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RF통신부품 및 반도체 장비 제조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RF통신부품은 주요 모바일 기기 및 기지국장비에 사용되고 있으며, 당사의 반도체 장비는 LED 등 반도체 제작 공정에 사용되고 있음. 동사는 2022년 9월 8일부로 지분 100%를 가지고 있던 자회사 '씨텍'을 무증자 방식에 의하여 1:0 합병 비율에 따라 합병하기로 결의하고, 합병을 마무리함.
기가레인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며 매출 감소에 따른 수익성이 악화ㅗ디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함. 영업손실 전환에 따라 당기순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함. LED 및 디스플레이 시장은 업황 침체가 수년간 지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동사는 신규 매출 확보에 매진하고 있음.
2. LED장비 관련주 - 네온테크(306620)
네온테크 개요
동사는 산업용 드론 사업의 입찰 경쟁 시 기술 점수 부문에서 10여곳의 경쟁업체들 대비 상위 1~3위 수준을 확보하고 있음. 동사는 2000년 10월 20일 설립되었으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MLCC용 절단 장비 제조 및 판매를 주 영업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음/ 동사는 유통 분야에서 주요 자동화설비 제조사와 20년째 대리점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오고 있어 타사에 비해 경쟁력을 가지고 있음.
네온테크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 증가, 영업손실은 29.7% 증가, 당기순손실은 79.8% 증가. 동사는 세계 최초로 플립칩-볼그리드어레이용 양면 세정 쏘&소터를 개발해 반도체 후공정 효율을 대폭 높여서 반도체 패키지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동사는 드론 핵심기술 특허 4건을 보유하고 있어 상용화가 시작되면 산업용 드론 시장 개화에 따른 수혜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
3. LED장비 관련주 - 레이저쎌(412350)
레이저쎌 개요
동사는 2015년 04월 설립, '면광원-에어리어 레이저' 기술을 바탕으로 칩과 PCB 기판을 패키징하는 공정에 필요한 패키징 장비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보유한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및 2차전지 후공정에 해당하는 패키징 공정 중 본딩과정에 사용되는 장비를 개발 및 제조. 주요 제품으로 rLSR, LSR, pLSR 등이 있음. 동사의 장비에 장착되는 BSOM과 NBOL 디바이스를 사업 영역으로 확장 중임.
레이저쎌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7.7% 감소, 영업손실은 531.5% 증가, 당기순손실은 48.7% 감소. 향후 High-End 제품군의 매출비중의 점진적 증가로 인한 영업이익율이 향상될 것으로 판단됨. 대량구매가 예상되는 주요 고객을 중심으로 Mid-End 제품군 프로모션을 확대 전개할 예정. 현재 동사는 미국, 대만, 중국, 일본, 싱가폴, 동남아, EMEA지역에 거점별 10개 판매 파트너사를 운영 중.
4. LED장비 관련주 - 미래컴퍼니(049950)
미래컴퍼니 개요
동사는 1984년 11월 미래엔지니어링으로 설립한 후 1992년 12월 미래엔지니어링으로 법인전환되고 2004년 미래컴퍼니로 사명 변경함. 2005년 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동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장비 연구 개발 및 제조하는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자회사 미래디피를 통해 Touch 패널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음. 동사는 Edge Grinder를 국내 최초 자체 개발에 성공하였음.
미래컴퍼니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1% 증가, 영업이익은 455.3% 증가, 당기순이익은 355.8% 증가. 글로벌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로부터 대규모 수주 성공과 디스플레이 장비 포트폴리오 다변화 성공 반영. 국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기업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해외 대표 기업 BOE, CSOT 등 대부분의 글로벌 패널 제조 기업에서 동사의 Edge Grinder 등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를 사용.
5. LED장비 관련주 - 예스티(122640)
예스티 개요
동사는 2000년 3월 주식회사 영인테크로 설립되어, 2006년 1월 상호를 예스티로 변경하였으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반도체 부품을 제조하는 기업임. 반도체용 열처리 장비를 개발을 시작으로 고온용 열처리 장비 개발을 완료 및 2010년 삼성디스플레이에 장비 공급을 시작으로 디스플레이 사업에 진출함. 주요 매출 비중은 반도체장비 49.24%, 디스플레이장비 34.64%, 기타매출 16.12%로 구성됨.
예스티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 증가, 영업손실은 52.1% 증가, 당기순손실은 86.6% 감소. 국내에서는 아직 투자가 없는 10.5세대 Glass 제조공장에 대한 투자도 최근 결정되어 향후 5년간 투자계획이 수립되어 있는 상황. 동사가 개발한 VDO System은 신규로 부각되는 대면적 TV & 투명 OLED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적용에 따른 지속적 수익 창출이 예상됨.
6. LED장비 관련주 - 이오테크닉스(039030)
이오테크닉스 개요
신제품 개발을 위해 기술연구소를 설립. 동사는 2000년 8월 24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의 레이저 응용기술은 반도체, PCB, Display, 휴대폰 산업의 경기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 레이저 응용산업은 고객사의 주문에 의해서 제작되며 그 주문자별로 제품사양이 달라지는 특성상 대량생산이 어려운 산업으로서 장비에 사용되는 주요 구성품은 전문화된 생산업체에서 조달하고 있음.
이오테크닉스 실적
2022년 12월 연결기준 동사 매출은 4471.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함. 영업이익은 927.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은 77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함. 레이저마커 수출의 증가가 매출 증가 및 수익성 확대로 이어짐. 레이저 마커 및 레이저 응용기기의 전체적인 시장 규모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동사는 꾸준히 실적이 개선되고 있음.
7. LED장비 관련주 - 주성엔지니어링(036930)
주성엔지니어링 개요
동사는 1993년 4월 13일에 설립되어 1999년 12월 22일에 코스닥에 상장 됨. 동사는 종속회사를 통해 관련장비의 해외판매 및 서비스 업무 등을 수행하며, 다수 공정 중에서도 증착공정에 필요한 장비를 제조하여 고객사에 주 납품하고 있음. 동사가 속한 반도체 산업은 초미세공정화를 통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술 난이도가 빠르게 진화하면서 적극적인 연구개발에 앞장서고 있음.
주성엔지니어링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1% 증가, 영업이익은 20.7% 증가, 당기순이익은 27%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와 판관비, 인건비 등 부담은 늘었지만 매출 증가 폭이 커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늘어남. 영업이익은 크게 늘었지만 각종 비용 부담과 함께 1회성 기타 비용 등의 영향으로 당기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감소함.
8. LED장비 관련주 - 탑엔지니어링(065130)
탑엔지니어링 개요
동사는 반도체, LCD, LED 및 OLED 및 카메라모듈 공정장비를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하고 있음. 국내에 공정장비 제조공장, 및 R&D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 및 대만에 현지 사무소를 운영중에 있음. 또한 계열회사를 통해 부품과 신소재 관련 제품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음. LCD 장비인 디스펜서는 약 60%의 높은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음.
탑엔지니어링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7% 감소, 영업손실은 39.4% 증가, 당기순손실은 17.6% 감소. 국내 주요 자동차 메이커의 SQ인증 취득으로 자동차용 카메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어 향후 새로운 수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함. 향후 전기자동차의 상용화와 ESS(Energy Storage System) 육성 정책에 따라 BMS 및 중대형 배터리 팩은 새로운 수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함.
9. LED장비 관련주 - 티씨케이(064760)
티씨케이 개요
동사는 1996년 8월 고순도 흑연제품의 제조, 수입 및 판매를 목적으로 '한국 도카이카본'으로 설립됨. 동사는 경기도 안성시에 본점, 공장 및 기업부설연구소를 가지고 있으며, 2003년 8월에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설립 이후 최근까지 반도체시장의 꾸준한 확대로 고순도 흑연제품의 판매를 이어가고 있으며, SiC Coating 기술이 경쟁력으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임.
티씨케이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8% 증가, 영업이익은 22.9% 증가, 당기순이익은 14.9% 증가.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와 판관비, 인건비 부담은 가중됐지만 매출 증가 폭이 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함. 전반적인 영업이익률이 높은 가운데 법인세 비용 부담 가중에도 견조한 수익성을 바탕으로 당기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함.
10. LED장비 관련주 - 티에스이(131290)
티에스이 개요
반도체 및 OLED 검사장비를 제조, 판매하는 회사로 반도체 및 OLED의 전기적/광학적 특성을 검사하기 위한 Total Test Solution을 제조 및 판매함. 웨이퍼 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Probe Card와 후공정 최종 단계에서 검사를 위한 Test Interface Board, Load Board, Test socket 등은 반도체 산업에 속함. OLED/LED 검사장비는 디스플레이 산업에 속해 있음.
티에스이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3% 증가, 영업이익은 3.6% 증가, 당기순이익은 11.4% 증가. 국내외 고객사 향 프로브카드, 소켓 등의 실적 성장과 자회사의 성장이 기대됨. 비대면 경제의 본격 도래로 디지털 헬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로봇과 드론, 전기차와 자율주행, 5G 연결, 스마트시티로의 급격한 전환으로 반도체 수요와 공급은 더욱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
11. LED장비 관련주 - 프로텍(053610)
프로텍 개요
동사는 1997년 설립이후 반도체(후공정) 생산용장비 제조전문업체로서의 기술적인 기반을 다져왔고 공압실린더등의 제품개발과 시장확보를 위해서 꾸준히 노력하여 왔음. 창업초기의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기술개발에 투자하여 이제는 동사의 고유장비 및 제품에 대한 국내 및 해외에서 품질에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음. 1997년 설립이후 반도체(후공정) 생산용장비 제조전문업체로서의 기술적인 기반을 다져왔음.
프로텍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2% 증가, 영업이익은 19.3% 증가, 당기순이익은 7.7%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 부담이 늘었지만 판관비와 인건비 등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다소 증가함. 영업이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법인세비용 부담 증가 등의 영향으로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함.
LED장비 관련 이슈
1. 효율성 향상: LED 기술은 에너지 효율성이 높고 전력 소비가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LED 장비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기술적인 개발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더욱 높은 밝기와 효율성을 가진 LED 장비의 개발은 에너지 절약과 환경 보호를 위한 중요한 이슈입니다.
2. 색상 조절 및 스펙트럼 관리: LED 장비는 다양한 색상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조명의 색상과 밝기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스펙트럼 관리 기술은 특정 색상의 조명이나 다양한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LED 장비의 색상 조절과 스펙트럼 관리 기술의 개발은 조명의 품질과 다양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긴 수명 및 신뢰성: LED 장비는 일반적으로 긴 수명을 가지고 있으며, 오랜 기간 동안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LED 장비의 수명과 신뢰성은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LED 칩의 열 관리, 안정성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은 LED 장비의 성능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이슈입니다.
4. 적용 분야의 다양화: LED는 조명 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LED 장비는 실내 및 실외 조명뿐만 아니라 자동차 조명, 디스플레이, 휴대폰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LED 장비 제조업체들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요구에 부응하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와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5. 지속 가능성: LED는 친환경적이고 재활용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고, 에너지 절약 효과를 가지므로 지속 가능한 조명 솔루션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LED 장비 제조업체들은 환경에 대한 관심과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재료와 제조 공정을 사용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6. 시장 경쟁력: LED 장비 시장은 경쟁이 치열한 분야입니다. 가격 경쟁력, 제품의 기능과 품질, 고객 서비스 등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좌우합니다. LED 장비 제조업체들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비용 절감, 기술 혁신, 고객 만족도 향상 등에 주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