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플랜트사업, 특수선사업, 후육강관사업, 조선사업, 선박수리개조사업의 5대 사업을 중심으로 하고 있음. 사업부문별로 플랜트부문은 해상풍력 및 해양/육상 플랜트 사업, 특수선부문은 방산 및 관공선 건조 사업을 영위함. 후육강관부문은 해양/건축구조용 파이프 사업,조선부문은 신조선 건조 및 블록 제작 사업, 수리개조부문은 선박 수리/개조 및 정기검사 사업을 영위함. 2023년 4월 코스피 이전 상장 결정됨.
SK오션플랜트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7.5% 증가, 영업이익은 172.2%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출 증가와 원가율 개선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큰폭으로 증가함. 세전계속사업손실 반영이 끝나면서 당기순이익도 크게 증가, 흑자전환에 성공함. 동사 주력사업부문인 해상풍력의 글로벌 시장환경은중장기적으로 매년 20%이상의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2. 강관업체(Steel pipe) 관련주 - 금강공업(014280)
금강공업 개요
1979년 8월 설립되었으며 1988년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동사는 배관용, 구조용 강관 제조 및 판매, 폼웍시스템(알루미늄폼, 갱폼, 유로폼, 특수폼) 제조, 배합사료, 임대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사업부문은 강관부문, 판넬(알루미늄폼)부문, 가설재부문, 사료부문, 기타부문(모듈러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현재 15개의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음.
금강공업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8% 증가, 영업이익은 31% 증가, 당기순이익은 155.7% 증가. 주요 제품 판매가격 상승에 힘입어 매출액이 증가했고,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라 매출원가도 증가하였음. 판매비와관리비가 비교적 적게 증가하며 영업이익은 개선되었음. 동사는 중국의 인프라 투자 집행이 본격화되면 원자재값 반등이 예상되며, 이는 국내 철강산업의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3. 강관업체(Steel pipe) 관련주 - 동양철관(008970)
동양철관 개요
주 사업으로 강관부문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종속회사 케이비아이알로이(주)를 통해 동특수합금 생산 및 판매를 영위함. 동사의 주요제품인 구조용강관, 가스관, 송유관, 강관말뚝, 배관용강관, 상수도용 도복장 강관은 거시경제 변수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건설경기 성장율 및 SOC투자와 밀접한 관계에 있음. 동사의 매출 부문은 배관용 도복장강관 등 81%, 나관 등 19%로 이루어져 있음.
동양철관 실적
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6.2% 증가,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흑자전환.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중국의 경제 거점 도시 봉쇄 조치 등 글로벌 공급망이 약화되며 국내 철강 가격 유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 철강 가격 유지 및 수출 증가로 인해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함. 지속적인 원자재 인상으로 높은 원가율을 보였으나 매출액 대비 판관비 비중이 감소하여 영업이익 77억원, 순이익 40억원을 기록함.
4. 강관업체(Steel pipe) 관련주 - 세아제강(306200)
세아제강 개요
동사가 영위하는 강관부문은 건설, 조선, 자동차, 기계, 에너지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음. 단일 사업부문으로 배관용, 유정용, 구조용 등에 사용되는 강관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함. 주요 원재료는 HR Coil 등으로, 포스코 등에서 구매. 서울에 위치한 본사와 포항의 R&D센터를 포함하여 4개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R&D와 기존설비 개선에 투자를 지속하고있음.
세아제강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0.3% 증가, 영업이익은 63.1% 증가, 당기순이익은 74.3% 증가. 주요 전방산업인 미주 에너지용 강관산업의 시황개선에 따른 관련 제품 수익성 향상으로, 재무지표가 개선세를 나타내고 있음. 에너지가격의 상승에 따라 주 판매시장인 미주지역 에너지용 강관 산업의 회복세가 완연하였으며, 제품의 마진율 향상이 전기 대비 수익성 확대의 주요 사유라고 판단됨.
5. 강관업체(Steel pipe) 관련주 - 유에스티(263770)
유에스티 개요
2009년 4월 2일에 미주제강으로부터 물적분할되어 미주에스티에스라는 상호로 설립된 동사는 2017년 5월 31일자로 상호를 유에스티로 변경함. 동사는 신영해피투모로우제3호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와 2017년 10월 27일 합병계약을 체결함. 2018년 3월 14일(합병등기일) 합병을 완료하였음. 법률적으로 신영해피투모로우제3호기업인수목적 주식회사가 존속회사이나, 경제적 실질에 따라 주식회사 유에스티가 실질적 합병회사가 됨.
유에스티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51.2% 증가, 영업이익은 121.3% 증가, 당기순이익은 123.5% 증가. 동사 제품의 주원재료인 스테인레스강은 국제니켈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으며 제품의 판매가격 역시 원재료비의 등락에 유의적으로 반응함. 원자재 가격변동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의 판매비중을 증가시켜 영업이익을 증가 시킬 수 있었음.
6. 강관업체(Steel pipe) 관련주 - 코센(009730)
코센 개요
46년 이상의 스테인리스 강관 제조 및 판매 경험을 보유하며, 지속적으로 국내 시장점유율 상위권 유지 중. 다원화된 고객 요구 응대를 위해 KC, KS, JIS, ISO9001 등의 국내외 품질인증과 KR, LR, BV, DNV-GL, RINA 등의 선급 인증 보유 중. 그 외에도 14인치 자동조관기 및 온라인 열처리기 설치 등 지속적 설비투자와 품질기준 강화를 통해 고품질 제품의 생산성 향상을 괴하고 있음.
코센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6.1% 증가, 영업이익은 88.5%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전ㆍ당기 감사인의 의견불일치로 전기 사업보고서상 재무제표와 당기 사업보고서상 비교표시 된 전기 재무제표의 불일치가 발생하였음. 원자재 가격상승과 포스코 화재 침수로 인해 원자재 수급 불안 등 악재에도, 동사는 전년대비 46.1% 매출 성장을 이루어 냈음.
7. 강관업체(Steel pipe) 관련주 - 하이스틸(071090)
하이스틸 개요
동사는 2003년 1월 한일철강으로부터 인적분할해 설립됨. 2003년 2월 발행주식을 유가증권증권시장에 재상장한 주권상장법인임. 동사의 지배회사는 지주회사의 미국시장 공략 및 마케팅 강화를 위한 일환으로 설립 되었음. 2020년 한국의 철강 산업은 그동안 겪어보지 못한 코로나19 팬데믹과 미국의 수출규제 및 글로벌 경기침체 여파가 한국 철강 산업에도 크게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는만큼 동사의 노력도 상당할 것으로 전망됨.
하이스틸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9% 증가, 영업이익은 15.3% 증가, 당기순이익은 0% 증가. 세계 각 국의 경기활성화 정책과 2022년 하반기 중국 철강 가격의 상승에 따른 반대 급부 및 프로젝트 수주 효과로 수출이 크게 늘어나며 전체 외형 성장을 견인. 강관 관련 특허를 다수 취득한 연 24만톤 생산이 가능한 대구경 후육 강관 공장을 보유한 업체임.
8. 강관업체(Steel pipe) 관련주 - 한국주철관(000970)
한국주철관 개요
1953년 창립이래 주철관과 각종강관, 밸브류를 생산하여 수도용, 가스 배관용으로 공급하며 국내 처음으로 수도용 닥타일주철관을 생산한 파이프 종합메이커임. 주철관을 비롯한 각종 이형관, 밸브류 외 수도용 도복장강관과 강관파일 피복강관을 생산하고, ISO, ANSI, AWWA, JIS 등의 국제 규격에 준하는 품질을 인정받음. 연결 종속회사는 강관 제조업체인 진방스틸코리아와 한국강재, 에이스스틸, 화장품 제조업체인 엔프라니가 있음.
한국주철관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1% 감소, 영업이익은 71.2% 감소, 당기순이익은 81.7% 감소. 정부의 사회간접자본 투자의 규모 및 원자재 가격에 따라 수익성의 변화가 있으나, 기술개발에 의한 품질향상과 영업시장 확대에 노력하고 있음. 다양한 고객층을 공략하기 위하여 새로운 중소형 브랜드들이 꾸준히 출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산업 내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온라인 채널의 성장확대 중임.
9. 강관업체(Steel pipe) 관련주 - 휴스틸(005010)
휴스틸 개요
동사는 단일 사업부문(강관 제조 및 판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 수요산업은 건설과 조선산업, 에너지 관련 사업임. 주요 제품으로는 배관용 강관과 토목, 건축 등의 구조물에 사용되는 구조용 강관, 유정 굴착 및 채유에 사용되는 유정용 강관 등을 생산, 판매함. 동사는 제품 경쟁 심화를 타계하기 위해 저부가가치 제품보다는 유정용 강관, 고강도 후육강관 등 고부가가치 사업에 주력하고 있음.
휴스틸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7.2% 증가, 영업이익은 357.5% 증가, 당기순이익은 498% 증가. 북미 에너지용강관 수출 호조로 판매가격 상승과 고환율 등이 동사의 매출실적을 견인함. 유럽연합(EU)가 미국에서 액화천연가스(LNG)를 2030년까지 매년 수입하기로 하면서 LNG 터미널 신설과 함께 미국 내 강관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판단됨.
강관업체(Steel pipe) 관련 이슈
1. 인프라 개발 및 건설 증가: 인프라 개발 및 건설 활동의 증가는 강관 수요를 증가시키는 호재입니다. 도로, 다리, 파이프라인, 상업 건물 등의 인프라 프로젝트가 증가하면 강관 수요도 함께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에너지 산업 성장: 에너지 산업(유전, 천연가스, 태양광 등)의 성장은 강관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강관은 에너지 생산, 전송 및 저장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에너지 산업의 성장은 강관 산업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3. 국내 및 국제 건설 프로젝트: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의 증가는 강관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도로 확장, 도시 개발, 수도관 및 하수관 설치 등이 강관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국제적으로는 인프라 구축을 위한 다양한 건설 프로젝트가 강관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4. 기술 혁신과 업그레이드: 강관 제조 기술의 혁신과 업그레이드는 강관 산업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생산 방법의 개발, 고객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제품 개발 등은 강관 업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5. 수출 증가 및 국제 시장 개척: 국내 강관 업체의 수출 증가와 국제 시장 개척은 강관 산업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수출 증가는 수익성을 향상시키고 업체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으며, 국제 시장 개척은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