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와 차트

반응형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목차

     

 

 

 

1.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APS(054620)

동사는 1994년 9월 반도체장비, LCD장비, 콘트롤기기 및 소프트웨어 제조업을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음. TFT-LCD는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산업으로 대규모 연구개발 비용 소요와 장비 대형화에 따른 인프라 구축을 위해 대규모의 자금력이 요구됨. 동사는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장비 제조와 판매를 담당하는 장비사업부문을 신설회사인 사업회사로 이전하였으며, 분할 존속회사로 자회사 지분의 관리 및 투자 부문을 담당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 증가, 영업손실은 285.2% 증가, 당기순이익은 57.5% 감소. LCD 가격의 폭락이 지속되는 가운데, 동사의 매출은 매출은 증가함. 하지만 LCD 산업의 경기 침체 지속으로 스마트폰과 가전의 수요가 줄어들고있고 원재료값 상승으로 수익성이 악화됨. 세계 최초로 VR용 마이크로 OLED 디스플레이 개발을 위한 장비설계 및 제작을 진행 중임.

 

 

 

2.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AP시스템(265520)

동사의 주요사업은 장비 연구개발 및 제조 사업으로, AMOLED/LCD 등 디스플레이장비, 반도체장비, 레이저응용장비 사업 등을 영위. 동사의 AMOLED 대표 장비는 크게 세 종류. LTPS공정 ELA장비, 봉지공정장비, Laser Lift Off장비로 구성됨. 동사에서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는 ELA, LLO, Encapsulation 장비는 삼성디스플레이, 중국 포함 다수의 해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사로 공급영역을 확대 중.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 감소, 영업이익은 40.7% 증가, 당기순이익은 43.9% 증가. 매출액 감소세에 비해 매출원가 감소폭이 더 컸음. 판관비 및 인건비 등의 비용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은 성장함. 2023년에는 이차전지 시장에도 진입할 예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인 R&D와 누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장비 라인업을 확대해나갈 계획임.

 

 

 

3.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DMS(068790)

동사는 디스플레이패널 생산설비의 제조 및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9년 7월 8일에 설립되었으며, 2004년 10월 1일 코스닥시장에 상장. 주요제품은 디스플레이 세정장비와 약액장비이며, LCD와 OLED 공정에 모두 사용되고 있으며 주요 매출처는 LG Display, BOE, CSOT, HKC 등임. 중국에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설계, 구매, 가공, 생산, CS까지 회사 자체 역량으로 내재화시켜 현지에서 운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0.7% 증가, 영업이익은 67.3% 증가, 당기순이익은 22.2% 감소. 중국의 투자로 인한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이 있었으며, 이에 호실적을 이룸. 동사는 원가 절감 등을 통하여 수익성 개선을 달성하였음. 동사는 매출의 절반 이상이 해외에서 발생하며 동종업계 대비 우수한 중화권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향 투자의 지속적인 수혜가 기대.

 

 

 

4.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HB테크놀러지(078150)

동사는 1997년 국내 외 LCD 및 AMOLED 검사장비의 최첨단 제품 생산 등을 주 영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4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2013년 LCD 백라이트유닛인 도광판 확산판을 제조/판매하는 소재사업을 추가함. 주요 거래처는 삼성디스플레이, 중국의 BOE, 대만의 INNOLUX 등이 있음. 2009년 고객사와의 협력개발을 통해 AMOLED 검사장비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현재 주요 매출품목으로 성장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8% 감소,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135.9% 증가. 물가상승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 연결회사의 매출액은 전년대비 6.8% 감소한 1,481억원, 영업이익은 흑자전환된 69억원을 기록함. 원가절감과 우호적인 환율 등으로 인해 전년대비 손익이 크게 개선됨. 동사는 디스플레이 사업부문 이외 반도체 및 배터리 소재 사업영역 등 신규 시장 진입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임.

 

 

 

5.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LG디스플레이(034220)

동사는 TFT-LCD 및 OLED 등의 기술을 활용한 Display 관련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Display 단일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대부분의 제품을 해외로 판매하고 있으며, 플렉서블 OLED 스마트폰, Wearable용 원형 OLED 패널 등을 출시하고 있음. 파주와 구미에 TFT-LCD 및 OLED 공장과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주, 유럽 및 아시아에 해외 현지법인을 두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거시경제 환경 악화로 주요 제품군의 수요 부진이 심화되었으며, 이에 수요 부진으로 인한 출하 감소와 LCD 판가 하락의 영향으로 TV 사업 부문의 매출은 전년 대비 26% 감소함. 동사의 신성장 동력인 Auto 사업은 전년 대비 20% 수준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였음.

 

 

 

6.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LG전자(066570)

동사와 종속기업의 주요사업부문은 Home Appliance & Air 솔루션, Home Entertainment, Mobile Communications, Vehicle component 솔루션 등 6개로 구분. OLED TV는 초슬림, 월페이퍼, 롤러블 TV 등 지속적인 혁신 제품 출시로 프리미엄 시장을 지속 선도하고 있음. 디스플레이 오디오와 내비게이션 영역에서는 동사의 디스플레이 및 소프트웨어 역량을 활용하여 제품 차별화중.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9% 증가, 영업이익은 12.5% 감소, 당기순이익은 16% 증가. 영업이익은 주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재료비 증가 및 글로벌 공급망 이슈에 따른 물류비 증가 등 영향으로 전기 대비 감소함. 지분법 이익 감소에 따른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감소 대비 전년도 휴대폰 사업의 중단영업 손실 반영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한 당기순이익이 증가함.

 

 

 

7.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LG화학(051910)

동사는 석유화학 사업부문, 전지 사업부문, 첨단소재 사업부문, 생명과학 사업부문, 공통 및 기타부문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연결회사는 2020년 12월 1일 전지 사업부문을 단순·물적분할하여 (주)LG에너지솔루션 및 그 종속기업을 설립함. 동사는 양극재, 엔지니어링 소재, IT소재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부가 제품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전환을 추진 중에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8% 증가, 영업이익은 40.4% 감소, 당기순이익은 49.7% 감소. 석유화학 사업부문 40.8%, LG에너지솔루션 49.3%, 첨단소재 사업부문 6.6%, 생명과학 사업부문 1.6%, 공통 및 기타부문 1.6%로 매출구성.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 원가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경기 변동에 따른 사업 Risk를 최소화하고 사업의 Fundamental을 강화.

 

 

 

8.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나노신소재(121600)

동사는 2000년 3월 15일 설립됨. 동사는 원재료인 금속 또는 비금속 Metal을 구입하여 초미립 나노 분말로 합성하고 이를 다시 고체인 Target 형태나 Paste/Sol/Slurry 형태의 액상으로 제품화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함. 이러한 기술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패널시장 및 태양전지 시장, 반도체 CMP공정에 투입되는 소재 제조 그리고 이차전지 전극에 적용되는 CNT도전재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0.9% 증가, 영업이익은 194% 증가, 당기순이익은 158.1% 증가. 이차전지소재부문이 매출이 큰 폭으로 늘며 전반적인 기업 실적을 견인함. 동사는 다양한 산업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개발 초기부터 국내.외 다수 고객사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시장을 개척하여 이차전지사업 조기 진출로 시장 우위를 선점하고 있음.

 

 

 

9.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뉴파워프라즈마(144960)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의 박막공정 및 식각공정 장비에서 사용 중인 Remote Plasma Generator와 Plasma 발생 전원 공급 모듈을 제조하는 최고의 핵심 부품 공급 업체.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에 공급하는 장비 회사에 동사의 제품을 공급, 디스플레이 부분은 대용량 RPG 및 RF 전원장치 모듈 제품을 국내 End User에 공급. 대한민국 우주개발의 일익을 담당하여 그 기술력 또한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8% 증가, 영업이익은 42.3% 감소, 당기순이익은 10.1% 증가. 반도체부문의 성장으로 전기에 비해 매출이 확대되었으나, 원자재 비용, 인건비등의 상승으로 인한 자회사 손익구조 악화로 영업이익 감소. 자회사인 한국화이바의 방위산업 참여로 타 산업 대비 안정적인 매출을 실현하고 있으며 R&D 투자 확대를 통해 글로벌 품질 경쟁력 제고에 노력하고 있음.

 

 

 

10.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덕산네오룩스(213420)

동사는 OLED의 핵심 구성요소인 유기재료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2014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덕산하이메탈로부터 인적분할 방식으로 신설되었음. 덕산하이메탈에서 화학소재사업부문을 덕산네오룩스로 인적분할하였고 2015년 2월 6일 코스닥시장에 재상장됨. 동사는 OLED의 발광 소재 중 HTL과 Red Host, R Prime, G Prime을 주력으로 양산 납품 중이고, 기타 B Prime 등도 양산 판매를 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7% 감소, 영업이익은 12% 감소, 당기순이익은 16.9% 감소. 동사의 총자산은 3615억원이며, 부채총계는 412억원으로, 동사는 지속적인 영업을 통한 재무안정성 개선을 노력하고 있음. 수익성 지표 측면에서는 ROE가 전년대비 6.7%p 감소한 12.8%, 매출액순이익률이 전년대비 2.5%p 감소한 22.0%임.

 

 

 

11.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덕산테코피아(317330)

동사는 OLED의 핵심구성요소인 유기재료와 반도체 전자재료 등의 화학제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주요 제품인 HCDS는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소재로 국내외 소수 업체들이 생산·공급하고 있으며, 동사는 국내 최초로 HCDS를 직접 합성부터 초고순도 정제까지 일괄 제조하여 고객사에 공급하고 있음. 신규사업으로 폴리이미드 사업 분야의 출발점인 모노머를 합성하여, 고객사에 공급하기 위한 사업을 준비 중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 감소, 영업이익은 57.9% 감소, 당기순이익은 9.9% 감소. 전기차용 타이어는 SSBR이 사용되는데 당사는 이러한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첨가제를 생산함에 따라 전기차 시장의 확대와 성장에 맞물려 SSBR 전용 재료인 동사의 매출도 동반 성장할 것으로 기대. 2022년 12월 말 완공 예정인 VC, FEC 전용 공장을 통해 신규 고객사 확보 및 매출 성장 예상.

 

 

 

12.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동아엘텍(088130)

동사는 2007년 1월 코스닥에 상장하였으며, (주)선익시스템, (주)디에이밸류인베스트먼트, (주)프라임엔지니어링 등을 주요종속회사로 두고 있음. 주요 사업으로는 디스플레이검사장비부문과 OLED제조장비부문 및 신기술사업금융업부문으로 구분하고 있음. 동사는 현 OLED 증착장비와 더불어차세대 증착장비 개발을 위해 전주도금마스크 대응용 증착장비 R&D를 진행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1% 증가, 영업이익은 135.6% 증가, 당기순이익은 64.9% 감소. OLED 디스플레이 산업은 전통IT 제품서부터 모바일, 산업용, 자동차용 등 고부가가치 시장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동사의 매출도 증가. 최근 동사에서 75”이상 및 중소형 OLED의 Inline형태의 검사장비에 특화된 기술로 집약된 장비를 고객에게 납품을 하고 있으며 향후 많은 수주가 예상됨.

 

 

 

13.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디바이스이엔지(187870)

동사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장비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2002년 설립되었으며, 2017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세정공정의 핵심기술인 오염제어기술을 기반으로 메모리와 비메모리 반도체제조공정과 Rigid 와 Flexible OLED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오염제거장비를 공급함. 사업 다각화의 일환으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소재와 부품 판매사업도 추진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1.8% 감소, 영업이익은 62.8% 감소, 당기순이익은 65.7% 감소. 자산은 전기 대비 9.61% 감소한 1683억원이며, 자산의 주요 감소 요인은 기말재고 자산 감소 때문임. 부채는 전기 대비 40.35% 감소한 339억원임. 동사는 꾸준한 원가절감과 공정 개선의 노력을 끊임없이 연구하고 ,실천하여 내실을 다질 계획임.

 

 

 

14.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램테크놀러지(171010)

동사는 2001년 10월에 설립되어, 반도체용 식각액, 박리액 및 기타 IT 분야 화학소재 등 전방 산업별 핵심 공정 중 사용되는 프로세스 케미컬 제조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음. 반도체를 시작으로 디스플레이, LCD, OLED, 2차전지, 태양전지 분야 화학 약품 공급으로 사업을 확장해 왔으며, SK하이닉스, 삼성SDI, 매그나칩, ELK 등 고객사에 공급함. 매출구성은 식각액 44%, HYCL폼이 25%로 이루어져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8% 증가, 영업이익은 54.3% 증가, 당기순이익은 91.7% 증가. 반도체 업황 개선에 따라 국내 뿐만 아니라 수출 물량 확대, 환율 영향 등으로 수익성이 증가하였으며, 원가절감을 위해 지속적인 경영 효율화에 힘씀. 생산 시설 증설 및 차세대 신규제품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시장 점유율 확대해나가고 있음.

 

 

 

15.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로보스타(090360)

동사는 1999년 2월 26일에 산업용 로봇 제조업 등을 주목적으로 설립하였으며, 2011년 10월 17일에 코스닥에 상장한 주권상장법인임. 동사는 산업용 로봇과 로봇 기반의 자동화 시스템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산업의 고도화에 대응하는 로봇의 성능 개선을 추진하고 있음. Robot 사업 부문과 공정장비 및 로봇 기반의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System Engineering 사업 부문으로 구분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5% 증가, 영업이익은 700.9% 증가, 당기순이익은 100.9% 증가. 매출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지만 원가율 개선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소폭 증가. 디스플레이, 자동차 산업 외 2차 전지 및 반도체 산업용 제품의 매출 비중을 확대함에 따라 특정 산업의 투자 환경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는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함.

 

 

 

16.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미래컴퍼니(049950)

동사는 1984년 11월 미래엔지니어링으로 설립한 후 1992년 12월 미래엔지니어링으로 법인전환되고 2004년 미래컴퍼니로 사명 변경함. 2005년 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동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장비 연구 개발 및 제조하는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자회사 미래디피를 통해 Touch 패널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음. 동사는 Edge Grinder를 국내 최초 자체 개발에 성공하였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1% 증가, 영업이익은 455.3% 증가, 당기순이익은 355.8% 증가. 글로벌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로부터 대규모 수주 성공과 디스플레이 장비 포트폴리오 다변화 성공 반영. 국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기업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해외 대표 기업 BOE, CSOT 등 대부분의 글로벌 패널 제조 기업에서 동사의 Edge Grinder 등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를 사용.

 

 

 

17.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베셀(177350)

동사는 2004년 6월 설립된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생산 기업으로 LCD, OLED, 터치패널용 In-line System 및 각종 장비를 생산하고 있음. 동사 장비 전방 산업은 디스플레이 산업이며, 빠르게 변화하는 전방 산업에 맞추어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음. 동사 사업 초기의 LCD 분야에 한정되어있던 사업군을 OLED 및 TSP 분야로 사업분야를 확대하여 성장을 지속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9.1% 증가, 영업손실은 11.9%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자산은 매출채권 및 계약 자산의 소폭 상승과 비유동자산의 일부가 감소 등으로 전기 말 대비 소폭 감소한 846억원으로 나타남. 현재는 LCD에서 OLED로 생산 설비가 이전되는 과도기적 상황으로 향후 1차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18.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브이원텍(251630)

머신비전 및 화상처리를 통한 디스플레이 검사 S/W 개발 및 장비를 제작하는 동사는 국내외 디스플레이 고객사(LGD, Tianma, CSOT, GVO, Semipeak 등)에 LCD/OLED 압흔검사장비 등을 공급. 또한 2차전지 배터리 장비에 사용되는 검사시스템 및 검사장비의 개발 및 제조 사업 영위. 시스콘은 국내 자체 로봇알고리즘 기반 제조환경 AMR 완제품 상용화에 성공.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 증가, 영업이익은 99.2%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액은 전년대비로 2차전지 부문의 지속적인 수주와 디스플레이 부문 매출 증가 및 시스콘의 한성웰텍 흡수합병(10월 1일로 진행)으로 인해서 전기대비 증가. 부품가격의 상승 및 향후 매출증대를 위한 인력충원으로 인한 인건비상승, 로봇 부문 R&D 활동 확대로 매출원가와 판관비가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함.

 

 

 

19.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비아트론(141000)

동사는 2001년 12월 26일 반도체 및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기계제조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됨. 동사의 주요제품은 AMOLED, LTPS LCD, Oxide TFT, Flexible Display 등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을 위한 장비 중 전공정 장비에 속하는 backplane 제조 관련 열처리장비임. 동사는 패널의 대형화 추세와 차세대 열처리 기술에 대응 가능한 독자적인 설비를 보유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1% 감소, 영업이익은 21.9% 증가, 당기순이익은 15.9% 증가. 동사 열처리 장비는 LCD 분야 LTPS-TFT 기판 제조, Oxide TFT Back- plane 제조, Flexible Display 패널 제작에 필수적으로 적용됨. 디스플레이용 열처리 장비는 2세대부터 8세대 장비로 장비 규모가 커지고, 고성능의 기능이 지원될수록 납품 단가가 높아짐.

 

 

 

20.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삼성전자(005930)

한국 및 DX부문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총괄, SDC, Harman 등 232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임. 세트사업은 TV를 비롯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DX부문이 있음. 부품 사업에는 DRAM, NAND Flash,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DS 부문과 중소형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고 있는 SDC가 있음.

 

 

프리미엄 제품판매 확대와 환율 상승으로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지만 반도체 판가 하락 및 세트사업 물류비 증가 등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함. 파운드리 부문은 호조를 보인 반면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LSI는 판매부진, 가격하락과 함께 재고평가손실도 실적에 악영향을 미침. MX사업부는 스마트폰 판매둔화와 중저가 수요약세로 인해 4분기 매출과 이익이 모두 감소함. 네트워크사업부는 국내 5G망 증설과 북미 등 해외사업 확대로 매출이 증가함.

 

 

 

21.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선익시스템(171090)

동사는 1990년 5월 24일에 설립 되었으며, OLED 장비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소형 OLED 증착기 시장에서 독보적인 전세계 M/S 1위 업체로서 지위를 확고하게 유지하고 있으며, 300mm 웨이퍼 양산장비를 생산한 유일한 업체로 경쟁력을 보유함. 기타 R&D, 물질공급용 및 준 양산을 위한 중.소형 증착기의 경우는 동사의 시장점유율이 약 80% 이상으로 추정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0.2%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68.3% 감소. 당기말 자본 총계는 793억원이고, 부채 총계는 456억원으로 부채비율은 57.5%로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가지고 있음. 신규 사업인 마이크로 OLED 증착 장비의 연구 개발(R&D)과 정부 지원을 통한 차세대 증착 장비 개발에 전념하고 있음.

 

 

 

22.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아바코(083930)

동사는 평판디스플레이 설비 장비를 생산 공급할 목적으로 2000년 1월 16일에 설립되었으며, 2005년 10월 11일 코스닥시장 상장. 동사는 LCD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OLED용 평판디스플레이(FPD) 장비를 생산하고, 고객과의 오랜 신뢰 구축과 보유 기술력을 바탕으로 활발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동사는 기존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외에 반도체, 이차전지, MLCC 장비로 사업영역을 확대하여 매출처 다각화에 노력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8% 증가, 영업이익은 38.3% 증가, 당기순이익은 44.4% 증가.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의 큰 증가로 인하여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이 증가하였음. 반도체 패키지 제조 장비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OLED, 스트레쳐블(Stretchable)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대응하기 위한 장비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음.

 

 

 

23.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아이씨디(040910)

동사는 LCD, 반도체 및 평판 디스플레이(AM-OLED, TFT-LCD 등) 장비 제조를 주사업목적으로 하며 2000년 2월 26일 설립됨. AM-OLED, TFT-LCD 등 FPD(Flat Panel Display)의 전반적인 디스플레이 패널 양산에 필요한 제조 장비를 생산, 판매하고 있음. 플라즈마 및 박막트랜지스터 등과 관련된 다양한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0.4%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음에도 원가 증가율이 더욱 높아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함. 핵심 역량인 Plasma 기술을 응용한 의료기기 및 미용/치료 분야에서 신규 사업을 진행 중에 있음. 2.4%의 연구개발비투자를 통해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가시적인 성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24.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아이컴포넌트(059100)

동사는 평판디스플레이용 부품 제조 및 관련된 연구 및 개발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2000년 5월 12일에 설립되었음. 코팅부문에서 배리어코팅 필름제품과 일반 기능성코팅제품을 생산중이며, 압출분문에서는 도광판, PC Film, PMMA Film 등 광학필름을 생산하고 있음. 압출 도광판 분야에서는 꾸준하게 성장하는 긍정적인 흐름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선행 연구개발을 꾸준히 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0% 증가, 영업이익은 46.6% 증가, 당기순이익은 19.8% 증가. 동사의 압출부분에서 기존의 일반필름은 성장이 정체되고 있으나 도광판용 필름은 꾸준하게 증가하여 비중도 점점 높아지고 있음. 압출 도광판에 대한 수요는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기술적 장벽이 높은 제품이기에 앞으로도 끊임 없는 연구개발을 통하여 더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25.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야스(255440)

동사는 OLED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을 위한 장비 중 증착공정 장비에 속하는 증착시스템, 증착원을 제작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증착기와 증착원 모두 양산 성공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은 전세계에서 동사가 유일함. OLED 제조 공정은 폴리이미드 코팅 및 경화 -> LTPS TFT 제조(열처리, 결정화 공정 포함) -> 유기물 증착 -> 봉지 -> 유리기판 제거(LLO) 공정으로 구성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3%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액 구성비 중 이익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유지보수 및 기타매출의 비율 증가와 경상연구개발비의 증가, 연결 종속회사들의 경영실적 악화의 영향으로 분석됨. 주력 제품인 OLED 패널 수요와 전체 시장의 성장은 향후에도 LCD 산업의 사이클처럼 점진적으로 성장해 나갈것으로 예상됨.

 

 

 

26.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에스에프에이(056190)

동사와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스마트팩토리솔루션사업과 반도체패키징사업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함. 스마트팩토리솔루션사업부문에서는 국내외 디스플레이산업, 2차전지산업, 반도체산업, 유통 및 기타 제조 산업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스마트화된 제반 공정장비 및 생산시스템을 공급하고 있음. 반도체패키징사업부문에서는 반도체 제조 관련 후공정부문에서 칩의 전기적 연결 및 물리적 기능과 형상을 완성하는 외주가공용역을 공급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6% 증가, 영업이익은 14.8% 감소, 당기순이익은 34% 감소. 매출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 증가 폭이 매출 증가 폭을 앞지르면서 수익성은 전년 대비 악화했음. 대규모로 수주받은 2차전지 장비의 순차적인 매출 인식과 하반기 CIS 합병 시너지로 인한 추가적인 수익성 개선을 기대하고 있음.

 

 

 

27.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에스엔유(080000)

동사는 OLED, LCD, 태양전지 등의 산업용 제조장비를 제조, 판매하는 종합장비전문회사로 주요 매출은 LCD 제조장비 및 태양전지와 OLED 제조장비로 이루어짐. 주요 고객사로는 국내 대규모 디스플레이 패널사와 반도체 산업 그리고 2차전지 사업을 영위하는 고객을 기반으로 중국, 대만, 미국, 유럽 등에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음. LCD 산업용 제조장비 중심에서 태양전지, OLED 및 반도체 제조장비로 사업영업을 확대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1% 증가, 영업이익은 8% 증가, 당기순이익은 10.7% 감소. LCD패널투자는 65인치 이상을 생산하는데 최적화된 10G급이상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2차전지투자는 중대형 전지 Capa를 늘리기 위한 증설이 진행 중이므로 성장이 기대됨. 동사는 2차전지와 수소연료전지 등 차세대 에너지 사업 관련 영역을 확대하고 있어 실적 개선 기대됨.

 

 

 

28.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에프엔에스테크(083500)

동사는 2002년 3월 18일에 평판디스플레이관련 장비와 반도체 제조용 부품소재 등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음. 동사는 고객사의 Flexible 양산 라인에 Wet장비인 식각기, 박리기, 세정기를 공급하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해외 시장 진출이 전망 됨. 부품소재부문에서 동사는 세계 제일의 수준의 UPW System을 제조하고 있으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에 성공적으로 납품하여 경쟁력을 높이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 증가, 영업이익은 146.9% 증가, 당기순이익은 209.2% 증가. 매출액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지만, 판관비 및 인건비 등에서 큰 비용 절감을 통하여 영업이익및 당기순이익 대폭 증가 동사가 개발중인 CMP PAD는 반도체 시장의 정교화 되는 공정에 따라 계속 변화하고 있으며, 동사의 재사용 CMP 패드의 시장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확대가 예상됨.

 

 

 

29.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엘디티(096870)

동사는 2019년 12월부터 반도체사업부와 SSN사업부 2개의 사업부 체제로 전환하여 운영하기 시작하였음. OLED 구동 IC 분야 중 주력인 PMOLED는 안정적인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AMOLED는 스마트폰에 장착이 되면서 시장이 급격히 커지고 있음. 당사가 영위하는 EMS는 생산설비를 이용하여 전자제품 제조 및 납품에 관한 서비스를 일괄 제공하는 제조전문 서비스 사업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5.3% 감소, 영업이익은 20.2% 감소, 당기순이익은 12.4% 감소. 스마트폰 이외에도 TV, 태블릿PC, Smart Watch, 웨어러블 기기,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제품에 응용 및 확대 되어가고 있음. 중화권 경쟁업체의 코로나 여파에 따른 생산중단 등 가동율 저하에 따른 반사이익으로 중화권 PMOLED 구동 IC의 가파른 수출 호재로 매출 성장을 유지하고 있음.

 

 

 

30.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엘오티베큠(083310)

동사는 2002년 3월 설립되었으며, 반도체용 건식진공펌프의 제조 및 판매, 수리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현재 약 7개의 모델과 90여종의 제품을 자체 개발함. 건식진공펌프는 반도체를 비롯하여 디스플레이, 태양광, 철강 및 일반산업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 주로 공급하고 있음. 고난이도의 공정에 투입되는 진공펌프 기술은 스웨덴, 독일, 일본에서 주요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동사 이외의 국내업체는 진입하지 못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1% 증가, 영업이익은 13.1% 증가, 당기순이익은 22.4% 증가. 진공펌프 사업 부문의 DD, HD, LD, RD, XD - series 등 제품 수출의 증가로 전년대비 영업이익이 증가함.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2차전지 산업분야 및 기타 산업분야와 연구분야 등에서 사용되는 차세대 진공펌프 개발을 진행 중에 있음.

 

 

 

31.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영우디에스피(143540)

동사는 2004년 설립되었으며 OLED 및 LCD등의 검사장비 제조를 주요사업으로 하고 영위하고 있음. LCD, OLED 검사장비를 자체 기술로 설계, 제작, 조립, 검사, Test하는 Turn-Key 방식의 일괄 생산라인을 갖추고 있음. 주력장비는 Cell과 Module을 검사하는 AVI, ACA, MVI, AOT는 Cell과 Module의 불량픽셀을 검사하는 패널 제조공정의 필수장비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7.8%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2023년에도 인플레이션과 반도체 공급망 재편등의 이슈는 지속되는 등 국내외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동사는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신사업 도약 등 새로운 성장의 길을 개척함으로써 고객, 임직원, 주주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음.

 

 

 

32.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예스티(122640)

동사는 2000년 3월 주식회사 영인테크로 설립되어, 2006년 1월 상호를 예스티로 변경하였으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 반도체 부품을 제조하는 기업임. 반도체용 열처리 장비를 개발을 시작으로 고온용 열처리 장비 개발을 완료 및 2010년 삼성디스플레이에 장비 공급을 시작으로 디스플레이 사업에 진출함. 주요 매출 비중은 반도체장비 49.24%, 디스플레이장비 34.64%, 기타매출 16.12%로 구성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 증가, 영업손실은 52.1% 증가, 당기순손실은 86.6% 감소. 국내에서는 아직 투자가 없는 10.5세대 Glass 제조공장에 대한 투자도 최근 결정되어 향후 5년간 투자계획이 수립되어 있는 상황. 동사가 개발한 VDO System은 신규로 부각되는 대면적 TV & 투명 OLED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적용에 따른 지속적 수익 창출이 예상됨.

 

 

 

33.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와이엠씨(155650)

동사는 2008년 설립된 FPD 패널 제조를 위한 배선재와 FPD공정 Chamber의 부품을 연구개발생산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2008년부터 Backing Plate와 Target의 국산화연구를 시작하여 2010년 개발에 성공하여 FPD Panel 제조업체에 배선재와 부품을 납품하고 있음. 기존 장비가 대부분 외산장비라 신규 개발의 어려움은 있으나, 이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국산화를 진행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4% 증가, 영업이익은 64.3% 증가, 당기순이익은 84.6% 증가. 전방 산업 업황 개선 및 신규 수주 증가로 인한 증가로 인해 매출이 늘고 수익성이 개선됐음. QLED 와 QNED 시장의 개화, OLED 시장의 성장이 예상되어 당사 또한 소폭의 외형적인 성장과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34.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와이투솔루션(011690)

동사는 전원공급장치인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의 개발 및 제조를 주사업으로 하고 있고,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에 사용하는 파워모듈 및 바이오 신약개발을 신성장 사업으로 육성 중임. 매출은 SMPS 89.47%, 화학상품 도매 사업부 10.26%, 기타 부문 0.27%로 구성되며 LG전자 등이 주요 고객사임. 전기자동차 충전기, 차량용 인버터 등 중대형 SMPS로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77.1% 감소. 동사는 기업회생 절차를 종료한 이후 핵심고객사인 LG전자로부터의 신뢰 회복을 통한 물량 증대로 전년대비 매출성장을 이룰 수 있었음. 원가경쟁력의 저해요소로 작용했던 국내 생산 시설 운영을 중단하고, 중국 청도법인 신공장 이전을 완료하여 글로벌 생산 경쟁력을 강화함.

 

 

 

35.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원익IPS(240810)

인적분할로 설립된 신설회사로 2016년 5월 재상장, 분할 전 회사인 원익홀딩스가 영위하던 사업 중 반도체, Display 및 Solar 장비의 제조사업부문을 담당. 2019년 2월 원익테라세미콘 합병으로 국내 대형 장비 기업으로 도약함. 매출구성은 제품(반도체/Display/Solar Cell 제조 장비) 90%, 기타(장비 및 장치 유지보수에 필요한 부품, 기술용역 등) 10%로 이루어져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9% 감소, 영업이익은 40.6% 감소, 당기순이익은 38.4% 감소. 삼성전자의 장비 반입으로 인해 전분기 대비는 상승했으나 연간 매출액은 여적히 크게 하락. 일회성 비용 증가로 이익률도 하락. 평택 진위3산업단지에 부지면적 2만2520㎡규모의 신사옥 준공. CAPA 2배 이상 증가 예정. 삼성전자의 평택 신규 주자로 실적 회복 예정임.

 

 

 

36.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원익머트리얼즈(104830)

동사는 2006년 12월 1일을 기준으로 하여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구, 주식회사 아토)의 특수가스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설립됨. 반도체용 특수가스 및 일반산업용 가스의 충전, 제조, 정제 및 판매 등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가 생산하는 고순도 특수가스는 글로벌 Major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회사에 납품하고 있으며, 반도체의 메모리, 비메모리, 디스플레이의 OLED, LCD를 생산하는 과정에서의 소재로 사용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7.1% 증가, 영업이익은 75.8% 증가, 당기순이익은 9.3% 증가.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대폭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와 판관비, 인건비 등 부담은 늘었지만 매출 증가 폭이 커 영업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대폭 증가함. 영업이익 증가 영향으로 법인세 비용 부담이 늘었음에도 당기순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확대됨.

 

 

 

37.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웰킵스하이텍(043590)

동사는 1974년 설립, 2001년 코스닥에 상장한 IT 부품 설계/제조 전문기업으로서 Driver IC 반도체 설계, DDI 패키징, 전기자동차 부품, 자동차용 무선충전 및 전장부품 사업 등을 전개하고 있음. 문등크로바전자유한공사, 산동크로바전자유한공사 등 3개 회사를 연결대상종속회사로 두고 있음. DB글로벌칩, LX세미콘, BOE, 현대모비스, LG이노텍, 한솔테크닉스, MOLEX, 폭스바겐 등이 주요 거래처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9%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는 Touch 분야에서는 일반적인 펜을 사용할 수 있고, 호버링이 가능한 신기술의 IC를 개발하고, Screen size와 해상도에 따른 IC 제품을 개발 예정. 향후 오토모티브(Automotive)관련 시장 신기술적용 반도체패키징 기술개발, 웨어러블기기용(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반도체 패키징 기술 개발 예정.

 

 

 

38.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이녹스첨단소재(272290)

동사는 이녹스로부터 인적 분할을 통해 신규 설립되었으며, 2017년 7월 10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 되었음. 현재 고분자 합성, 배합 기술을 기반으로하여 FPCB용 소재, 반도체 PKG용 소재, 디스플레이용 OLED 소재등을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IT소재 사업을 하고 있음. 당사는 전세계 대부분의 OLED 패널제조사들에게 OLED 핵심소재를 공급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4% 증가, 영업이익은 0.4% 증가, 당기순이익은 6.5% 증가. 총자산은 4,639억원, 유동자산은 2,730억원이고 당기말 총 부채는 836억원임. 부채비율은 22%로 전년 대비 줄어들었음. 2023년에도 글로벌 통화긴축 지속, 원자재ㆍ에너지 수급 차질의 장기화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클 것으로 전망됨.

 

 

 

39.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이엘피(063760)

1999년 10월 설립된 동사는 디스플레이 검사장비의 제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고 있고 주요제품은 OLED 및 LCD 검사장비 등이 있음. 10년 이상의 기술개발을 통해 디스플레이 검사를 위한 구동 및 점등에 대한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검사를 위한 주변기술의 특허를 보유하여 시장경쟁력을 갖추고 있음. 신규사업으로 UV(자외선)경화 레진을 활용해 신규 광학렌즈를 개발하는 카메라 렌즈모듈과 청색필터 개발작업 진행 중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8% 감소, 영업손실은 6.2% 증가, 당기순손실은 125.9% 증가. 동사는 생산라인 [화성본사 및 쑤저우 법인(ELP Suzhou Technology Corporation, 중국현지법인)] 및 자회사인 엔지온시스템을 통해 고객사의 수요에 신속하게 대응 및 신규사업개발 진행 중임. 정확한 점등 특성을 위한 고정밀 파워 설계 기술 및 nA급 정밀전류측정기술 보유로 경쟁력 보유.

 

 

 

40.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제이스텍(090470)

동사는 1995년 3월에 설립되어 2007년 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 주요사업은 OLED, LCD 디스플레이 본딩장비와 POL 컷팅장비, Cell 컷팅장비 등 레이저장비 및 워터젯 디프레시장비, 도금장비 등의 반도체 장비의 제조, 판매임. 특히, 워터젯 세정도금장비 부문에서 독보적인 기술과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 반도체 도금장비는 Meco등 세계 굴지의 업체와 어깨를 나란히 하여 경쟁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5.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350.3% 증가. 동사는 바이오진단키트 장비 부문에서 매출의 꾸준한 성장을 시현하며 외형성장이 기대됨. 또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나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을 즐길 수 있는 중소형 휴대기기에 대한 수요증가에 맞춰서 OLED 등 차세대 Display에 적용되는 장비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공급할 예정임.

 

 

 

41.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주성엔지니어링(036930)

동사는 1993년 4월 13일에 설립되어 1999년 12월 22일에 코스닥에 상장 됨. 동사는 종속회사를 통해 관련장비의 해외판매 및 서비스 업무 등을 수행하며, 다수 공정 중에서도 증착공정에 필요한 장비를 제조하여 고객사에 주 납품하고 있음. 동사가 속한 반도체 산업은 초미세공정화를 통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술 난이도가 빠르게 진화하면서 적극적인 연구개발에 앞장서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1% 증가, 영업이익은 20.7% 증가, 당기순이익은 27%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와 판관비, 인건비 등 부담은 늘었지만 매출 증가 폭이 커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늘어남. 영업이익은 크게 늘었지만 각종 비용 부담과 함께 1회성 기타 비용 등의 영향으로 당기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감소함.

 

 

 

42.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참엔지니어링(009310)

동사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 시 발생되는 결함을 레이저로 수리하는 장비 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주요 고객사는 한국, 중국, 대만, 일본 등 글로벌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업체이며, 2022년 말까지 전세계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업체에 누적 2,482대의 리페어 장비를 납품할 예정. 디스플레이 고성능 광학 검사장비와 마이크로미터 이하 초정밀 미세 가공 장비 등 신사업 영역으로도 확장, 발전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 기준 매출액은 13.3% 증가, 영업이익은 50.1% 감소, 당기순손실은 3.7% 증가.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산업 또한 해상도, 색상 재현력, 선명도, 폼팩터를 구현하기 위해 R&D 투자 지속하고 있음. 회사는 R&D투자를 지속적으로 진행한 결과,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까지 FPD Repair장비 외 신사업 등과 관련하여 260개(등록 206, 출원 54)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음.

 

 

 

43.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케이피에스(256940)

동사는 디스플레이 패널업체를 대상으로 정밀장비 제작 및 제어, 비젼기술을 바탕으로 OLED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비를 개발,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주요 제품인 OELD 마스크 인장기는 증착장비와 함께 핵심 장비로 분류됨. OLED 디스플레이는 전공정과 후공정으로 구분됨. 각각 디스플레이 원판을 제조하고, 완제품에 적용될 디스플레이를 생산하는 과정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3% 증가, 영업손실은 30% 감소, 당기순손실은 25.7% 감소. 2022년초 수주 프로젝트의 납품으로 전년도 대비하여 큰폭으로 매출이 상승하였으나, 중국 코로나 봉쇄 장기화, 금리인상 여파 등으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의 지속으로 당사의 국내외 주요거래처의 투자가 지연되고 있음. 바이오사업부에서는 항암파이프라인을 확보하여 항체항암제 후보물질에 대한 전임상 위탁계약을 맺었음.

 

 

 

44.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탑엔지니어링(065130)

동사는 반도체, LCD, LED 및 OLED 및 카메라모듈 공정장비를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하고 있음. 국내에 공정장비 제조공장, 및 R&D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 및 대만에 현지 사무소를 운영중에 있음. 또한 계열회사를 통해 부품과 신소재 관련 제품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음. LCD 장비인 디스펜서는 약 60%의 높은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7% 감소, 영업손실은 39.4% 증가, 당기순손실은 17.6% 감소. 국내 주요 자동차 메이커의 SQ인증 취득으로 자동차용 카메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어 향후 새로운 수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함. 향후 전기자동차의 상용화와 ESS(Energy Storage System) 육성 정책에 따라 BMS 및 중대형 배터리 팩은 새로운 수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함.

 

 

 

45.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톱텍(108230)

동사는 1992년 설립되어, 30년 경험의 FA system 제작을 통해 축적된 노하우와 설계기술 활용하며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단기간 내에 많은 설비 공급을 요구하는 고객에 맞춘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음.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균일한 품질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세계 최대의 생산역량과 최첨단 생산 설비를 구축하여 나노관련 사업을 진행 중에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9.2%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우수한 기술진과 함께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여러 분야로 사업 확대 및 수주 확대가 기대됨. 최근 국내외 기업들의 설비투자와 2차전지 자동화설비, Smart Factory 자동화설비, 디스플레이/반도체 생산설비의 수요 증가 등으로 점차 영업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됨.

 

 

 

46.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티에스이(131290)

반도체 및 OLED 검사장비를 제조, 판매하는 회사로 반도체 및 OLED의 전기적/광학적 특성을 검사하기 위한 Total Test Solution을 제조 및 판매함. 웨이퍼 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Probe Card와 후공정 최종 단계에서 검사를 위한 Test Interface Board, Load Board, Test socket 등은 반도체 산업에 속함. OLED/LED 검사장비는 디스플레이 산업에 속해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3% 증가, 영업이익은 3.6% 증가, 당기순이익은 11.4% 증가. 국내외 고객사 향 프로브카드, 소켓 등의 실적 성장과 자회사의 성장이 기대됨. 비대면 경제의 본격 도래로 디지털 헬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로봇과 드론, 전기차와 자율주행, 5G 연결, 스마트시티로의 급격한 전환으로 반도체 수요와 공급은 더욱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

 

 

 

47.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파인텍(131760)

주요 사업 부문은 부품사업부, 장비사업부로 나눌 수 있으며, 주요 제품 생산은 부품사업부-베트남, 장비사업부-국내 에서 영위함. 세계 최초로 공용 BONDING 장비를 개발 및 납품하였으며, 센서 제품으로 첫 전장 시장 진입에 성공함. 동사의 매출구성은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약 47.13%, Touch Key 약 22.19%, Digitizer 약 19.77%, 2차전지 제조 장비 약 8.34%,기타 약 2.56% 로 구성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3% 증가, 영업이익은 260.2%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산는 2차전지 제조장비 수주 증가에 힘입어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 세 자릿수 성장 및 당기순이익 흑자전환을 달성함. 영업이익 상승은 2019년에 시작한 2차전지 제조장비 사업에 대한 3년 간의 꾸준한 투자 및 연구개발 성과이며, 동사는 매출 증대를 위한 사업 확장뿐만 아니라 3년 전부터 비용 절감에 힘써왔음.

 

 

 

48.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필옵틱스(161580)

동사 사업은 OLED 레이저장비 부문과 이차전지 부문, 기타 부문으로 분류됨. OLED 레이저장비 부문은 Rigid 및 Flexible OLED 공정장비 등을 생산함. 이차전지 부문은 Laser Notching 및 Stacking 설비 등을 생산함. 기타 부문은 반도체 공정용 DI노광기, 3D 검사 장비 등을 담당함. 필에너지, 필머티리얼즈 등 5개 회사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OLED 레이저장비, 이차전지장비, 기타부문 모두 매출이 증가했음. 이에 매출원가, 판관비, 인건비및복리후생비 증가에도 영업이익이 흑자전환함. Flexible OLED 고성장세 전망에 전세계 패널 업체들은 설비증설 계획을 발표 중.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가 설비투자를 주도, 일부 중국 업체들도 증설에 가세하는 중.

 

 

 

49.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한솔아이원스(114810)

동사는 반도체 전공정 장비 부품의 정밀 가공 및 세정,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부품의 정밀 가공, 디스플레이 장비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음. 기술을 접목한 영업활동을 통해 반도체장비 신규/개조개선 업무 진행 및 국내외 메인장비 업체들과 지속적인 교류 중.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아바코 등임. 주요 매출 비중은 반도체 정밀가공부품 72.5%, 정밀세정이 27.5% 구성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1% 증가, 영업이익은 6.2% 감소, 당기순이익은 2.5% 증가. 영업이익 전년대비 6.2% 감소한 주요원인은 경영 효율성 증대 및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컨설팅 비용 증가되어 판매관리비가 증가됨.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계 회복사이클에 맞춰 생산설비 및 라인증설을 추진 중이며, 거래처 다변화와 수주 확대로 호실적 기대.

 

 

 

50.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 힘스(238490)

동사는 글로벌 디스플레이 패널업체에 OLED 핵심공정인 유기물 증착 공정과 과련된 모바일용 분할 메탈 Mask 연관 장비를 개발 및 공급함. 주력 제품은 크게 OLED 장비와 기타장비로 구분됨. 이 중 OLED 장비는 Mask 공정장비와 Glass 공정 장비로 구분. 주력 사업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공정 장비 사업은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 업체들의 설비투자계획, 주기에 직접적으로 대규모 영향을 받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7.6% 감소, 영업손실은 203.7% 증가, 당기순손실은 1,860.3% 증가. 자산은 795.2억원으로 이중 유동자산은 38.7%인 307.5억원, 비유동자산은 61.3%인 487.8억원임. 최대 고객사에서는 IT용 OLED 생산 설비에 투자를 검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투자를 검토 중에 있어 2023년에는 매출 회복이 기대되는 상황임.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 이슈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은 유기화합물로 구성된 발광 소자로, 전기가 흐를 때 발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OLED은 각각의 픽셀이 독립적으로 발광하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모든 픽셀은 자체적인 빛을 발산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화질 개선: OLED은 고해상도, 높은 명암비, 넓은 시야각 등 우수한 화질을 제공합니다. 최근에는 더욱 고화질의 OLED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으며, 생생하고 선명한 화면을 표현할 수 있는 기술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 접이식 OLED: 접이식 OLED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접거나 구부러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접이식 스마트폰이나 접이식 태블릿과 같은 혁신적인 기기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3. 기술 발전: OLED 기술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밝기, 발광 효율, 장수명 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새로운 소재와 제조 방법이 연구되고 도입되고 있습니다.

4. 환경 친화적인 기술: OLED은 일부 구성 요소가 유기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제조 과정에서 환경 오염의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제조 과정의 환경 친화성 개선과 OLED 패널의 재활용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5. 자동차용 OLED 디스플레이의 증가: 자동차 내부에 OLED 디스플레이가 적용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OLED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정보 표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디지털 계기판 등에 사용되며, 고급스러운 시각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6. OLED 조명의 발전: OLED 조명은 얇고 유연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조명 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OLED 조명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밝고 효율적인 OLED 조명 제품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