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와 차트

반응형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목차

     

 

 

 

1.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GS(078930)

동사는 2004년 7월 LG를 인적 분할하여 설립된 지주회사로서, 자회사로 GS에너지, GS리테일, GS스포츠, GS이피에스, GS글로벌, GS이앤알 등이 있음. 사업부문은 가스전력사업, 유통, 무역, 투자 및 기타(호텔업, 프로축구 등)으로 구분됨. 주식의 장부가액이 자산총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자회사로 GS에너지(주), (주)GS리테일 2개사가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7% 증가, 영업이익은 88.8% 증가, 당기순이익은 47.9% 증가. 정유부문의 경우 글로벌 공급망 교란과 석유수요 회복에 따라 정제마진이 급등했고 유가상승에 따라 재고평가 이익도 증가하여 실적이 개선됨. GS리테일은 GS홈쇼핑 흡수합병과 편의점 신규 출점에 따라 전년대비 매출 16% 증가, 당기순이익은 염가매수차익 기저효과와 투자자산평가손실 등으로 전년대비 94% 감소.

 

 

 

2.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HD한국조선해양(009540)

지주회사로 다른 회사를 지배함과 동시에 미래기술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종속회사로는 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이 있음.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Hyundai-Vinashin Shipyard 등 종속기업을 포함하여 조선부문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 매출은 조선 84.2%, 그린에너지 5.7%, 해양플랜트 5.2%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7% 증가, 영업손실은 74.3% 감소, 당기순손실은 76.7% 감소. 조선부문에서 건조물량이 증가됨에 따라 매출이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적자가 지속되었으나 21년 통상임금 소송 판결에 따른 비용 및 강재가 인상에 따른 대규모손실 기저효과 영향으로 손실규모는 감소함. 동사는 22년 연간 수주목표를 88% 초과 달성함. 올햐 하반기 이후 본격적인 수익성 개선 기대됨.

 

 

 

3.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

동사는 2005년 4월 사명을 두산인프라코어로 변경하였고 건설중장비, 엔진 등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함. 건설기계와 관련하여 북미와 유럽 등 선진 시장에서는 채널 역량과 제품 경쟁력 강화 및 관리체계 효율화를 통해 지속적인 사업 성장을 추진하고 있음. 동사는 2021년 7월 1일을 분할기일로 하여 두산밥캣 지분을 포함한 투자사업부문을 분할하여 두산중공업 주식회사에 흡수합병하는 흡수인적분할합병방식으로 분할하였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 증가, 영업이익은 25.7% 증가, 당기순이익은 50.2% 감소. 부품 수급 및 물류 이슈 등으로 이연된 수요가 현실화되면서 건설기계의 신흥/선진 수익성이 개선되었고 이에 영업이익 증가함. 건설기계 사업부는 선진시장 내 추가 딜러 확보 노력 및 MEX 신기종 출시, 신사업을 위한 전략 실행을 통해 성장하고자 함.

 

 

 

4.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HJ중공업(097230)

동사는 분할기일인 2007년 8월 1일에 (주)한진중공업홀딩스로부터 인적분할방식으로 분할 설립되었으며, 2007년 8월 31일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동사는 방산 및 특수선, 신조선(상선) 및 기타 분야 등의 조선업과 토목, 건축/주택 ,플랜트 등 건설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회사임. 동사가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특화 공종 입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수주 성공율을 높이고, 공공공사의 적정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예정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64.1% 감소. 동사는 2021년 10월 컨테이너선 4척을 수주하며 상선수주를 재개하였으며, 2022년 3월과 6월에는 컨테이너선 4척, 2023년 2월에는 HMM으로부터 9,000TEU 컨테이너선 2척을 수주한 바 있음. 현재 영도조선소의 안정적인 물량확보를 위해 상선 수주 영업활동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음.

 

 

 

5.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HSD엔진(082740)

종합엔진 생산전문업체로 선박엔진사업 및 디젤발전사업, 부품판매사업, 환경오염방지시설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중임. 세계 2위의 저속엔진 시장점유율(평균 20%)을 유지하고 있으며, 한국 3개 엔진업체가 전세계 엔진의 평균 50% 이상을 생산함. 국제해사기구(IMO) 유해가스 기준에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친환경 디젤엔진의 개발 및 고효율 선박 기자재 개발 추진 등 미래 신성장 동력의 발굴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6% 증가, 영업손실은 25.8% 감소, 당기순손실은 1.3% 증가. 동사는 선박엔진 및 엔진 부품과 관련된 친환경, 고효율화 위주의 엔진 개발화에 발맞춰 사업포트폴리오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부품판매시장은 원천기술사와 경쟁 및 유사품 시장의 존재로 선박엔진 점유율보다는 낮지만 수주 활성화 영업전략 추진을 통해 매출 증가 및 점유율 개선이 진행되고 있음.

 

 

 

6.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POSCO홀딩스(005490)

동사는 자동차, 조선, 가전 등 산업에 원자재를 공급하는 철강사업(포스코)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무역/건설/에너지를 포함한 친환경인프라사업(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건설, 포스코에너지 등)도 운영. 제선, 제강 및 압연재의 생산과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업체 그룹 전반의 성장 전략을 수립하고 미래 사업 테마를 발굴하며 M&A 등 신사업을 추진하는 미래사업 포트폴리오 개발자 역할을 수행.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 증가, 영업이익은 47.5% 감소, 당기순이익은 52.5% 감소. 동사의 철강 사업은 작년 침수 사고가 난 포스코 포항공장의 복구 비용과 판매량 감소 등으로 작년 4분기 실적 부진을 나타냈지만, 올해 1분기부터는 정상화를 거치며 실적 회복기대됨. 전기차용 이차전지의 시장규모 확대를 예상해 설비 확충 등 성장 사업 발굴을 위한 투자에 집중하고 있어 매출 성장이 기대됨.

 

 

 

7.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SK(034730)

1991년 설립, 2009년 유가증권 상장. 2015년 8월 (구)SK를 흡수합병하고 사명을 SK C&C에서 SK로 변경함. SK그룹의 지주사임. 주요 사업은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자회사의 제반사업 내용을 관리하는 지주사업 및 IT서비스 등을 영위하는 사업부문으로 구분됨.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SK네트웍스, SKC, SK바이오팜, SK렌트카, 인크로스 등 총 572개사임.

 

 

유가상승에 따른 자회사 석유/화학 제품 매출이 호조세를 보임에 따라 2022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38.4% 신장됨. 석유제품 마진 상승 및 윤활기유의 견고한 수익성 지속으로 영업이익도 큰 폭으로 늘어남. SK텔레콤 계열은 5G 가입자 확대 및 B2B 등 신성장 사업의 약진으로 인하여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6.2% 증가함. SK네트웍스 계열은 렌터카, 중고차 시장 호황 및 워커힐 손실 감소 등으로 실적이 개선됨.

 

 

 

8.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SK오션플랜트(100090)

동사는 플랜트사업, 특수선사업, 후육강관사업, 조선사업, 선박수리개조사업의 5대 사업을 중심으로 하고 있음. 사업부문별로 플랜트부문은 해상풍력 및 해양/육상 플랜트 사업, 특수선부문은 방산 및 관공선 건조 사업을 영위함. 후육강관부문은 해양/건축구조용 파이프 사업,조선부문은 신조선 건조 및 블록 제작 사업, 수리개조부문은 선박 수리/개조 및 정기검사 사업을 영위함. 2023년 4월 코스피 이전 상장 결정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7.5% 증가, 영업이익은 172.2%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매출 증가와 원가율 개선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큰폭으로 증가함. 세전계속사업손실 반영이 끝나면서 당기순이익도 크게 증가, 흑자전환에 성공함. 동사 주력사업부문인 해상풍력의 글로벌 시장환경은중장기적으로 매년 20%이상의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9.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대창솔루션(096350)

동사는 1953년 설립되어 1977년 법인으로 전환하였으며, 2022년에는 창립 69주년을 맞이하는 국내 주강 생산업체중에서도 역사와 전통을 가진 회사임. 동사는 생활안전구조재, 자원채굴설비품, 에너지변환장치품, 수송 및 산업기기부품소재, 초저온산업에 사용 되는 주강품 및 관련 제품을 생산함. 사업구조의 다양화를 통해 생활안전구조재, 자원채굴 설비품, 에너지변환 장치품 등 다양한 산업군의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영역을 넓혀가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2% 증가, 영업손실은 42.3% 감소, 당기순손실은 47.5% 감소. 매출 증가와 원가율 개선, 판관비 절감 노력에 힘입어 적자폭을 크게 줄임. 동사의 생활안전구조재는 국내 공급시장 과점체제를 형성하고 있음 기존 소재 사업에 정련로를 활용한 특수강 및 잉곳 사업 및 제관, 이종 용접 등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사업으로의 중장기 계획을 진행하고 있음.

 

 

 

10.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대한해운(005880)

1968년에 설립된 동사 및 종속회사는 해운업, 무역업, 광업, 건설업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해상화물운송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요사업으로 벌크선, LNG선, 탱커선 등을 통하여 철광석, 천연가스, 원유 등의 원재료를 선박으로 운송하는 해상화물운송 및 해운대리점업을 영위함. 주요 거래처인 포스코,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공사 등과 장기운송계약을 체결하여 안정적인 영업과 이익의 극대화를 실현하고자 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7% 증가, 영업이익은 31.3% 증가, 당기순이익은 36% 감소. 당기순이익 감소원인은 전년대비 환율변동 효과로 인한 외환이익 감소와, 주요종속회사인 대한상선(주)의 전년도 컨테이너선박 매각에 따른 유형자산 처분이익 감소 등이 주요 원인임. 어려운 경영환경 및 변동성을 극복하기 위해 부정기 사업을 축소하고 장기운송계약이 체결된 전용선 사업 위주로 사업구조를 조정함.

 

 

 

11.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동성화인텍(033500)

동사는 화공품 수입알선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85년 7월 31일에 설립되어 현재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1997년 12월 19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매매가 개시됨. 동사의 사업 부문 중 PU단열재사업부문은 초저온보냉재, PU SYSTEM로 구분되며, 가스사업부문은 냉매, 방재시스템 사업으로 구분됨. 2022년 4분기 기준으로 사업부문별총매출액 비율은 PU 단열재사업 93.9%,가스사업 6.1%를 차지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9% 증가, 영업이익은 49.4% 감소, 당기순이익은 68.2% 감소. 신규수주 물량 증가로 수주잔고 증가 속도가 매출보다 훨씬 빠른 흐름이 여러 분기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음.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감소한 약 153억원으로, 이는 공급망불안 및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에 따른 원자재 단가 상승과 회계상으로 인식하여야하는 일회성 비용에서 기인함.

 

 

 

12.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비에이치아이(083650)

1998년 6월 12일 국내외 발전용, 제철용 산업설비를 제작, 판매하는 것을 주 영업목적으로 설립됨. 동사는 발전용 설비를 전문으로 설계ㆍ생산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주된 고객으로는 한전을 비롯한 전력회사 및 발전사업자, 대형건설사, 포스코를 포함한 제철회사 등이 있음. 설비의 경제성 및 효율, 납기준수 등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우수한 설계인력 및 엄격한 생산관리 등에 힘쓰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0.6%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44.7% 감소.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함. 동사는 기술과 품질을 검증받아 영업망을 확대하고 있음. 국내 유수 EPC를 통한 현지 수출 및 기존의 해외 사무소 및 Agent를 적극 활용하여 해외 진출을 확대해 나갈 계획임.

 

 

 

13.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삼성중공업(010140)

동사는 선박, 선박 및 해양플랫폼을 건조, 판매하는 조선해양부문과 건축 및 토목공사 등을 수행하는 토건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조선해양부문은 주로 해외 선주를 대상으로 제품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고, 토건부문은 국내 건축업주로부터 매출이 발생하고 있음. 매출은 조선해양(LNH선, 초대형컨테이너선, FLNG 등) 부문이 92%를 차지하며 토건 부문이 8%를 차지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2% 감소, 영업손실은 34.9% 감소, 당기순손실은 57.1% 감소. 매출은 해양부문 매출 감소 영향 등으로 전년동기 대비 약 10.2% 감소한 5조 9,447억원을 기록하였으며, 영업손실은 강재가 인상, 인건비 등 비용 증가, 고정비 부담 등으로 적자가 지속됨. 동사는 연간 수주 목표로 조선 64억달러, 해양 31억달러로 총 95억달러를 제시함.

 

 

 

14.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삼천리(004690)

동사와 연결회사는 도시가스 공급업, 발전, 자동차 판매, 플랜트, 집단 에너지, 해외 호텔 등의 사업을 영위함 주요 사업인 도시가스 부문은 한국가스공사로부터 가스를 공급 받아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에 도시가스배관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하고 있음 동사는 발전 부문에서 경기도 안산시 초지동 시화 MTV(멀티테크노밸리)에 834MW급 LNG복합화력발전소를 착공해 대규모 발전사업에 진출, 연간 매출액은 1조원을 돌파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3.6% 증가, 영업이익은 27.1% 증가, 당기순이익은 17.2% 감소. 동사는 생산된 전력을 공급계약이 체결된 한전과 권역 내 일반사용자에게 판매하며, 난방열은 공급계약이 체결된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안정적인 시장을 확보하고 있음. 연결실체의 주요 매출처에는 권역 내 대다수를 차지하는 가정용 수요가와 식당 등 영업용 수요가, 판매량이 큰 산업용 수요가가 있음.

 

 

 

15.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엔케이(085310)

동사와 주요종속회사가 영위하는 주요 사업은 고압가스 용기부문, 소화장치(고정식)부문, 밸러스트 수처리장치 부문, 해양플랜트 기자재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소화장치는 사용방법에 따라 크게 소화기 등 휴대식(이동식포함)과 고정식으로 구분되며, 동사는 주로 고정식 소화장치 제조판매 설치 및 시운전하고 있음. 선박용 소화장치 부문의 주요 매출처는 국내업체의 경우 현대중공업(주), 삼성중공업(주)거제조선소, 대우조선해양(주) 등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 증가, 영업이익은 54.9% 감소, 당기순이익은 4% 감소. 매출 증가와 판관비 절감 성공에도 불구하고 SEAMLESS PIPE 등 주요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인해 수익성 악화 및 영업손실 증가함. (주)엔케이에테르 지분 100%를 (주)에이씨피씨피이에 440억원에 양도하기로 결정하였으며, 2020년 7월 31일 매각이 종료된 바 해당 부문의 관련 손익을 중단영업으로 표시.

 

 

 

16.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지역난방공사(071320)

동사는 1985년 11월에 설립되었으며, 집단에너지사업, 전력사업, 신·재생에너지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주요 제품은 열, 냉수, 전기로, '22년 3월 말 기준, 총 19개 사업장에서 1,740천호의 공동주택과 2,774개소(냉방 1,207개소)에 냉·난방을 공급중에 있음. 500MW급 이상의 중대형 발전소와 신재생설비를 포함한 2,424MW의 발전소를 보유하고 있어 생산된 전력을 전력거래소에 판매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4.5%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국제 유가 급등에 따른 연료비 증가 등으로 인해 생산량 및 생산단가 상승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함. 세종 집단에너지사업은 남측열원(중부발전)과 북측열원(남부발전)으로 구성되며 남측열원은 2013년 12월에 준공, 북측열원은 2024년 2월에 준공예정.

 

 

 

17.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케일럼(258610)

동사는 항공기개조(P2F), 항공기부품, 항공ICT솔루션을 판매하는 기업으로 글로벌항공기업과 국내항공사를 고객으로 항공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기업임. 또한 지열발전과 LNG플랜트 설비공급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항공사업은 항공기개조, 항공기부품제조, 항공ICT, DEFFENSE사업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글로벌 항공기업과 제휴협력을 통해 핵심역량과 사업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2.5% 증가, 영업손실은 45% 감소, 당기순손실은 20.8% 감소. 전통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중 하나인 지열발전 부문이 매출에서 큰 비중을 차치하였으나 팬데믹 이후 국내 플랜트 영업을 강화하면서 화공/LNG플랜트 부문의 매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 국내 EPC업체가 발주하는 플랜트 Project 수주경쟁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가할 영업계획을 가지고 있음.

 

 

 

18.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팬오션(028670)

동사는 해상화물운송을 사업목적으로 1966년 5월 범양전용선주식회사로 설립. 현 최대주주는 하림지주. 주력사업인 벌크화물 운송 서비스를 필두로 비벌크화물 운송 서비스(컨테이너화물 운송 서비스, 탱커선 서비스, LNG운송 서비스)까지 다양한 형태의 해상운송사업과 곡물사업 및 선박 관리업 등을 함께 영위함. 주요 매출처는 포스코, VALE,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SUZANO S.A.,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가스공사 등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1% 증가, 영업이익은 37.8% 증가, 당기순이익은 23.3% 증가. Dry bulk 운영선대 확대, 컨테이너선/탱커선 시황 상승, LNG 장기계약 안정적 수행, 고가의 곡물 판매량 증가로 매출액이 증가함. 차입금 증가, 금리 인상, 환율 변동 등으로 금융비용 증가하고 해운 시황 하락으로 손상차손 인식으로 순이익은 상대적으로 부진.

 

 

 

19.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한국가스공사(036460)

동사는 1983년 8월 18일 설립되어 천연가스 도입 및 판매 기업이며 1999년 12월 15일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함. 해외에서 LNG를 도입하여 국내의 발전사 및 도시가스사에 공급하며, 세계 최대 LNG 터미널 건설과 해외 사업에 진출을 추진하고 있음. 탄소중립 및 저탄소 친환경 에너지 시대에 맞춰 LNG벙커링, Gas To Power사업, 냉열 등 신규 LNG사업을 발굴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7.9% 증가, 영업이익은 98.7% 증가, 당기순이익은 57% 증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가격 상승과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해, 안정적인 천연가스 공급에도 재무구조 악화됨. 천연가스 사업은 도매와 소매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사는 LNG 인수기지와 천연가스 공급배관망을 건설하여 안정적인 공급을 하고 있음.

 

 

 

20.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한국전력(015760)

동사는 1982년 설립돼 1989년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한 국내 최대 에너지 공기업임. 동사 사업은 전기판매 부문, 원자력발전, 화력발전, 기타 사업 부문으로 분류됨. 2022년 3분기 기준 매출은 전기판매 54.6%, 원자력발전 8.6%, 화력발전 32.5%, 기타 4.3%로 구성됨.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남동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서부발전 등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4% 증가, 영업손실은 458.5% 증가, 당기순손실은 361.2% 증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LNG, 석탄 등 국제 연료값이 급등하면서 전력 구매 가격이 오른 탓에 수익성이 대폭 악화됐음. 전기료 인상이 필요하나, 현재 정부가 물가 안정 방침을 내세우고 있어 좀 처럼 인상이 쉽지 않음. 과거에 올린 인상폭외에 추가 인상폭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임.

 

 

 

21.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한국카본(017960)

1984년 9월 17일 탄소섬유 및 합성수지 제조를 주사업목적으로 설립. 낚시대 재료인 Carbon Sheet를 생산하며 1984년 설립, 출범하였으며, 이 후 LNG의 수요 증대와 더불어 LNG 운반선 화물창의 핵심 부품인 INSULATION PANEL 생산하고 있음. 한국의 고유 문화인 온돌 문화에 영향을 끼치는 바닥장식재의 필수 재료인 Glass Paper를 생산, 납품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4% 증가, 영업이익은 24.2% 감소, 당기순이익은 41.2% 증가. 동사는 글로벌 복합소재회사로 도약하기 위한 준비로 현지화 전략 및 지속적인 기초 핵심 부품 개발 국책과제에서도 선두 기업으로 참여하고 있음. 탄소섬유/유리섬유 사업부문은 항공, 자동차, 풍력, 건축 주요 시장 분야에서 꾸준한 신규 적용 개발하고있으며 해외 시장 개척에도 활발하게 수주 활동을 진행하고 있음.

 

 

 

22. LNG(액화천연가스) 관련주 - 현대미포조선(010620)

동사는 중형선박 건조부문에서 세계수준의 업체로 성장했으며, 지주회사인 한국조선해양(주)의 R&D 인프라를 통해 시장변화에 지속 대응하고 있음. 석유화학제품 운반선과 중형 컨테이너운반선 등을 중심으로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였으며, LPG/에틸렌 운반선 등 고부가 특수 선박시장에도 성공적으로 진출함. 환경 규제 강화에 대비해 친환경/에너지 고효율 디자인 개발을 통한 신규 및 노후선 대체 수요 창출을 판매전략으로 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7% 증가, 영업손실은 49.8% 감소, 당기순손실은 72.1% 감소. 조선부문에서 건조물량이 증가됨에 따라 매출이 큰 폭으로 성장함. 환율효과로 인해 전년 대비 적자 폭이 감소함. 중소형 선박의 선가 상승폭은 대형 선박보다 낮아, 기존 저가선박 잔고가 소진되기 전까지는 매출선가의 큰 폭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

 

 

 

LNG(액화천연가스) 관련 이슈

1. 에너지 전환과 기후변화: LNG는 상대적으로 깨끗한 에너지원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많은 국가와 기업이 LNG를 사용하여 기후변화와 관련된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전력 생산, 산업 연료 및 차량 연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 글로벌 시장 경쟁과 가격 변동성: LNG 시장은 글로벌 경쟁이 치열하며, 공급과 수요 상황, 생산국과 소비국 간의 계약 조건 및 가격 협상 등에 따라 가격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LNG 시장 참여자들은 경쟁력 강화와 가격 변동성 관리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유연성과 다변화를 추구해야 합니다.

3. 환경과 안전 문제: LNG 생산, 운송, 저장 및 수송과정에서는 환경 영향과 안전 문제에 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LNG 탱크 내부의 메탄 누출, LNG 운송선의 해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 LNG 수입터미널의 환경영향평가 등이 중요한 이슈로 다루어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환경 및 안전 정책을 시행하고 기술 개발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야 합니다.

4. 에너지 공급과 수요: LNG는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운반하는 방식으로 에너지를 공급합니다. 수요와 공급의 균형은 에너지 시장의 안정성과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이슈입니다. 에너지 수요의 증가와 신규 시장 진출에 따라 LNG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공급 업체들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LNG 생산 시설을 개발하고 확장하고 있습니다.

5. 인프라 및 운송: LNG는 수송 및 저장을 위한 특정 인프라가 필요합니다. LNG 운송선, 수입터미널, 저장시설 등이 필요한데, 이러한 인프라의 개발과 관리가 중요한 이슈입니다. 특히 신규 수입 국가나 지역에서는 적절한 인프라 구축에 대한 투자와 협력이 필요합니다.

6. LNG의 활용과 다변화: LNG는 전력 생산, 산업 연료, 주택 및 상업용 난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LNG 활용의 다변화는 에너지 효율성과 다양한 산업 부문의 지속 가능성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LNG를 이용한 자동차 연료로의 전환과 같은 새로운 시장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