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이동평균선은 기간별 가격 변동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투자자의 투자기간에 따라 가격 이동평균선의 기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기, 중기, 장기 투자 모두 활용할 수 있습니다. 거의 모든 매매에 활용되는 만큼 증권사 차트의 대부분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키움증권의 영웅문4 키움종합차트(0600화면)에서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가격 이동평균선 생성
기본적으로 가격이 봉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가격 이동평균선도 설정되어 있습니다. 종목이름 우측에 보면 가격 이동평균선의 설정이 간단하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종가를 기준으로 단순하게 기간에 평균을 계산하여 표시해주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뒤의 숫자는 해당 기간을 기준으로 표시되고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영웅문4 가격 이동평균선 표시
가격 이동평균선이 표시되지 않고 있다면 차트 화면에서 우측 마우스 클릭→ 지표 추가 → 가격 이동평균 검색 → 적용을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영웅문4 가격 이동평균선 추가
가격 이동평균 설정
아래 빨간색 표시 부분을 더블클릭하면 지표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영웅문4 가격 이동평균선 설정
가격 이동평균선 사용법
설명 탭을 보면 해당 지표의 개요와 해석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다른 지표들도 설명을 참고하면 지표의 의미와 해석 방법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실제 가격 이동평균선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골든 크로스나 데드크로스 또는 배열과 괴리도를 보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영웅문4 가격 이동평균선 설명
가격 이동평균선 지표 설정
지표조건설정 탭에서 디테일하게 지표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보통 기간이나 이평종류를 수정합니다. 가격의 경우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종가를 이용합니다. 저가나 고가를 사용하여 박스를 만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기간은 단기매매라면 짧게 장기매매라면 길게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5개 이상의 기간을 설정하고 싶다면 위에서 소개한 지표 생성을 통해 가격 이동평균 지표를 하나 더 추가하면 됩니다.
5일은 1주를 의미하며 10일선은 2주 20일선은 한달선을 의미합니다. 디테일하게 한달선을 22~24 정도로 이용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60일선은 한 분기를 의미하며 120일선은 반년(반기)을 의미하는데 1년을 표시하는 240일선 그 이상을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 1년선을 디테일하게 계산하여 평일수-휴장일 수로 사용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남들보다 조금 더 빠르게 매매타이밍을 잡고 싶다면 위 기간보다 조금 짧게 천천히 잡고 싶다면 기간을 조금 길게 잡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평 종류는 6개를 제공하며 과거와 현재에 대한 중요도 비중을 조절하는데 많이 사용되며 통계학적 기술이 많이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지수를 많이 사용합니다.
라인설정은 차트에 어떻게 지표를 표시해줄지 설정하는 탭입니다. 중요한 라인이 20일선이라면 너비를 늘리거나 유형을 바꾸거나 스타일, 색상 등을 바꾸어 강조해 줄 수 있습니다. 또 불필요한 라인은 앞에 체크표시를 눌러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 그 외 지표 사이를 채우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지표를 강조할 수 있습니다.
영웅문4 가격 이동평균선 라인설정
그 외 설정
나머지 부분들은 딱히 손댈 곳이 없지만 다른 지표의 경우 스케일이나 기준선 설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격 이동평균의 경우에는 가격을 표시하기 때문에 스케일 탭에서 손댈 것이 없으며 기준선 또한 없으므로 기준선설정도 필요가 없습니다.
영웅문4 가격 이동평균선 기준선설정, 스케일
가격 이동평균에 대한 생각
가격 이동평균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지표입니다. 매매를 할 때 기본적인 분석(재무분석 등)도 중요하지만 언제 사고팔지 결정할 수 있는 기준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주식은 수급으로 움직이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참고하는 지표는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잘 이용한다면 투자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