14.7% 증가. 급여 증가으로 인하여 판관비 크게 증가함에 따라 매출증가에도 영업손실 확대됨. 종합인테리어 사업 부문의 부가가치 창출을 위하여 부동산 기획, 개발사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중. 국내 가구공장을 직접 소유하여 운영. 프로젝트 수행 시 가구의 설계, 제작 설치, 품질 관리에 특화된 장점을 보유.
2003년에 설립된 회사로 Roll to Roll 기술을 바탕으로 IT용 소재, 2차 전지의 음극 및 분리막 소재, Copper 등의 코팅 및 슬리터 장비의 제작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음. 디스플레이 소재용 필름 및 전자전기와 소형 및 ESS용 중대형 2차 전지의 분리막/음극/양극 소재, 그리고 회로소재 및 2차 전지용 극박 등 생산하는 장비 등을 개발 및 생산함. 국내 Copper 생산업체 중 LS엠트론에 독점 공급중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6% 증가, 영업이익은 42.9% 증가, 당기순이익은 12.5% 증가. 동사의 국내외 주요 고객사의 지속적인 CAPA 증설은 수주잔고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됨. 최근 소재단의 수주잔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수주 대부분은 전지용 동박 생산 장비로 추정. 글로벌 2차전지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는 장기간 지속될 전망됨.
1990년 4월 설립된 동사는 발전설비 운전·정비 그리고 전기계기의 검침·송달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사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석탄취급설비, 환경설비 등 연료환경설비 분야의 운전 및 정비를 담당하고 있으며 국내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2009년부터 인도, 칠레, 태국 등에 기술인력을 파견하여 정비업무를 수행중. 터빈보일러 주설비 정비시장에서도 안정적인 업무수행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형성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8% 증가, 영업이익은 6.5% 증가, 당기순이익은 88.7% 증가. 친환경에너지 보급을 위해 태양광발전소 건설, 운영에 참여, 첨단ICT 기술을 접목시킨 미래에너지 사업을 위해 에너지저장장치(ESS), 에너지절감을 위한 ESCO사업 등을 수행. 동사의 신재생에너지 및 재활용업무와 관련된 실적은 2022년 기준으로 약 315억원, 회사 전체 매출액의 약 10%를 차지함.
동사는 2018년 6월 1일을 분할기일로 하여 효성이 영위하는 사업 중 건설/중공업 사업부문이 인적분할하여 신설되었음. 주로 전력산업의 핵심 설비인 변압기, 차단기와 산업 생산설비 등에 필요한 전동기, 기어 등을 생산·판매함. 이 외에도 건설사업 분야에도 진입해있음. 또한 현재 각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170kV 50kA GIS 및 154kV Shunt Reactor, compact형 변압기 등을 연구개발 중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4% 증가, 영업이익은 19.3% 증가, 당기순이익은 82.3% 감소. 전력기기 시황 호조로 인한 중공업 부문의 국내외 수주 확대, 건설 부문의 견조한 수주잔을 바탕으로 외형 성장에 성공. 원가율 악화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 확대. 송배전시장 및 발전시장은 노후화된 설비 교체와 신규 발전원 증가에 따른 공급 확대로 인해 지속적인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
ESS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의 약자입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이를 공급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ESS는 전력 그리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재생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ESS는 주로 전기를 저장하고 재생 에너지의 불규칙성을 보완하는 데 사용됩니다. 재생 에너지 시스템(태양광, 풍력 등)은 일정하지 않은 발전량을 가지기 때문에, 발전이 많을 때는 에너지를 저장하고 발전이 적을 때는 저장된 에너지를 공급하여 전력 그리드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1. 재생 에너지 통합: ESS는 재생 에너지 시스템(태양광, 풍력 등)의 불규칙적인 발전량을 보완하고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재생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필요할 때에 공급함으로써 전력 그리드의 안정성을 향상시킵니다.
2. 전력 수요 관리: ESS는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관리하여 전력 그리드 부하를 균형있게 조절합니다. 저렴한 전력을 저장하고 수요가 높을 때에 공급함으로써 전력 사용의 최적화를 도모하고 전력 수급의 안정성을 향상시킵니다.
3. 긴급 상황 대응: ESS는 재난 상황이나 긴급 상황에서 전력 공급의 지속성을 보장합니다. 정전이나 전력 네트워크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전력 중단을 완화하고, 임시 발전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4. 전기차 충전 인프라: ESS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에서 사용되어 전력 그리드에 부하를 줄이고 전기차의 충전 효율과 속도를 향상시킵니다. 또한, 전기차 배터리를 ESS로 활용하여 전기차 충전 시간과 전력 수급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도 있습니다.
5. 독립 전력 공급 시스템: ESS는 외딴 지역이나 오프 그리드 지역에서 독립적인 전력 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사용됩니다. 태양광 패널이나 풍력 발전소와 연계하여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6. 상업 및 산업용 에너지 관리: ESS는 상업 및 산업 시설에서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고 전력 수요를 관리하는 데 활용됩니다. 고효율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사용하여 전력 소비를 최적화하고 전력 요금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ESS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구축, 전력 그리드의 안정성 향상, 전력 사용의 효율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관련주 TOP33 (0) | 2023.06.17 |
---|---|
태양광에너지 관련주 TOP45 (0) | 2023.06.16 |
반도체 장비 관련주 TOP48 (0) | 2023.06.14 |
마이크로 LED 관련주 TOP8 (0) | 2023.06.14 |
시스템반도체 관련주 TOP41 (0) | 2023.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