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와 차트

반응형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관련주 목차

     

 

 

 

1.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관련주 - KT서브마린(060370)

KT서브마린 개요

동사는 1995년 4월 17일 설립되었으며, 2002년 2월 15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동사는 해저통신/전력케이블 건설과 유지보수사업, 해저파이프라인 설치/매설, 특수케이블 설치/유지보수, 탐사 등 Offshore사업, 해상구조물 제작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2022년 매출액은 건설공사 68.4%, 유지보수 29.9%, 기타 1.7%로 구성되어 있음.

 

 

KT서브마린 실적

2022년 별도기준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43.2% 증가, 영업손실은 23.7% 확대, 당기순손실은 231.0% 확대. 매출이 증가했지만 매출원가 역시 크게 증가하였으며 판관비, 인건비 등 비용 부담이 증가해 영업손실 폭이 확대되었음. 2022년 매출액을 공사 형태로 구분하면 건설공사 293억원, 유지보수 128억원, 기타공사가 7억원. 지역별로는 해외 406억, 국내 22억원. 2022년 말 수주잔고는 719억원임.

 

 

 

2.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관련주 - LS(006260)

LS 개요

동사는 LS 상표권의 소유주로서 브랜드의 가치제고 및 육성, 보호 활동을 종합적으로 수행해 나가고 있음. 동사는 연결기준의 사업형태를 고려하여 전선사업부문, 일렉트릭사업부문, 엠트론사업부문, 아이앤디사업부문으로 사업을 구분하고 있음. 전선사업부문은 전선, 전력, 통신 등으로 세분하였고, 일렉트릭사업부문은 전력,자동화,금속, IT 등으로 세분하였으며, 엠트론사업부문은 기계와 부품으로 세분화함.

 

 

LS 실적

2022년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 증가, 영업이익은 19% 증가, 당기순이익은 44% 증가. LS전선의 영업은 전력, 통신 등 각국의 기간산업을 기반으로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데이터센터 등 친환경과 디지털 산업 분야로 확대하고 있음. LS전선의 판매전략은 일반 개인 고객보다 공공 및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고객의 니즈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적기에 제품을 개발, 판매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

 

 

 

3.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관련주 - 동아지질(028100)

동아지질 개요

동사는 1971년 3월 설립하여 2009년 6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주요 사업은 토목분야의 보링 그라우팅 공사, 수중공사, 상하수도설비 공사, 토공사, 비계 구조물 해체 공사, 미장 방수 조적 공사, 철근 콘크리트 공사 등이 있음. 동사의 핵심 경쟁요소는 지반조사-시험-계측-설계-시공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토탈서비스 능력임. 특히, 토질/암석 시험실 및 시험장비 시스템을 갖추어 지반에 관한 데이터를 오랜 기간 축적함.

 

 

동아지질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의 국내 매출은 전년대비 1.6% 감소하였고 해외매출은 전기대비 13.9% 감소하였고 매출 원가는 오히려 상승하면서 적자전환하였음. 지반개량사업 부문의 경우, 최첨단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품질의 우수성을 높이는 동시에 산업재산권이 있는 공법을 주축으로 수주활동을 통해 수익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됨.

 

 

 

4.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관련주 - 부산산업(011390)

부산산업 개요

레미콘/콘크리트침목/세그멘트/건축 PC/시멘트 지대/콘크리트침목(고속철도)의 총 6개 사업부문 체제로 운영. 주요 생산품으로는 철도궤도 시공현장에 납품되는 콘크리트침목, 지하철 및 전력구터널공사에 기반시설을 구성하는 세그멘트(R. C. SEGMENT)가 있음. 대형 물류센터 및 주택건설현장의 기초공사 구조시설에 시공되는 건축PC(Precast Concrete) 그리고 시멘트 및 몰탈 제품포장에 사용되는 호첨식 지대를 생산.

 

 

부산산업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2% 증가, 영업이익은 1221.4%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년 증가하는 개환용 침목과 국가철도 교통망 고속화 사업, 전국 도심 전력송신탑 전력구 대체사업, 주택건설 및 택지개발현장 증가로 인하여 안정적인 제품 수요가 예상됨. 철저한 거래선관리 및 현장관리로 영업권 확보 및 새로운 판매시장 개척을 위한 기술영업 강화.

 

 

 

5.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관련주 - 세명전기(017510)

세명전기 개요

동사는 금속제품제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62년 설립되었으며 1991년 12월 자로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송.배.변전선로 가설용 금구류를 제조하여 한국전력공사 등에 공급하고 있으며 전철용 금구류를 한국철도공사 및 지하철 공사 등에 납품하고 있음. 금구류산업은 대용량 전력설비의 전력송전에 필수적인 제품과 고속철도, 지하철 등의 주자재로서 고도의 제작기술을 필요로 하는 기술집약적인 사업임.

 

 

세명전기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7.1% 감소, 영업이익은 36.7% 감소, 당기순이익은 3.1% 감소. 두 사업부 모두 매출액이 감소하며 외형이 축소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타 영업비용이 크게 증가하여 수익성이 악화, 영업이익이 대폭 감소하였음. 동사는 글로벌 전력 시장에서 개발도상국의 전력 공급 부족에 따른 전력시설 확충에 따라 국내.외 송.배.변전선용 금구류 수요도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함.

 

 

 

6.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관련주 - 우원개발(046940)

우원개발 개요

동사는 토공사업을 주력으로 하며 도시개발사업, 부동산 임대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공사수행, 기술력, 자금조달, 리스크관리 능력 등이 핵심요소로 정부 또는 타산업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수익이 창출되며 경제성장 및 경기변동의 영향을 받음. 토공사업 부문은 고속도로/도로공사, 교량/터널공사, 항만/철도/환경에너지산업 시설공사 등, 도시개발사업 부문은 주택건설/대지조성, 기타부문은 부동산 임대 등의 사업을 추진중임.

 

 

우원개발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6% 증가, 영업이익은 46.7% 증가, 당기순이익은 216.5% 증가. 최저가 낙찰제도 등의 시행으로 경쟁업체간 출혈 경쟁이 심화됨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기술력, 시공경험, 장비, 인력조달, 원가절감 등을 통해 꾸준한 영업이익을 달성. 동사는 터널공사 등 특화된 분야에 대한 우수한 건설장비를 보유하고, 자체 기술력 축적과 원가절감을 통하여 수주에 전력을 강화하고 있음.

 

 

 

7.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관련주 - 특수건설(026150)

특수건설 개요

동사는 철도 및 도로 지하횡단구조물 비개착시공, 대구경 교량기초시공, 쉴드 터널, 터널 및 일반토목 시공과 산업플랜트 제작 등을 영위하는 토목 시공 전문업체임. BG장비를 도입하여 서해대교, 광안대교, 인천대교 등의 고난이도 교량기초를 시공했고 이후 쉴드장비를 지속적으로 도입해 한강하저터널 및 세계 최초 S-Curve구간인 서초전력구를 성공적으로 시공함. 중공업부문에서는 자동차공장의 도장라인과 포스코 등의 산업플랜트 등을 제작함.

 

 

특수건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5% 감소,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외형이 축소하였으나 원가 절감 노력과 판관비 등 고정비용 절감 노력에 따라 영업이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하였음. 연결실체가 주된 사업부문으로 영위하고 있는 기초토목공사는 철근, 시멘트 등의 자원을 필요로 하는 업종임. 따라서 주요 원재료를 적정한 가격수준에 안정적으로 조달하는 것이 중요한 영업활동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

 

 

 

8.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관련주 - 한국선재(025550)

한국선재 개요

동사는 선재류(아연도금철선, 스테인리스강선) 제조가공 및 판매를 영위할 목적으로 1990년에 설립됨. 주요 제품으로는 철강재, 아연도금 철선, 스테인리스강선 등이 있으며 종속회사를 통하여 고가의 장비 또는 설비의 핵심부품으로 사용되는 제품인 계장용 Fitting 및 Valve를 생산하고 있음. 동사는 종속회사로 튜브피팅과 함께 밸브 생산, 판매하는 한선엔지니어링과 화물운송알선 사업을 영위하는 금제를 두고 있음.

 

 

한국선재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6% 증가, 영업이익은 37.2% 감소, 당기순이익은 20.6% 증가. 원가효율화를 통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품질개선 및 신제품 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 제품 시장 판매 확대에 더욱 주력하고 있음. 중동지역에도 유가 상승으로 인하여 Revamping Project가 시작 되고 있어 Plant 시장이 더욱 발전될 것으로 예상 되어 매출증대가 기대됨.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관련 이슈

1. 교통 및 인프라 개발: 해저터널은 두 지점 사이의 교통 흐름을 개선하고 도로, 철도, 지하도 등의 인프라 개발을 지원합니다. 해저터널을 이용하여 도시 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제공하고 교통 체증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2. 해양 에너지 개발: 해저터널은 해양 에너지 개발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해저터널을 통해 해상 풍력 발전소나 해수 발전 시스템과 육상간 전력 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3. 해양 자원 개발: 해저터널은 해양 자원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해저터널을 통해 해저 광물 자원의 채굴이나 해양 생물 자원의 양식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4. 통신 및 인터넷 연결: 해저터널은 국가 간의 통신 및 인터넷 연결을 강화할 수 있는 역할을 합니다. 국가 간의 데이터 전송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국제 통신망을 보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5. 해양 관광 및 수중 관광: 해저터널은 해양 관광 및 수중 관광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해저터널을 통해 해양 생태계를 관찰하거나 해양 생물들을 감상할 수 있는 수중 관찰 시설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6. 국방 및 보안: 해저터널은 국방 및 보안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해저터널을 통해 해양 경계를 강화하고 해양 경계 지역의 모니터링 및 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해저터널을 활용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은 기업들이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

 

1. 터널 설계 및 건설 기업: 해저터널의 설계 및 건설을 담당하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해양 공학, 터널 공학 등의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어 해저 조건에 맞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터널 구조물을 건설합니다.

2. 해양 공항 및 항만 기업: 해저터널은 항구와 해상 공항 등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양 공항 및 항만 기업들은 해저터널 건설 및 운영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3. 터널 기술 및 장비 공급업체: 해저터널 건설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과 장비를 공급하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터널 드릴링 장비, 구조물 강화 재료, 터널 청소 및 유지보수 장비 등을 제공합니다.

4. 해양 공학 및 조사 기업: 해저터널 건설 전에 해양 조사 및 설계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를 수행하는 해양 공학 및 조사 기업들이 있으며, 해저 지질 조사, 해양 환경 평가, 수력학 모델링 등을 수행합니다.

5. 터널 관리 및 운영 기업: 해저터널의 운영과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터널 안전 관리, 장비 및 시스템 유지보수, 통행료 관리 등을 수행합니다.

6. 통신 및 IT 기업: 해저터널은 통신 및 IT 시스템을 통해 관리 및 운영됩니다. 통신 네트워크, CCTV 시스템, 화재 탐지 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기업들이 해저터널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