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와 연결회사는 광학솔루션, 기판소재, 전장부품 사업부문의 총 3개 사업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사업 포트폴리오 관리 강화 목적으로 전자부품 사업을 별도 사업담당체제로 운영함. 모바일, 디스플레이, 자동차, 사물인터넷 등의 사업 영역에서 관련소재/소자, 전기전자 부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음. 해외 판매망으로는 미국, 대만, 중국, 일본, 독일에 판매법인 및 지사가 설립되어 있으며 판매 및 고객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1% 증가, 영업이익은 0.6% 증가, 당기순이익은 10.3% 증가. 동사 미래의 핵심 사업인 전장부품 사업부문은 친환경 자동차용 부품, 자율주행 관련 부품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36% 성장한 연간 매출 1조 4,464억원을 달성함. 동사는 광학솔루션, 기판소재, 전장부품 사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수익성 개선으로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기 대비 31% 상승함.
2. 무선충전기술 관련주 - LG전자(066570)
동사와 종속기업의 주요사업부문은 Home Appliance & Air 솔루션, Home Entertainment, Mobile Communications, Vehicle component 솔루션 등 6개로 구분. OLED TV는 초슬림, 월페이퍼, 롤러블 TV 등 지속적인 혁신 제품 출시로 프리미엄 시장을 지속 선도하고 있음. 디스플레이 오디오와 내비게이션 영역에서는 동사의 디스플레이 및 소프트웨어 역량을 활용하여 제품 차별화중.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9% 증가, 영업이익은 12.5% 감소, 당기순이익은 16% 증가. 영업이익은 주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재료비 증가 및 글로벌 공급망 이슈에 따른 물류비 증가 등 영향으로 전기 대비 감소함. 지분법 이익 감소에 따른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감소 대비 전년도 휴대폰 사업의 중단영업 손실 반영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한 당기순이익이 증가함.
3. 무선충전기술 관련주 - LS(006260)
동사는 LS 상표권의 소유주로서 브랜드의 가치제고 및 육성, 보호 활동을 종합적으로 수행해 나가고 있음. 동사는 연결기준의 사업형태를 고려하여 전선사업부문, 일렉트릭사업부문, 엠트론사업부문, 아이앤디사업부문으로 사업을 구분하고 있음. 전선사업부문은 전선, 전력, 통신 등으로 세분하였고, 일렉트릭사업부문은 전력,자동화,금속, IT 등으로 세분하였으며, 엠트론사업부문은 기계와 부품으로 세분화함.
2022년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 증가, 영업이익은 19% 증가, 당기순이익은 44% 증가. LS전선의 영업은 전력, 통신 등 각국의 기간산업을 기반으로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데이터센터 등 친환경과 디지털 산업 분야로 확대하고 있음. LS전선의 판매전략은 일반 개인 고객보다 공공 및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고객의 니즈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적기에 제품을 개발, 판매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
4. 무선충전기술 관련주 - 비에이치(090460)
동사는 첨단 IT산업의 핵심부품인 FPCB와 그 응용부품을 전문적으로 제조, 공급하는 회사로 전문 FPCB 벤처 기업임. FPCB 제품의 주요 목표시장은 스마트폰, OLDE, LCD모듈, 카메라모듈, 가전용TV, 전장부품 등을 생산하는 세트 메이커임. 고객의 대부분은 삼성전자, LG전자, 삼성디스플레이등 국내 대형 IT제조업체들이며 또한 일본과 중국 등지로 해외 고객 확보에 전력을 다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2.1% 증가, 영업이익은 84.7% 증가, 당기순이익은 76.1% 증가. IT기기의 고기능·고용량화, 경박단소화가 요구되면서 FPCB의 수요 확대로 이어지고 있고, 이에 당사의 고객처가 다변화되어 성장을 이루고 있음. 또한 2022년 자회사를 통하여 차량용 휴대폰 충전사업을 영업양수하여 신규 사업을 시작함.
5. 무선충전기술 관련주 - 삼성전기(009150)
동사는 수동소자(MLCC, 칩인덕터, 칩저항)를 생산하는 컴포넌트 사업부문, 카메라모듈/통신모듈을 생산하는 광학통신솔루션 사업부문, 반도체패키지 기판을 생산하는 패키지솔루션 사업부문으로 구성. 지역별로는 수원에 위치한 본사를 포함 국내에 총 3개의 생산기지(수원, 세종, 부산)와 해외 총 6개의 생산기지(중국, 필리핀, 베트남)를 보유함. 컴포넌트 부문 매출이 43.85%로 가장 큼.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 감소, 영업이익은 20.4% 감소, 당기순이익은 9.9% 증가. 인플레이션에 따른 금리인상 지속, 소비여력 축소 등 경기 불확실성 환경이 예상되나 AI, 서버, 전장 등 새로운 기술 변곡점을 통한 사업기회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와이파이 통신 모듈 사업 매각절차를 진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관련 자산 및 부채를 매각예정으로 분류하였고, 관련 손익을 중단영업손익으로 분류함.
6. 무선충전기술 관련주 - 삼성전자(005930)
한국 및 DX부문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총괄, SDC, Harman 등 232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임. 세트사업은 TV를 비롯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DX부문이 있음. 부품 사업에는 DRAM, NAND Flash,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DS 부문과 중소형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고 있는 SDC가 있음.
프리미엄 제품판매 확대와 환율 상승으로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지만 반도체 판가 하락 및 세트사업 물류비 증가 등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함. 파운드리 부문은 호조를 보인 반면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LSI는 판매부진, 가격하락과 함께 재고평가손실도 실적에 악영향을 미침. MX사업부는 스마트폰 판매둔화와 중저가 수요약세로 인해 4분기 매출과 이익이 모두 감소함. 네트워크사업부는 국내 5G망 증설과 북미 등 해외사업 확대로 매출이 증가함.
7. 무선충전기술 관련주 - 아모센스(357580)
동사는 무선충전 차폐시트, 자동차 전장 모듈, Lighting 모듈 및 IoT Device 등 소재와 모듈 부문으로 구성된 소재부품 전문기업으로 2008년11월에 설립됨. S사 스마트폰의 무선충전용 차폐시트를 공급하고 있고, 최근 크게 성장하고 있는 무선이어폰, 스마트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의 무선충전 모듈을 공급하고 있음. 세라믹을 이용한 LED 기판, 고출력 파워기판 등 세라믹 기판을 개발.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1%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87.8% 감소. 동사의 모듈디바이스연구소는 하이브리드 차폐시트를 개발하여 S사의 채택되어 세계 최초로 무선충전 기술을 상용화 하는데 기반을 제공함. 자율주행 자동차용 기판 등에 사용하는 세라믹 기판을 개발하여 사업화를 진행하는 등 성과를 내어 2022년 12월 31일 기준 1,285건의 국내외 특허를 보유함.
8. 무선충전기술 관련주 - 알에프텍(061040)
1995년 설립되어 현재 IT사업(모바일 기기의 부가장치 제조 및 판매)과 LED사업(LED 조명기기 제조 및 판매)을 영위하고 있음. IT사업은 모바일 기기 부가제품을 연구개발, 생산, 판매하는 기업으로 동사의 기술적 우위 및 해외 현지화 전략을 통해 모바일기기 부가제품을 삼성전자에 ODM 방식으로 공급. 신성장동력으로 히알루론산 필러와 보툴리눔 독소를 활용한 바이오 의약품 등을 연구개발, 제조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7% 증가, 영업이익은 69.9% 증가, 당기순이익은 32.2% 감소. 사업 및 경영효율화가 견조한 수준의 매출 성장을 견인했고, 원가 절감 및 생산 구조 효율화로 영업손익이 대폭 개선됨. 고부가제품의 개발, 해외 시장 공략 및 원가 경쟁력 증대 등으로 기존 사업을 성장시키고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사업 등 신규 사업을 추진함.
9. 무선충전기술 관련주 - 웰킵스하이텍(043590)
동사는 1974년 설립, 2001년 코스닥에 상장한 IT 부품 설계/제조 전문기업으로서 Driver IC 반도체 설계, DDI 패키징, 전기자동차 부품, 자동차용 무선충전 및 전장부품 사업 등을 전개하고 있음. 문등크로바전자유한공사, 산동크로바전자유한공사 등 3개 회사를 연결대상종속회사로 두고 있음. DB글로벌칩, LX세미콘, BOE, 현대모비스, LG이노텍, 한솔테크닉스, MOLEX, 폭스바겐 등이 주요 거래처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9%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는 Touch 분야에서는 일반적인 펜을 사용할 수 있고, 호버링이 가능한 신기술의 IC를 개발하고, Screen size와 해상도에 따른 IC 제품을 개발 예정. 향후 오토모티브(Automotive)관련 시장 신기술적용 반도체패키징 기술개발, 웨어러블기기용(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반도체 패키징 기술 개발 예정.
10. 무선충전기술 관련주 - 이랜텍(054210)
동사는 휴대폰 부품인 Battery Pack, Case(플라스틱 및 메탈), 충전기를 생산하여 글로벌 휴대폰 업체에 공급하고 있음. 배터리팩은 본사에서 휴대폰용, 청소기용, ESS용 등을 위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중국에서 노트북용, 청소기용, 전동공구용 등을, 베트남에서 휴대폰용, 전동공구용 등을, 인도에서 휴대폰용 배터리팩을 생산하고 있음. TV, 오븐, 전자레인지 등의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글로벌 업체에 공급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 증가, 영업이익은 124.8% 증가, 당기순이익은 61.3% 증가. 신규사업인 전자담배 디바이스의 매출 증가로 수익성 개선함. 휴대폰용 배터리팩 제조는 자동화 라인을 지속으로 제작, 개조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있음. 신흥시장의 공략 등으로 삼성전자는 시장점유율 회복 및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동사의 휴대폰용 부품도 성장세를 회복할 것으로 예상됨.
11. 무선충전기술 관련주 - 켐트로닉스(089010)
동사는 1983년 10월 17일에 (주)협진화학으로 설립되었으며, 2000년 11월 (주)켐트로닉스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2007년 1월 17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에 상장함. 동사의 사업은 크게 전자사업과 화학사업으로 구분됨. 전자사업은 전자부품 사업부문, 무선충전 사업부문, 자율주행 사업부문으로 구분되며, 화학사업은 케미칼 사업부문, 디스플레이 사업부문으로 구분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2% 증가, 영업이익은 41.7% 감소, 당기순이익은 78.9% 감소.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줄어듬. 동사는 대기업이나 우량기업을 중점적으로 관리하여 신규 제품의 개발이나 기존 제품의 용도개발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으며, 매출망 및 시장확대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음.
12. 무선충전기술 관련주 - 한솔테크닉스(004710)
동사는 1988년 7월 6일 주식을 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고 2010년 12월 지배기업의 상호를 한솔LCD주식회사에서 한솔테크닉스로 변경함. LCD TV의 핵심부품인 파워모듈, BLU 및 LED Chip을 제조하기 위한 LED 웨이퍼, 태양광 발전 모듈, 휴대폰과 부품을 생산함. 동사의 휴대폰 사업은 스마트폰과 테블릿 제품을 주품목으로 생산하여 고객에게 납품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5%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와 판관비, 인건비 등 부담은 늘었지만 매출 증가 영향이 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며 흑자전환함. 이자비용 부담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 흑자전환 영향으로 당기순이익 역시 흑자전환함.
무선충전기술 관련 이슈
무선 충전 기술은 전력을 전선이나 케이블을 통하지 않고 전자기장을 통해 전달하여 기기를 충전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편리한 충전 방법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1. 스마트폰 및 태블릿 충전: 무선 충전 패드나 스탠드를 통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장치를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습니다. 충전 패드 위에 장치를 올리거나, 충전 스탠드에 장치를 세우면 전력이 무선으로 전달되어 충전이 이루어집니다.
2. 전자 자동차 충전: 무선 충전 기술은 전기 자동차 충전에도 적용됩니다. 충전 패드를 주차 공간에 설치하여 자동차가 패드 위에 위치할 때 전력을 전달하여 충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충전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3. 의료 기기 충전: 의료 기기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효율적으로 충전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 기기가 이동 가능하며, 배터리 교체나 전선 연결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가전 제품 충전: 무선 충전 기술은 가전 제품 충전에도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패드를 통해 스마트워치, 이어폰, 무선 헤드폰 등을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습니다.
5. 로봇 및 드론 충전: 로봇이나 드론과 같은 자율주행 장치는 무선 충전을 통해 장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습니다. 충전 기지를 통해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여 충전할 수 있습니다.
6. 가구 및 인테리어 디자인: 무선 충전 기술은 가구나 인테리어 디자인에도 적용됩니다. 가구에 내장된 무선 충전 기능을 통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충전할 수 있으며, 전원 코드의 혼잡을 줄여 깔끔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무선 충전 기술은 휴대성과 편리성을 높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충전 효율이 전선을 사용하는 충전 방식에 비해 낮을 수 있으며, 충전 패드와 장치 사이의 거리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기기 간 호환성 문제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무선 충전 표준을 사용하여 호환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