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와 거래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모멘텀(운동량) 지표로서, 주가가 움직이는데 더 많은 거래량이 수반될수록 주가의 움직임을 더욱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을 토대로 하고 있습니다.
Accumulation_Distribution 지표 계산법
AD Line = (종가 - 저가) - (고가 - 종가) / (고가 - 저가) * 거래량 + 전일 AD Line
(종가 - 저가) > (고가 - 종가) : 저점대비 상승률이 고점대비 하락률보다 큼 -> AD Line 상승
(종가 - 저가) < (고가 - 종가) : 고점대비 상승률이 저점대비 상승률보다 큼 -> AD Line 하락
AD Line(Accumulation_Distribution 지표) 추가 및 설정(키움증권 영웅문)
0600 화면 -> 우클릭 -> 지표추가 -> Accumulation_Distribution 검색 -> 적용
Accumulation_Distribution 추가방법
Accumulation_Distribution 지표 해설
AD이 상승하게 되면 매수세력이 강화되고 거래량의 대부분이 주가 상승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판단합니다. AD이 하락하게 되면 매수세력이 분산되고 거래량의 대부분이 주가 하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판단합니다. AD값의 추세와 주가 추세를 서로 비교하여 Divergence(이격)가 발생하면 곧 AD의 추세 방향대로 주가가 움직인다고 판단합니다.
Accumulation_Distribution 지표 활용법
일반적으로 AD Line 지표의 상승은 매집을 AD Line의 하락은 분산을 의미합니다. 거래량이 동반된다면 폭이 커지게 되며 신뢰도가 상승합니다.
주가상승과 AD Line이 함께 상승한다면 상승신뢰도가 높아집니다. (매수 유지)
반대로 주가하락과 AD Line의 하락이 동반된다면 하락신뢰도가 높아집니다. (관망 유지)
주가가 상승추세인데 AD Line이 하락한다면 하락반전의 신호로 볼 수 있으며 반대로 주가가 하락추세에서 AD Line이 상승한다면 상승반전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Divergence(이격) 발생 시 추세반전)
AD Line 상승반전, AD Line 하락반전
Accumulation_Distribution 주의사항
-지표의 절대적인 수치보다는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종목마다 절대적인 수치의 차이가 다릅니다)
-전일종가와 시가의 갭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움직임이 적은 대형주의 경우 Divergence(이격)를 거의 만들어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