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와 차트

반응형

외봉 패턴 중 종가와 시가 사이가 작다면 숏바디 캔들이라고 부릅니다. 숏바디 캔들의 종류에는 스타형 캔들(별형 캔들), 하이웨이브 캔들(스피닝 탑스), 망치형 캔들, 교수형 캔들, 역망치형 캔들, 유성형 캔들이 있습니다.

 

 

 

숏바디 캔들 종류

스타형 캔들(별형 캔들)

스타형 캔들은 숏바디 캔들 중 가장 일반적인 캔들입니다. 몸통의 길이가 짧고 위아래로 작은 꼬리를 달고 있는 형태입니다.

 

스타형 캔들(별형 캔들)
스타형 캔들(별형 캔들)

 

 

스타형 캔들은 장중에 큰 변동성이 없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캔들의 출연 시 추세지속/추세반전 또는 상승/하락 확률이 거의 반반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샛별형이나 잉태형 등 나타나는 위치에 따라 저점이나 고점 신호가 되기도 합니다.

 

 

 

하이웨이브 캔들 (스피닝 탑스)

하이웨이브 캔들은 봉의 몸통의 길이가 짧고 위아래로 꼬리가 긴 캔들을 말합니다.

 

하이웨이브 캔들(스피닝 탑스)
하이웨이브 캔들(스피닝 탑스)

 

 

하이웨이브 캔들은 장중 큰 변동성이 있었으나 매수세와 매도세가 균형을 이루며 장이 마무리되었을 때 나타나는 형태입니다. 음봉, 양봉은 큰 영향이 없으며 거래량도 많은 경우가 많습니다. 시장에서 주가에 대한 판단이 애매한 경우 나타납니다.

 

 

 

망치형 캔들, 교수형 캔들

망치형 캔들과 교수형 캔들은 윗꼬리가 없는 형태로 음봉과 양봉으로 구분하지 않으며, 하락 추세에서 나타날 경우 망치형, 상승추세에서 나타날 경우 교수형 캔들이라고 부릅니다.

 

망치형 캔들, 교수형 캔들
망치형 캔들, 교수형 캔들

 

 

망치형 캔들은 아랫꼬리가 길고, 거래량이 크며, 양봉의 형태로 나타날 경우 신뢰도가 높습니다. 하락 구간에서 상승반전형 캔들로 60% 정도의 확률을 가집니다.

 

교수형 캔들은 음봉의 형태로 나타날 경우 하락반전에 대한 신뢰도가 조금 더 높습니다. 보통의 경우 하락반전의 신호로 보고 있으나 상승추세를 이어갈 확률이 59% 정도 된다고 합니다.

 

 

 

역망치형 캔들, 유성형 캔들

역망치형 캔들과 유성형 캔들은 아랫꼬리가 없는 형태로 음봉과 양봉으로 구분하지 않으며, 하락추세에서 나타날 경우 역망치형, 상승추세에서 나타날 경우 유성형 캔들이라고 부릅니다.

 

역망치형 캔들, 유성형 캔들
역망치형 캔들, 유성형 캔들

 

 

역망치형 캔들은 상승반전형 캔들이지만 신뢰도가 조금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장대음봉 이후 전날 종가 밑에서 마감한다면 하락 추세를 이어갈 확률이 65% 정도 된다고 합니다.

 

유성형 캔들은 하락반전형 캔들입니다. 신뢰도가 60% 정도 되며 고점 신호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직전 봉과의 갭 여부가 매우 중요하며 갭이 있을 경우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