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이동통신산업이 주요 영업부문이며, 주력사업인 정밀기구 사업 외에 FPCB 관련 사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음. 이동통신산업은 크게 이동통신 서비스산업과 장비 및 제품 제조산업으로 구분되며 당사는 장비 및 제품 제조산업 중 이동통신 단말기 부품 및 조립모듈 제조산업에 해당됨. 이동통신 서비스산업, 특히 이동통신단말기 시장의 성장과 밀접한 연관 관계를 가지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1% 증가, 영업이익은 20.8% 증가, 당기순이익은 25.7% 감소. 갤럭시Z폴드5 힌지 개선으로 역량 강화. 삼성전자 폴더블폰의 신제품 매출 인식 시작과 환율 문제로 매출액 상승. 다만 금리인상으로 인한 소비자 구매력 영향 우려. 삼성전자 이외에도 미국 애플, 중국 스마트폰 업체 샤오미, 오포, TCL, 비보 등도 폴더블폰시장에 참여할 예정.
동사와 연결회사는 광학솔루션, 기판소재, 전장부품 사업부문의 총 3개 사업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사업 포트폴리오 관리 강화 목적으로 전자부품 사업을 별도 사업담당체제로 운영함. 모바일, 디스플레이, 자동차, 사물인터넷 등의 사업 영역에서 관련소재/소자, 전기전자 부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음. 해외 판매망으로는 미국, 대만, 중국, 일본, 독일에 판매법인 및 지사가 설립되어 있으며 판매 및 고객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1% 증가, 영업이익은 0.6% 증가, 당기순이익은 10.3% 증가. 동사 미래의 핵심 사업인 전장부품 사업부문은 친환경 자동차용 부품, 자율주행 관련 부품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36% 성장한 연간 매출 1조 4,464억원을 달성함. 동사는 광학솔루션, 기판소재, 전장부품 사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수익성 개선으로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기 대비 31% 상승함.
2004년 12월 2일 삼성전기 VCR헤드 부문을 분사해 종업원 지주회사로 설립된 전자제품 설계제조회사임. 동사는 휴대폰 카메라모듈 핵심부품인 광학필터 제조 및 판매, 홀센서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주요 제품으로는 광학필터(IR Filter, Blue Filter, Film Filter) 및 홀센서등이 있으며, 주요 수요처는 국내외 대형 Major 휴대폰사가 존재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 감소,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 지속.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매출원가 절감 노력과 함께 각종 비용 등이 줄어들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대폭 증가하며 흑자전환함. 영업이익 흑자전환에는 성공했지만 기타 손실 등의 영향으로 당기순손실 지속됐으며 손실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다소 축소됨.
동사는 RF통신부품 및 반도체 장비 제조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RF통신부품은 주요 모바일 기기 및 기지국장비에 사용되고 있으며, 당사의 반도체 장비는 LED 등 반도체 제작 공정에 사용되고 있음. 동사는 2022년 9월 8일부로 지분 100%를 가지고 있던 자회사 '씨텍'을 무증자 방식에 의하여 1:0 합병 비율에 따라 합병하기로 결의하고, 합병을 마무리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며 매출 감소에 따른 수익성이 악화ㅗ디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함. 영업손실 전환에 따라 당기순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함. LED 및 디스플레이 시장은 업황 침체가 수년간 지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동사는 신규 매출 확보에 매진하고 있음.
동사는 2004년 10월 14일에 설립되었으며 2015년 11월 12일 코스닥 시장에 주권상장함. 주요 생산 제품은 스마트폰/태블릿 카메라 모듈, 3D 깊이 인식 카메라 모듈로 동사의 카메라 모듈 제품은 글로벌 카메라 고객사의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에 채용되고 있음. 국내에서는 삼성전자에 카메라모듈을 납품하는 카메라모듈 제조사 들이 존재하며, 동사는 삼성전자 1차 협력업체에 속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 증가, 영업이익은 41% 증가, 당기순이익은 96% 증가.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와 인건비 등은 늘었지만 판관비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함. 영업이익 증가와 함께 이자비용 감소 등의 영향으로 당기순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함.
1998년 8월에 LCD 모듈 등의 기술개발,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2002년 12월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LCD 모듈 등의 기술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로 모바일용 Display Module 뿐만 아니라 생활의 중심의 첨단 디지털 제품의 토탈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제공함. AMOLED 산업의 성장에 따라 입지가 축소되고 있으나 중저가 휴대폰시장의 꾸준한 성장으로 삼성전자에 안정적인 납품이 이뤄지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9.2% 감소, 영업이익은 14.2% 감소, 당기순이익은 25.5% 증가. 중소형 LCD모듈 수요 감소로 인하여 매출액이 급감했으나 원가절감 및 판관비 통제 등으로 영업손익과 순손익은 개선됨. 고객사와의 공동개발을 통한 매출 연계, 제품의 다양화를 통한 대기업 중심 공략 및 신속한 고객 대응력 확보 등의 성장 전략을 보유함.
동사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쇄회로 기판(PCB)를 주력으로 생산, 판매하는 업체로, 이외에도 자동차용 전장, 웨어러블기기, 디지털카메라 등의 다양한 전자 제품용 PCB를 생산, 판매함. 전자 제품의 경박단소화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채택되고 있는 Build-Up PCB의 제조 및 판매에 주력. 수요처는 대부분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임. 당사의 매출액은 이동통신단말기 시장의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4% 증가, 영업이익은 16.6% 증가, 당기순이익은 11.9% 증가. 당기 중 지배기업이 에이로케이홀딩스 주식회사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37.25%를 취득하여 지배기업이 에어로케이홀딩스 주식회사를 실질적으로 지배함. 연결회사의 신규 종속회사의 편입 및 고부가가치제품 위주의 매출 확대,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2022년 매출액은 2021년 대비 8.4% 증가
동사는 2012년 9월 소재전문기업으로 설립되었으며, 나노관련사업 및 전자부품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나노관련사업은 세계최대 생산역량과 생산설비를 갖추고 있음. 땀으로 인한 습기는 배출시키고, 물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투습방수 기능과 쾌적함을 오랫동안 유지시켜주는 고통기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복합기능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응용 제품을 생산, 판매.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9% 증가, 영업손실은 49.1% 감소, 당기순손실은 68.5% 감소. 지난 10여년간의 지속적인 투자와 독자적인 연구 개발 활동을 기반으로 세계최대 생산역량의 복합기능성 나노섬유 멤브레인 대량양산용 전기방사 설비를 개발, 설계, 제작, 운영. 나노관련사업은 전년동기 대비 30.69% 증가한 34,486백만원으로 동사의 총매출 증가에 기여.
주요사업은 세라믹 소재를 기반으로 한 전자기기 부품을 제조하는 전자부문과 백화점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심외곽형 아울렛을 운영하는 유통부문임. 전자부문은 전자기기에 적용되어 정전기 및 전자파 방지부품을 제조하고 있음. 유통 부문은 백화점형 할인점 등을 운영하여 의류 브랜드의 이월상품 및 기획상품 등을 상시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음. 2019년 100% 자회사인 모다와 모다아울렛, 에코유통, 에이치엠리테일을 흡수합병함.
전자부문의 매출이 감소하였으나, 코로나19 방역 완화로 인한 유통부문의 매출 회복으로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함. 유통부문은 수수료 매출 비중확대로 마진율이 개선되었으나, 전자부문의 원가율 상승과 재고자산감모손실 등으로 영업이익은 23.2% 줄어듦. 일본 소니사가 전기차 시장 진출을 선언함에 따라 과거 소니의 납품사로서 전략적 협업관계에 있는 동사의 수혜가 기대됨.
동사는 휴대폰부품 및 자동차부품 제조 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산업용 재봉, 자수기 제조 판매 사업을 영위함. 주력 사업인 휴대폰부품 제조의 경우 주요 거래처인 삼성전자에 공급하고 있으며, 2020년부터 신규 비즈니스로 종속회사인 (주)모베이스전자를 통한 자동차부품 제조사업에 집중하고 있음. 휴대폰 부품 등 제품을 생산하여 삼성전자에 공급하고 있으며, 주요 종속회사인 모베이스전자는 자동차 부품 등을 현대/기아차에 공급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2% 증가, 영업이익은 385.6% 증가, 당기순이익은 218.6% 증가. 삼성전자의 휴대폰케이스 공급 관련 1차 공급업체로서 납기준수 및 불량률 최소화 등을 통한 여타 공급업체와의 차별화전략을 채택하고 있음. 자동차부품 사업의 경우 현대/기아자동차 계열에 대한 판매 비중은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음.
동사는 2012년 7월 16일에 설립됐으며 영문으로는 "BIOLOG DEVICE CO., LTD" 라고 표기함. 직판 및 대리점 도매상을 통한 판매 경로를 취하지 아니하며, 국내 대기업의 1차 벤더인 Actuator 제조업체에 주로 판매하고 있음. 주요 제품 라인업은 휴대폰용카메라의 Actuator에 탑재되는 AF/OIS FPCB Assy 제품을 생산하는 VCM 모듈 사업과 ISM 모듈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와 인건비 부담은 커졌지만 판관비 절감 노력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하는데 성공함. 영업이익 흑자전환 영향과 함께 이자비용 감소 등의 영향으로 당기순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함.
동사는 2차전지부품 개발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2년 1월 28일에 설립됨. 또한 2007년 5월 23일에 주식을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2차전지의 후방 재료산업으로서 리튬이온 방식의 2차전지 중 노트북, 전동공구 등에 사용되는 원형 CAN,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EV CAN, 대용량 저장장치 ESS 등을 주력으로 생산함. 삼성SDI를 주요 고객사로 보유함.
2022년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7.2% 증가, 영업이익은 66.7% 증가, 당기순이익은 39.8% 증가. 2022년에도 글로벌 배터리 시장의 성장에 발맞춰 대응하고 제품의 품질과 기술개발에 전념한 결과 실적이 큰폭으로 개선되었음. 2023년 국내산업은 인건비 및 금리부담에 따른 사업확장성 약화와 수요감소에 따른 재고 증가 등으로 인해 주요 산업 대부분이 위축되는 상황에서도 2차전지 분야의 성장은 지속될 전망.
동사는 일반조명, IT, 자동차, UV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되는 LED 제품을 연구개발, 생산, 판매하는 종합 LED 기업임. 국내 본사를 중심으로 유럽, 중국, 베트남 등 글로벌 R&D Lab과 생산기지, 영업/마케팅 네트워크를 통해 LED 제품을 제조, 판매 중임. UV, 가시광, IR 등 전파장에 걸친 LED Chip, LED Package, LED 모듈 및 시스템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7%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2022년 초반부터 전자기기의 수요의 기저효과로 특히 TV, 모니터 등의 IT 제품의 수요 감소가 나타나고 있음. 동사는 전장 사업부를 새로운 동력으로 삼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음. 자동차 사업부를 독일로 이전한 뒤 유럽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동사는 제조업을 근간으로 전자IT부품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3년 8월 15일에 설립됨. 2007년 12월 10일자로 코스닥시장 상장을 승인 받음. 동사는 삼성전자 1차 벤더로, 휴대폰 부품 및 Accessory 제품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LG에너지솔루션에 SCM, PCM 등 보호회로를 공급 및 개발함. 또한 LTE Data Device 제품군 공급 및 5G 제품군을 개발진행 중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8% 증가, 영업이익은 67.7% 증가, 당기순이익은 38.7% 증가.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와 판관비, 인건비 등 부담은 다소 증가했지만 매출 증가폭이 더 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함. 영업이익 증가 영향으로 법인세 부담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당기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함.
동사는 2007년 10월 30일 주식회사 서진시스템으로 설립됨. 금속가공 기술 및 시스템 설계 역량을 바탕으로 각종 통신장비, 핸드폰, 반도체장비 등의 함체, 구조물, 전기구동장치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음. 동사는 종속회사를 생산거점으로 베트남 공장 및 설비 투자를 통해 자동차부품 및 전기자동차 부품을 일부 양산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개발 및 양산 준비중에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9% 증가, 영업이익은 23.5% 감소, 당기순이익은 95.8%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지만 원재료비 상승 영향으로 매출원가가 대폭 늘었고 판관비와 인건비 부담이 가중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다소 감소함. 영업이익 축소 영향과 함께 고금리 등에 따른 이자비용 부담이 늘었고 법인세 부담마저 늘어나면서 당기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대폭 감소함.
동사는 중소형 IT 기기의 디스플레이 및 기구물에 탑재되는 기능성 필름을 제조, 판매하는 필름 전문 기업임. 2019년 PCPMMA, 2020년 폴더블특수보호필름으로 사업분야를 확대하였으며, 국내외 스마트폰 제조사 및 디스플레이 업체를 주요 고객사로 확보함. 동사의 제품은 B2B 형태로 거래가 이루어짐. 최종 고객사인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및 해외 Oppo, 샤오미 등의 개발자, 디자이너와 직접적인 대응으로 개발을 진행중.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 감소, 영업이익은 53.9% 감소, 당기순이익은 27.3% 감소.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 특수필름 선행 개발에 참여한 업체로서 폴더블폰에 탑재되는 폴더블 특수필름을 삼성디스플레이에 독점 공급. 기존방식과는 차별화된 MDD공법을 세계최초로 개발하여 경쟁사 대비 기술적 경쟁우위에 있으며, 그라데이션이 적용된 Deco필름을 삼성전자 및 중화권 스마트폰업체에 공급.
동사는 1988년 12월 24일에 설립됐으며, 2001년 8월 9일에 KOSDAQ시장에 상장함. 2002년 3월 29일 (주)세키노스코리아에서 (주)세코닉스로 사명을 변경함. 동사는 광학부문과 필름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종속회사와는 광학사업부문에 대하여 단일부문을 형성하고 있음. 세코닉스는 1988년 설립한 광학전문 기업으로써, 세고광유한전자, 세코닉스 비나, SAL, SEKONIX POLAND를 종속회사로 거느리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3% 증가, 영업이익은 43.1%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매출원가 부담이 늘었고 판관비 등 고정비용 부담이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 감소함. 영업이익 감소 영향으로 당기순이익 역시 적자전환함. 광학사업부문은 원자재가격 상승, 물류비 인상 등 영향을 받으며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음.
1994년 설립되어 1999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고, 2003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수동전자부품 및 BLDC모터 전문 제조기업임. 사업부문은 크게 세라믹 칩 부품, 안테나 부품, BLDC 모터 부문으로 나누어짐. 국내는 물론 중국, 대만, 미국, 유럽 등에서도 제품을 판매함. 당기말 현재 중국 및 베트남 현지 생산법인 등 총 5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중에서 청도아모텍(유)의 지분매각이 결정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6% 증가, 영업손실은 82% 감소, 당기순손실은 97.3% 증가. 신사업 아이템 및 자동차 전장용 제품 실적 증가에 따라 견조한 외형 성장을 보였고, 원가율 개선 및 판관비 통제 등으로 영업손실 규모가 대폭 축소됨. 해외 영업력을 강화하기 위해 미주, 일본, 중국, 대만, 유럽 등에 지사 또는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시장조사 및 고객 밀착 영업 등을 진행하고 있음.
동사는 1973년 설립, 2002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와 종속회사 사업 부문은 인덕터와 저항기를 제조해 판매하는 수동소자 부문과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해 판매하는 PCB 부문으로 분류됨. 매출은 수동소자 부문 45.3%, PCB 부문 54.7%로 구성됨. 현대모비스, NIDEC MOBILITY(구 OMRON), 알프스, 한국단자공업, 삼성전자 등이 PCB 부문 주요 고객사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5% 증가, 영업이익은 269.6% 증가, 당기순이익은 152.6% 증가. 종속회사 중 베트남법인인 ABCO ELECTRONICS VINA CO.,LTD.에서 2020년 3월 설립 이후 본격적인 가동으로 처음으로 흑자전환을 성공함. 아비코테크(주)의 신규사업인 반도체패키징 임가공(적층공정)사업이 2022년부터 본격화되어 매출액 및 이익기여도가 높아졌음.
1996년에 비메모리 반도체칩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목적으로 하여 설립되었으며, 2009년 코스닥에 상장함. 팹리스(Fabless) 업체로 주력사업은 스마트에너지 사업부문, 무선사업부문, 멀티미디어 사업부문, 전기화재방지 부문으로 구성됨. 무선사업의 주요고객은 가전회사, 멀티미디어 사업의 주요고객은 라디오 전자업체임. 연결대상 종속법인으로 반도체설계 및 제조기업인 (주)글로베인을 보유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5%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한국전력 AMI 사업 확대가 스마트에너지(PLC모뎀 등) 사업부문의 실적 개선을 견인하며 매출 성장 및 영업손익 흑자전환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함. 원격검침 구축이 진행되고 있는 전기외 가스/수도 등의 민수통합검침 시장에도 PLC 및 LTE / Wi-SUN / NB-IoT를 통한 원격검침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
동사는 본사를 거점으로 한국 및 해외 5개 종속기업이 사업을 운영하고 있음. 사업군별로는 소자급 반도체 부문(ECM 반도체, MEMS Microphone, TVS 반도체 등 생산)과 LED 조명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신규사업으로는 웨이퍼 파운드리 사업이 있음. 동사는 2012년 교류 직결형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특허를 취득한 이후로 2013년부터 LED 조명 산업에 진출하여 현재까지 꾸준히 매출액 증가를 이어가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6% 감소, 영업손실은 4.8%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매출원가 절감 노력과 함께 각종 비용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손실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다소 축소됨.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기타 손실 등의 영향으로 인해 당기순손실 역시 지속됐으며 적자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확대됨. 향후 고부가가치 제품을 중심으로 수익성 개선에 나선다는 계획.
1995년 설립되어 현재 IT사업(모바일 기기의 부가장치 제조 및 판매)과 LED사업(LED 조명기기 제조 및 판매)을 영위하고 있음. IT사업은 모바일 기기 부가제품을 연구개발, 생산, 판매하는 기업으로 동사의 기술적 우위 및 해외 현지화 전략을 통해 모바일기기 부가제품을 삼성전자에 ODM 방식으로 공급. 신성장동력으로 히알루론산 필러와 보툴리눔 독소를 활용한 바이오 의약품 등을 연구개발, 제조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7% 증가, 영업이익은 69.9% 증가, 당기순이익은 32.2% 감소. 사업 및 경영효율화가 견조한 수준의 매출 성장을 견인했고, 원가 절감 및 생산 구조 효율화로 영업손익이 대폭 개선됨. 고부가제품의 개발, 해외 시장 공략 및 원가 경쟁력 증대 등으로 기존 사업을 성장시키고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사업 등 신규 사업을 추진함.
동사는 2000년 1월11일 설립되었으며, 2007년 12월 26일 주식을 코스닥시장(KOSDAQ)에 상장함. 동사의 사업부문은 핸드폰 금속부품부문, 1차전지부문, 2차전지 금속부품부문, 친환경 수소부문, 기타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동사의 핸드폰 금속부품 사업부문은 Galaxy 시리즈, 폴드, 플립, Hinge 등을 비롯한 휴대폰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음. 국내와 중국 동관, 베트남 박장 등에서 사업을 영위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5%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으며 각종 비용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함. 영업이익 흑자전환 등의 영향으로 당기순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함. 동사는 삼성전자와 거래관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국내 여러 경쟁사를 두고 점유율 경쟁을 펼치고 있음.
동사는 1991년 5월 3일에 설립되었고, 2001년 12월 13일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으며, 동사를 제외한 6개의 종속회사가 있음. 전문건설부문의 클린룸, 수장, 파티션, 인테리어사업과 첨단부품부문의 Crystal Device(단말부품)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음. LG디스플레이 파주 9세대 라인 및 OLED 라인 등에 참여하고 있고, S&I, GS건설,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림산업 등 대형 건설사와 협력 강화.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으며 매출원가 절감 노력에 힘입어 판관비와 인건비 부담 가중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함. 영업이익 흑자전환과 함께 법인세 비용 감소 등의 영향으로 이자부담이 늘었음에도 당기순이익 흑자전환함.
전자부품 제품 제조 및 판매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1년에 설립되어 2000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고 2013년에 파트론 컨소시엄에 매각됨. 주요 사업은 핸드폰용 카메라 모듈용 렌즈, LED조명 및 임가공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몽골지역에서 3개의 탐사권을 확보하며 광산개발 사업도 진행 중임. 당기말 현재 중국현지생산법인 등 총 3개의 연결대상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 감소, 영업이익은 23.3% 증가, 당기순이익은 91.8% 증가. 주요 제품의 매출액은 감소 되었으나, 수율이 안정화 되어 영업이익이 증가했고, 토지 일부가 한국토지주택공사 편입되어 처분이익 약19억원 발생 함. 제품개발력, 품질안정화, 납기준수를 통하여 다양한 제품모델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생산시스템을 기반으로 점유율 확대를 위해 노력 중임
2004년 12월 22일 CCM기술을 기반으로 설립한 영상전문기업으로써 휴대폰용 카메라모듈과 자동차용 카메라모듈을 주력제품으로 생산하고 있음. 동사는 휴대폰용 카메라모듈, 자동차용 카메라모듈, 휴대폰용 엑츄에이터, 생체인식모듈, 멀티 카메라모듈, 블랙박스용 카메라모듈, 로봇용 카메라모듈, CCTV용 카메라모듈 등의 사업을 영위함. 삼성전자 등에 프리미엄 스마트폰부터 보급형 스마트폰까지 라인업을 다양화하여 카메라 모듈을 공급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8% 증가, 영업이익은 55.2% 감소, 당기순이익은 41.8%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 부담이 커졌고 인건비 등 부담이 가중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대폭 축소됨. 전반적인 수익성이 악화되고 이자비용 등도 커지면서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함.
동사는 광학부품의 생산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99년 5월 26일에 설립, 유리 기반 광학부품 전문 기업임.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에 적용되는 이미지센서용 필터와 디지털카메라, CCTV 및 전장용으로 사용되는 광학렌즈 및 렌즈모듈, 모바일용 스마트기기 카메라에 사용되는 가변조리개 등을 제조해 판매함. 경상남도 창원 본사와 대전사업장, 그리고 중국 천진 및 동관, 베트남에 해외사업장이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7% 감소, 영업손실은 873.3% 증가, 당기순손실은 2885.4% 증가. 동사는 사업장 재편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발생하였고, 소비시장 위축으로 인한 고객사 매출 감소 및 환율 상승에 따른 원가율이 악화되었음. 또한,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관계기업 자산가치가 크게 하락하여 하락 당기순손실 대폭 확대되었음.
동사는 자체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한 SAW Filter, Duplexer, Bluetooth Module 등 RF솔루션 제품의 개발 및 판매를 목적으로 2008년 6월 20일 설립됨. 매출증대 및 사업의 다각화를 위하여 2G/3G/4G용 이동통신 단말용 부품 뿐만 아니라 5G용 SAW 제품 및 RF 모듈 부품을 양산 중임. 차량 전장용 부품 사업을 추가 확대하기 위해IATF16949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7%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으며 매출 감소에 따른 매출원가와 인건비 등 부담은 줄었지만 판관비가 대폭 늘어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함. 영업손실 전환 등의 영향으로 법인세 부담 감소에도 불구하고 당기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함.
동사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탑재되는 전력증폭기 모듈(PAM)을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사업으로 영위함. 휴대폰 부품 중 PAM를 포함한 RF FEM 시장은 각 휴대폰 메이커별로 일부 업체가 과점 공급하고 있으며 해외 글로벌 기업들이 주를 이루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으로는 동사가 유일함. 사업 다변화의 일환으로 스마트카 분야에 진출하여 2019년부터 스마트카 관련 매출이 발생하였으며, 현재 선도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4% 감소, 영업이익은 2603.1% 증가, 당기순손실은 36.9% 증가. 영업이익은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으나 주요 종속회사인 펜타스톤인베스트먼트의 신기술투자로 인해 당기순손실은 증가함. 향후 5G제품 증가, 삼성전자 Flagship 진출 및 커넥티드 자동차에 대한 수요 증가 등의 외부 요인과 차별화된 동사의 핵심 기술 등으로 매출 회복과 성장이 예상됨.
1993년 우주전자로 설립되어, 1999년 8월 법인으로 전환 및 우주일렉트로닉스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2004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동사와 종속회사는 전기·전자부품의 제조 및 판매업과 자동차 부품의 제조 및 판매업을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음. 모바일 커넥터, 디스플레이 커넥터, 자동차 커넥터 등이 주요 제품임. 당기말 기준 중국 현지 생산 법인 등 총 7개의 연결대상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 감소, 영업이익은 26.9% 감소, 당기순이익은 26.8% 감소. 차량용 커넥터 사업은 선전했으나 모바일 및 디스플레이 등 IT 커넥터 사업 부진으로 외형 축소, 단위당 고정비 부담 증가로 영업손익과 순손익 모두 악화됨. 회로의 고밀도화와 다기능화에 따라 PCB의 제약성을 극복할 수 있는 초정밀 커넥터의 개발을 추진 중임.
1982년 7월 설립되어 휴대폰 및 전자제품 부품을 전문 개발, 생산하는 기업으로서 주요 생산 제품군으로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키버튼, 금속부품, 부자재 및 액세서리 등이 있음. 삼성전자를 주요 매출사로 휴대폰용 키패드를 공급하고 있으며 2010년 베트남 공장을 설립하여 공급을 확대하고 있음. 당기말 현재 중국, 베트남, 인도 등 현지 생산법인 총 5개사를 연결대상 종속기업으로 보유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코로나 완화와 전방산업 호조에 기인하여 매출액이 성장했고, 내부관리 강화를 통해 비용절감에 성공하여 영업손익 및 순손익 모두 흑자전환에 성공함. 휴대폰 부품산업의 영업 환경은 변동성이 큰 분야로 동사는 신규 제품 발굴을 통한 부품 다변화를 위해 노력 중이며, 보안을 위해 별도의 전망을 제시하지 않음.
BLU 부문의 경우 사용자의 눈방향으로 균일한 조도의 빛을 발생시켜서 LCD 패널에 표시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 디스플레이용 BLU는 선진시장의 신흥시장의 성장률 둔화로 경쟁이 과열되어 시장의 성장성은 불투명한 상황임. 반도체 장비부문의 경우 지문인식 센서, SIP 패키지, 양면 Mold 분야에서 안정적인 Thickness 품질 확보로 지속적인 장비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2% 감소, 영업손실은 86.7%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 감소와 함께 베트남 제조법인의 생산량 감소에 따른 영업적자 증가로 인해 베트남 제조법인 영업 중단함. 디스플레이용 BLU는 선진시장의 성숙기 진입에 따른 포화 상태와 신흥시장의 성장률 둔화로 경쟁이 과열되어 시장의 성장성은 불투명한 상황이나, 반도체 장비부문의 경우 기술력을 통해 시장 선점 노력 중임.
동사는 휴대폰 부품인 Battery Pack, Case(플라스틱 및 메탈), 충전기를 생산하여 글로벌 휴대폰 업체에 공급하고 있음. 배터리팩은 본사에서 휴대폰용, 청소기용, ESS용 등을 위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중국에서 노트북용, 청소기용, 전동공구용 등을, 베트남에서 휴대폰용, 전동공구용 등을, 인도에서 휴대폰용 배터리팩을 생산하고 있음. TV, 오븐, 전자레인지 등의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글로벌 업체에 공급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 증가, 영업이익은 124.8% 증가, 당기순이익은 61.3% 증가. 신규사업인 전자담배 디바이스의 매출 증가로 수익성 개선함. 휴대폰용 배터리팩 제조는 자동화 라인을 지속으로 제작, 개조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있음. 신흥시장의 공략 등으로 삼성전자는 시장점유율 회복 및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동사의 휴대폰용 부품도 성장세를 회복할 것으로 예상됨.
동사는 1999년 10월 1일에 설립되어 2008년 9월 18일 한국거래소의 코스닥 증권시장에 상장한 주권 상장 법인임. 동사는 OLED 소재 생산 판매 사업과 초정밀 금형 및 부품 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핵심 사업인 OLED 소재 생산 판매 사업부문은 OLED 소재의 개발, 제조, 판매로 이루어지는 사업이며, 구조 설계부터 양산까지 전체 공정이 가능한 요소 기술과 합성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3.3%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92.2% 감소. 매출이 전년 대비 늘고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했음. 특히 인건비와 복리후생비는 전년 대비 오히려 줄어들었고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긍정적 영향을 줌. 분자동력학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한 신규소재 개발을 가속화하고, 핵심 제조 기술 및 생산의 내재화로 제조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임.
동사는 전기전자기기 및 이에 해당하는 부품 개발, 제조, 도소매업을 목적으로 2001년 1월 18일에 설립됨. 이동통신단말기용 Micro Speaker, Dynamic Receiver, 등을 생산, 판매하는 부품사업부와 전자담배 Device, Wireless 스피커 등의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제품사업부 2개로 구성됨. 마케팅 업무는 국내에서, 제조는 국내사업장 및 해외사업장에서 진행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 증가, 영업이익은 8.6% 감소, 당기순이익은 3%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 부담이 늘었고 특히 판관비와 인건비가 대폭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함. 영업이익 감소 영향과 함께 이자비용 부담 증가 등의 영향으로 당기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축소됨.
1981년 6월 설립되어 IT디바이스, 자동차 부품 제조, 프린트 ASS`Y 제조, 가전제품 ASS`Y 제조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자동차 부품 부문은 2016년 7월 신규 인수한 미래 법인과 국내 구미사업장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구미사업장 및 인탑스 천진법인에서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고 있음. 삼성전자에 가전제품 내/외장재 부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주요 제조 품목은 냉장고, 세탁기 등 가전제품의 케이스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9% 증가, 영업이익은 62.2% 증가, 당기순이익은 33.5% 증가. 주요 고객사로부터의 수주량 증가 및 신사업부문 성장으로 매출액이 성장했고, 수율 개선 및 비용 절감을 통한 매출원가율 하락 등으로 손익이 대폭 개선됨. 인탑스인베스트먼트(신기술사업금융회사), 풍력발전 및 수상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 사업 등을 신규 사업을 추진 중임.
동사는 1994년 설립되어 2003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제조업체임. 베트남에 위치한 INTERFLEX VINA CO.,LTD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등이 주요 고객사임. 영풍전자, 비에이치 등이 주요 경쟁사임. 현지 고객 요구에 따라 중국 및 베트남 출자회사에 CAPA 증설 투자를 진행하는 등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 감소, 영업이익은 715.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전기 대비 신규 모델 제품 매출 증가로 이에 따라 영업이익은 크게 상승하였으며 및 당기순손익도 흑자전환되었음. 2022년도 신규 모델 판매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당기순손익이 흑자전환함에 따라 관련 수익성 지표가 전반적으로 개선됨.
휴대폰 카메라용 렌즈 등 나노광학부품, 반도체 검사용 IC 소켓 부품 및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 목적으로 함. 스마트폰용 8M 렌즈의 양산, 최근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CCTV, 자동차용 렌즈의 개발 및 양산 등 다른 사업 영역으로의 확장도 추진하고 있음. 액추에이터와 렌즈의 인프라를 모두 갖추고 CCTV, 차량용 카메라 등 다른 사업 영역으로의 확장도 추진 중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5%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250.2% 증가. 고사양 카메라모듈 액츄에이터 매출 확대 및 생산성 향상과 고정비 절감에 따라 영업손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함. 다만, 현금유출과 관련없는 영업외평가손실 인식으로 대규모 순손실을 시현함. 금형 매출처 확대를 위한 영업력 집중, 신규사업인 광학렌즈사업의 확대를 통해 외부판매 매출 비중을 지속적으로 높이는 성장전략 보유.
동사는 휴대폰 부품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강화유리 사업부문과 휴대폰용 커넥터 사업부문으로 구분됨. 동사의 제품군은 커넥터, 휴대폰 커버글라스, 카메라 윈도우 등 3개 제품군에서 웨어러블, 차량용, 폴더블용 초박막유리(UTG) 등 6개 제품군으로 확대될 예정임. 현재 모바일 및 자동차용 커버글라스 등 강화글라스 대부분의 생산은 100% 자회사인 베트남 법인에서 진행되고, 방수 및 비방수 등 커넥터 사업 부문은 전량 국내에서 생산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4% 감소, 영업손실은 44.2% 증가, 당기순손실은 74.8% 증가. 미중 무역 분쟁으로 중화권 최종고객인 화웨이의 휴대폰 판매가 부진했고 이에 따른 영향으로 매출액이 크게 감소함. 대응 방안으로 제품 다각화를 위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음. 2021년 베트남에 3공장을 완공하여 제품 양산중이며 2022년 베트남 공장의 일부 신제품의 경우 매출실적이 전년대비 370% 증가함.
휴대폰 등 모바일 응용기기에 적용되는 메모리반도체를 개발하여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함. 자체적으로 제조 생산라인을 보유하지 않고 전문 파운드리회사에 위탁 생산함. 통신장비와 사물인터넷 등에 들어가는 메모리반도체 일종인 ‘멀티칩패키지’에 주력함. 매출액 중 NAND MCP가 차지하는 비중은 70% 이상임. 종속회사로 반도체메모리 IC개발회사(램스웨이)와 복권중개회사(아이지엘)가 있음. 복권판매 자회사인 동행복권은 연결 제외됨.
전세계적인 긴축 기조와 함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코로나 셧다운 등으로 인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반도체 수요가 위축되면서 매출은 감소함. 반도체 공급부족에 따른 시장가격 상승과 환율 급등뿐만 아니라 동사가 역점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차량용 반도체에서 매출이 발생함에 따라 영업이익률이 크게 개선됨. 글로벌 5G 침투율 상승과 함께 5G IoT 기기 출하량 증가로 이 부분에서도 동사의 수혜가 기대됨.
동사는 휴대폰용 카메라모듈, 생체정보인식 및 정보보안기술 응용제품, 전기자동차 및 관련 핵심부품에 대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는 휴대폰 카메라모듈을 주력아이템으로 개발, 생산하여 주 고객사인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에 공급하고 있음. 저화소급 공급이 증가 됨에 따라 당사는 경쟁력 없는 저화소급에서 고화소인 8M급 이상 13M급, 16M급, 24M급, 32M이상 급 모듈 생산으로 전환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4%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카메라 모듈의 경우 수주 경쟁이 치열하고, 거래 통화인 달러화의 환율에 따라 가격변동이 발생. 삼성전자 1차 협력사로서 주력사업인 스마트폰 카메라모듈 시장에서 선도 업체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으며, R&D 역량 기반으로 기술진입장벽 강화 노력 중임.
동사는 휴대폰 안테나 사업 부문에서 최근 스마트폰 안테나로 부각되고 있는 LDS 안테나에 대한 한발 앞선 투자와 NFC 안테나 개발 및 매출을 통해 국내 주요 무선 통신 업체로서의 입지를 이어가고 있음. 또한 소재소자 분야와 통신 모듈 분야, 소비재 분야 등으로의 시장 진출을 통해 사업 다각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음. 공기를 고열로 삶아 깨끗한 공기로 재배출하는 백금촉매 방식의 공기청정살균기를 개발, 제조, 판매하는 사업도 진행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7% 증가, 영업손실은 6.4% 감소, 당기순손실은 257.5% 증가.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대폭 증가했지만 원재료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매출원가 역시 크게 늘었으며 판관비와 인건비 등 부담이 가중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적자 기조 유지됨.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이자비용 부담 증가 등의 영향으로 당기순손실 규모 전년 동기 대비 확대됨.
2014년 5월 9일 차바이오앤디오스텍에서 인적분할되어 카메라렌즈모듈 개발 및 제조ㆍ판매 등을 목적으로 신규 설립됨. 동사와 그 종속회사는 스마트폰/소형 모바일 기기 등에 탑재되는 카메라 및 렌즈 모듈의 개발 및 생산 판매하는 광학사업을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음. 동사는 주력사업인 광학렌즈와 카메라모듈 사업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원컴퍼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시너지 효과와 경영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수익력을 강화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3.7% 증가, 영업손실은 66.4% 감소, 당기순손실은 41.7%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대폭 증가했지만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 부담이 커졌고 판관비와 인건비 부담 역시 가중되면서 영업손실은 지속됨. 다만 전년 동기와 비교해 적자 규모는 다소 감소함.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이자부담이 늘어나면서 당기순손실 지속됨.
동사는 PCM(Protection Circuit Module), SM(Smart Module),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CM(Camera Module) 등을 생산 및 판매함. 보라전자(천진)유한공사, 보라전자과기(양주)유한공사, 엔코, 티엔에스 등 10개 회사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삼성SDI, 삼성전자, LG화학 등을 주요 거래처로 보유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1% 감소, 영업손실은 178% 증가, 당기순손실은 504.7% 증가. 핵심 완제품 시장인 스마트폰 수요감소는 국내외 경쟁기업과의 경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 기존 제품 Portfolio의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있음. 2022년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12억~12.4억대 수준으로 전년대비 11% 내외 감소함.
2022년 9월 1일을 분할기일로 하여 (주)파인테크닉스에서 IT부품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분할신설회사로 인적분할되어 신규 설립됨. 주요 사업으로 휴대폰 등 IT부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함. 폴더블폰의 디스플레이 모듈용 폴더블 내장힌지 등 모바일기기 기구 부품 및 모듈 관련 제품을 생산, 판매. 최근 폴더블 스마트폰의 등장 및 증가에 따라 동사가 독점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내장힌지 등 신규 제품의 수요 역시 증가중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 증가, 영업이익은 0% 증가 IT부품 제조 사업부문의 경우, 최근 폴더블 스마트폰의 등장 및 증가에 따라 동사가 독점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내장힌지 등 신규 제품의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음. 신규사업으로 전기차용 부품 제조 등을 통해 전기차를 포함한 자동차 시장에 본격 진출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 시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전망됨.
동사는 1990년 8월 20일에 설립된 후 1997년 4월 21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Memory 반도체 중 모바일 폰의 Buffer Memory로 사용되는 제품에 대한 설계 및 판매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팹리스 전문회사로서 모바일 디램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생산시설이 없는 팹리스 업체로, 제품 생산을 위한 파운드리 거래처 확보는 사업 추진에 있어 필수적인 중요한 요소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6.5% 감소, 영업이익은 64.8% 증가, 당기순이익은 184.4% 증가.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매출원가 절감 노력과 함께 판관비와 인건비 부담 등을 줄이는데 성공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 증가함. 전반적인 수익성 개선과 함게 이자비용과 법인세 부담 감소 등의 영향으로 당기순이익은 큰 폭으로 증가함.
동사는 세계1위의 액츄에이터 시스템 전문기업을 모토로 2001년 3월 29일에 설립됨. 동사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하는 다양한 액츄에이터의 개발 및 생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주요 제품으로는 초소형 AF Actuator, OIS Actuator, HD HAPTIC(햅틱) 액츄에이터 모듈인 SRA(Solenoid Resonant Actuator) 등이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77.2%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와 인건비 등 부담은 늘었지만 판관비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함. 영업이익 흑자전환과 함께 이자비용 등의 부담이 감소하면서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함.
동사는 1994년 09월12일에 설립되었으며, 전자제품 생산 서비스인 EMS 산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생산하고 있는 주요 제품으로는 LCD(LCD-TV등) Module용 부품과 OLED(Smart phone등) Module용 부품으로 전체 매출액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 동사는 Total 제조 System을 갖춘 업체로써 SET업계의 Out Sourcing 확대정책에 가장 적합한 EMS서비스를 제공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7.8% 증가, 영업이익은 36.7% 증가, 당기순이익은 10.4% 증가. 매출액은 증가했으나 매출원가와 판관비의 증가폭이 커 영업이익 증가폭이 매출액 증가폭만큼은 오르지못함. 주요 고객사로부터 배부받는 forecast를 기준으로 자체 파악한다면 주요 고객사 전체 물량의 약 30%의 점유율을 추정할 수 있음.
동사는 1988년 7월 6일 주식을 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고 2010년 12월 지배기업의 상호를 한솔LCD주식회사에서 한솔테크닉스로 변경함. LCD TV의 핵심부품인 파워모듈, BLU 및 LED Chip을 제조하기 위한 LED 웨이퍼, 태양광 발전 모듈, 휴대폰과 부품을 생산함. 동사의 휴대폰 사업은 스마트폰과 테블릿 제품을 주품목으로 생산하여 고객에게 납품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5%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와 판관비, 인건비 등 부담은 늘었지만 매출 증가 영향이 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며 흑자전환함. 이자비용 부담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 흑자전환 영향으로 당기순이익 역시 흑자전환함.
1. 칩 부족 현상: 최근에는 칩 부족 현상이 휴대폰 산업을 강타하고 있습니다. 칩은 휴대폰의 핵심 부품으로서 수요가 많은 만큼 공급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생산과 판매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휴대폰 업체들에게 생산 및 판매 제한을 가할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는 가격 상승과 제품 공급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OLED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는 휴대폰의 화면 기술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OLED 디스플레이의 생산과 관련된 이슈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OLED 디스플레이 생산 시설의 한계와 수요 증가에 따른 생산 능력 부족 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이는 휴대폰 제조사들의 생산 계획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배터리 안전 문제: 휴대폰 배터리는 사용자들에게 안전이 매우 중요한 부품입니다. 과거에는 일부 휴대폰 제조사들이 배터리 안전 문제로 인해 리콜을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배터리 제조 및 관리 과정에서의 안전성 강화와 관련된 이슈가 계속해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4. 카메라 모듈 개선: 휴대폰의 카메라는 사용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성능 향상과 기능 추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카메라 센서, 렌즈,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 등과 관련된 이슈가 휴대폰 부품 산업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5G 지원 부품: 5G 통신 기술의 보급으로 인해 휴대폰 부품 산업에서는 5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부품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5G 안테나, 모뎀, RF 칩 등과 관련된 이슈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폰 업체들은 5G 지원 기능을 갖춘 제품을 출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관련주 TOP9 (0) | 2023.06.18 |
---|---|
제습기 관련주 TOP9 (0) | 2023.06.17 |
블록체인 관련주 TOP26 (0) | 2023.06.17 |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관련주 TOP33 (0) | 2023.06.17 |
태양광에너지 관련주 TOP45 (0) | 202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