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와 차트

반응형

로봇 관련주 목차

     

 

 

 

1. 로봇 관련주 - TPC(048770)

동사는 1979년 1월 22일에 단해공압공업 주식회사 로 설립. 1999년 12월 상호를 주식회사 TPC메카트로닉스로 변경함. 공장 자동화부품을 생산하는 공압사업부, 전동 모터 및 리니어모터를 활용한 릭교로봇을 생산하는 모션사업부를 운영 중임. 신규사업으로서 3D프린터 전략팀과 협동로봇 전략팀을 운영. 로봇솔루션파트는 미국 Rethink Robotics사와 대만 Quanta Storage사의 제품을 국내 시장에 판매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4% 증가, 영업이익은 56.9% 감소, 당기순이익은 98.7% 감소. 차량용 반도체 공급이슈 완화 등으로 인한 생산확대, 전기차 시장 확대등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에 힘입어 매출 성장. 단 원가 상승 지속으로 영업이익은 감소. 리니어 모션등 신규사업의 안정화 및 기존 공압시장의 영향력 확대와 신규사업인 바이오-메카트로닉스 사업을 통해 사업의 양적 성장을 이룰 계획

 

 

 

2. 로봇 관련주 - 뉴로메카(348340)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는데 있어 핵심제품인 협동로봇의 연구 및 개발 사업을 영위함. 구독형 협동로봇 자동화 서비스, 산업용 IoT(사물인터넷) 기반의 협동로봇 원격 유지보수 관리 서비스 등을 구축하여 협동로봇 자동화 생태계 구축에도 힘쓰고 있음. 협동로봇 이외에도 딥러닝 비전솔루션, 자율이동로봇(AMR) 플랫폼, 고속, 고정밀 델타로봇(delta robot) 등 다양한 로봇 제품들을 자체 생산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7% 증가, 영업손실은 159.2% 증가, 당기순손실은 24.4% 증가. 신규 고객사 발굴 등으로 인하여 매출은 증가하였지만, 비용 급증으로 인해 영업이익 적자 지속. 동사는 2022년 8월까지 (PCT를 포함하여) 누적 74건의 기술 특허를 출원하였으며, 현재 등록된 특허는 30건임. 원천 기술들의 제품화를 통해 기술 차별성을 꾀하고 있음.

 

 

 

3. 로봇 관련주 - 두산(000150)

전자, 퓨얼셀 파워, 유통, 디지털이노베이션 등의 자체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전자 분야에서는 대부분의 전자제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PCB)의 핵심소재인 동박적층판을 생산하며, 퓨얼셀 파워는 연료전지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발전용부터 주택용까지 풀 제품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음. 연결대상 종속회사에 포함된 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두산중공업, 두산밥캣, 두산퓨얼셀 등이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2% 증가, 영업이익은 22.3%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전자BG의 견고한 성장과 더불어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 등 주요 계열사의 실적 개선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증가하였음. 인건비, 원자재 등 비용 상승에도 불구하고 높은 영업이익률 달성하였음. 사업구조 재편으로 인한 그룹 재무 구조 개선되었음.

 

 

 

4. 로봇 관련주 - 라온테크(232680)

동사는 2000년 3월 설립하여 제조업용 로봇(Robot)과 자동화 시스템(FA)을 개발 공급하고 있는 기업임. 동사는 반도체 및 FPD용 로봇시스템과 일반산업용 로봇 자동화 시스템 제조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2016년 수원 신축사옥으로의 본사 이전을 통한 경영환경 개선 및 업무효율성 증대를 통해 생산CAPA를 크게 향상시켰으며, 나온테크에서 라온테크로 사명을 변경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61.2% 증가, 영업이익은 70.5% 증가, 당기순이익은 27.4% 증가. 소부장 국산화 기술에 대한 관심 상승,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경제 활성화에 따른 반도체 수요 증가로 전방 시설 투자가 확대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힘이 됨. 다양한 로봇 모델과 자체 제어기를 개발/적용하여 시장에 진입하였으며, 중국 등으로 수출을 확대할 계획임.

 

 

 

5. 로봇 관련주 - 러셀(217500)

동사는 2006년 3월 설립되어, 반도체 장비 제조 및 판매와 생산 자동화 장비 제조 및 판매 등을 영위하고 있음. 중고 반도체 증착 장비를 고객의 요구에 맞게 개조, 업그레이드하여 재판매하는 Refurbishment & Retrofit 사업을 영위함. 동사는 반도체에 박막을 부착하는 증착 장비에 특화된 반도체 중고 장비 업체로 업체 인지도 및 기술력, 가격 경쟁력 등에서 주목받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4% 감소, 영업이익은 20.3% 감소, 당기순이익은 46.9% 감소. 중국내 리퍼러시 수요 증가세로 반도체 제재 기조 속 중고 장비의 개조 수요와 12나노 이상 투자가 집중되고 있음. 다수의 로봇을 동시에 운영할 수 있는 AGV 관제 시스템 생산량 확대 및 ASP Mix 개선에 따른 비용 효율화를 통한 수익성 개선.

 

 

 

6. 로봇 관련주 - 브이원텍(251630)

머신비전 및 화상처리를 통한 디스플레이 검사 S/W 개발 및 장비를 제작하는 동사는 국내외 디스플레이 고객사(LGD, Tianma, CSOT, GVO, Semipeak 등)에 LCD/OLED 압흔검사장비 등을 공급. 또한 2차전지 배터리 장비에 사용되는 검사시스템 및 검사장비의 개발 및 제조 사업 영위. 시스콘은 국내 자체 로봇알고리즘 기반 제조환경 AMR 완제품 상용화에 성공.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 증가, 영업이익은 99.2%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액은 전년대비로 2차전지 부문의 지속적인 수주와 디스플레이 부문 매출 증가 및 시스콘의 한성웰텍 흡수합병(10월 1일로 진행)으로 인해서 전기대비 증가. 부품가격의 상승 및 향후 매출증대를 위한 인력충원으로 인한 인건비상승, 로봇 부문 R&D 활동 확대로 매출원가와 판관비가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함.

 

 

 

7. 로봇 관련주 - 삼익THK(004380)

동사는 수공용 줄을 생산, 판매할 목적으로 1965년 설립되었으며, 이후 기타 기계 및 장비제품의 제조 및 판매 업종을 추가함. 산업설비자동화, 반도체 제조장비 및 시험장비 등에 필수요소 부품인 LM시스템과 LM가이드, 볼스크류, 서브모터, 감속기 등을 조합한 메카트로시스템 사업을 영위함. 동사는 주력품목인 LM시스템의 각종 적용 기술을 별도 기술지원홈페이지를 통하여 자료를 구축 및 고객 지원을 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9.2% 증가, 영업이익은 206억원으로 39.3% 증가, 당기순이익은 40.9% 증가. 메카트로시스템 등 자동화기기와 부품 수출이 호조를 보였고 산업용 기계장비 매출이 내수시장에서 크게 오르며 전체 외형 성장을 견인함. 동사의 LM시스템은 기계의 고정도화, 조립용이성, 에너지절감, 간편한 유지보수 등으로 높은 수준의 경제성과 기술 향상성을 갖춤. 국내산업 자동화 및 산업고도화에 공헌.

 

 

 

8. 로봇 관련주 - 서암기계공업(100660)

동사는 1978년 설립된 공작기계 전문 회사로서 기어, 척, 실린더, 커빅커플링 등 공작기계에 사용되는 부품을 주로 생산. 화천기계, 화천기공 등과 함께 화천기계그룹에 속함. 2004년이후 선박용엔진 기어, 풍력발전용 기어, 터보컴프레셔 기어 등으로 비공작기계 부품군을 확대, 터보컴프레셔 분야는 독점적 지위 유지. 화천기공, 화천기계 뿐만 아니라 두산인프라코아, 현대위아, 삼성테크윈 등 주요 공작기계 업체를 모두 고객으로 확보.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2.4% 증가, 영업이익은 184.6% 증가, 당기순이익은 71% 증가. 해외시장으로의 매출 회복세이고, 척&실린더 및 기어 등의 내수 호조로 매출액 증가세를 나타냈으며, 원가율 또한 하락하여 수익성 상승세 시현함. 전량 수입품에 의존하던 철도차량 동력 전달장치용 기어 국산화 완료되어 긍정적 영향을 기대하며, 내실있는 관리를 통한 고정비 부담 완화 노력 지속중.

 

 

 

9. 로봇 관련주 - 스맥(099440)

동사는 정보통신장비의 개발,제조 및 관련 소프트웨어의 개발, 판매 등을 주 목적사업으로 1996년 3월에 설립됨. 동사는 공작기계, 자동화 장비, 융복합 장비, 로봇 등을 제조하는 기계사업부문과 이동통신장비, IP네트워크 장비 등을 제작하는 ICT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기계사업부문은 공작기계 및 관련 부품, 산업용 Robot의 제조ㆍ판매 등을 주요사업으로 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1%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코로나 팬데믹에 따라 제조산업 전반에 스마트공장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동사 매출도 크게 늘어남. 판관비와 인건비 절감 성공으로 영업이익 대폭 확대. 국내 공작기계 시장은 현대위아와 디엔솔루션즈가 1,2위를 다투고 있으며, 동사는 업계 3,4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추정됨.

 

 

 

10. 로봇 관련주 - 신성델타테크(065350)

동사는 1987년 11월에 설립되었으며, 2004년 8월 코스닥 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고, 총 16개사를 계열회사로 가지고 있음. 동사 및 동사의 종속회사는 세탁기, 에어컨, 냉장고, 자동차, 전기자동차 2차전지 부품 제조업, 통합물류사업, 유아용 전동차, 전동휠, 전기자전거 제조·판매 및 증권정보서비스제공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제품 및 상품의 판매 방법은 내수판매, 수출판매, 해외현지 판매가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6% 증가, 영업이익은 8.6% 감소, 당기순이익은 30.9%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여 매출원가가 상승했지만 판관비 감소로 영업이익이 소폭 증가함. 동사는 BA사업부문의 설비 및 공장의 투자를 통하여 생산 Capa 확대 및 신규 ITEM 수주, 신규 고객사 발굴 등 해외시장개척 활동 등을 중점적으로 전개해 나갈 예정임.

 

 

 

11. 로봇 관련주 - 싸이맥스(160980)

반도체장비 사업과 환경설비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기술 경쟁력 확보와 시장 확대로 매출 성장이 기대됨. 제품의 선행개발, 제조공정 개선 및 품질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개발등을 통해 차세대 장비 개발 및 원가절감을 지속적으로 진행. 장비에 적용되는 주요 부품들은 전문화된 업체에서 조달중. 차세대 장비 개발 완료 및 출하를 시작한 가운데,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장비 공급 시행.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5% 감소, 영업이익은 34.7% 감소, 당기순이익은 68.7% 감소. 미국 수출 매출은 전년대비 크게 증가하였지만 나머지 지역의 매출이 감소함에 따라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급감. 신규 시설 투자로 인한 Capa 확대 예정. 본업 장비인 EFEM뿐만 아니라 신규 사업인 로봇설비 포함한 신규 시설 투자 예정에 따른 Capa 확대가 예상됨.

 

 

 

12. 로봇 관련주 - 아진엑스텍(059120)

1997년 아진전자산업으로 설립, 2001년 아진엑스텍으로 상호를 변경함. 2013년 7월 코넥스 시장에 상장했으며, 2014년 7월 코스닥 시장으로 이전 상장함.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모션제어 모듈, 모션제어 시스템, 로봇제어기 제품을 자체 기술로 개발, 제조하는 범용 모션제어 부품 전문 기업임, 반도체 장비 및 스마트폰 장비와 같은 제조 및 검사 자동화 장비의 제어기 국산화 전문기업, 제조용 로봇 제어기 전문기업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4.3% 감소, 영업이익은 74% 감소, 당기순이익은 61.6% 감소. 2022년 하반기부터 반도체 장비산업 등 전방산업 전반의 실적이 악화되어 매출액을 포함한 경영성과가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음. 영업이익 감소 영향에 따라 당기순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줄었음. 향후 2차전지, OLED, PCB 등 신사업 진출로 활로를 모색한다는 계획임.

 

 

 

13. 로봇 관련주 - 알에스오토메이션(140670)

46016동사는 2009년 공장자동화장비의 개발, 생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주요제품은 MMC-E 로봇 모션제어기, ESS용 전력변환장치(PCS) 등이 있음. 로봇 모션 제어 및 에너지 제어 장치를 제품군으로 보유한 국내 유일의 기업임. 동사가 제공하는 모션제어기 및 드라이브 제품들은 4차 산업혁명 및 이의 근간이 되는 IoT, 로봇, 스마트 팩토리 등의 핵심 장치들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7% 감소, 영업이익은 31.6% 감소, 당기순이익은 65.1% 감소. 동사는 글로벌 원자재수급 불균형에 따른 매출 및 수익구조가 변동되었으나, 주력사업인 로봇모션의 매출은 상승하였음. 최근 미국, 유럽 등 수출 확대와 국내 대기업의 설비투자 확대 등 주요 고객과 맞춤형 솔루션 공동개발로 성장 가속화를 진행 중.

 

 

 

14. 로봇 관련주 - 에스비비테크(389500)

1993년 설립 초기 초경볼 국산화 개발을 시작으로 국내 최초 세라믹 볼 베어링 국산화를 시작 및 탈일본 핵심 소부장 제품인 로봇용 감속기를 순수 국내기술로 상품화(로보드라이브)에 적용함. 진공, 고온, 부식 등 특수 환경용 베어링을 자체 기술로 생산하여 높은 품질과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국내외 반도체, LCD 장비 및 공정에 공급하고 있음. 동사는 2022년 10월 17일 부로 코스닥 시장에 신규 상장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0.2% 증가, 영업손실은 17.5% 감소, 당기순손실은 87% 증가. 동사는 로봇 관련 산업 확대에 따라 정밀 구동 부품 전문 제조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각 환경에 맞는 디자인과 성능이 가능하도록 경박단소, 고정밀, 고토오크를 실현할 수 있는 구동축을 개발 중. 동사는 기존 정밀 베어링 기술을 바탕으로 정밀 감속기 개발 및 제조기술인 이중 핵심 기술을 확보함.

 

 

 

15. 로봇 관련주 - 에스피시스템스(317830)

동사는 1988년에 설립되어 로봇자동화 제조 시스템 구축, 일반 산업기계의 제조, 판매 및 부속기기 제조, 판매업 등을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음. 동사는 갠트리로봇을 포함한 로봇자동화시스템의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음. 디스플레이, 공작기계 산업 분야 등 다양한 산업의 제조현장에서 제품 또는 소재의 자동 이송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폭 넓게 사용되는 자동화시스템을 주축으로 하는 산업자동화 시스템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중.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는 ICT, ERP, PLM, MES 등 선진화된 솔루션을 도입하여 당사의 로봇과 다양한 형태로 융합되어 고객에 제공 될 수 있도록 선도적인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하고 있음. 스마트 팩토리의 공급 확대와 정부지원 강화는 향후 자동화 시스템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16. 로봇 관련주 - 에스피지(058610)

동사는 정밀제어용 모터 및 감속기 부품 개발, 생산 및 판매를 주요업으로 함. 고마진 전략에 따라 지역별 수출 비중을 차별화 할 계획으로 저마진 제품을 주로 판매하는 미주지역의 매출은 유지하는 한편, 고마진 제품을 주로 수출하는 일본과 유럽 쪽의 수출은 전략적으로 확대, 수익성 개선에 주력. 동사는 삼성전자, LG전자의 최첨단 PDP, LCD 라인 뿐만 아니라, 미국의 GE, Whirlpool에도 공급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8% 증가, 영업이익은 8.3% 증가, 당기순이익은 14.1% 감소. 동사는 지속적인 재료비 절감을 위해 생산지 이전, 중국산 자재 사용 등 계속적인 TASK활동과 설계 표준화 및 공정개선 활동 등을 전개하여 원가절감을 위해 노력중임. 동사의 생산증가는 일본제품에 의존하던 국내 시장에서의 수입대체 효과를 가져옴.

 

 

 

17. 로봇 관련주 - 우림피티에스(101170)

동사는 2000년 3월 '우림기계 주식회사'라는 사명으로 산업용감속기, 건설중장비용 감속기, 풍력발전기 부품등을 생산.판매할 목적으로 설립됨. 2009년 4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함. 동사가 영위하는 사업은 트랜스미션, 기어전동축, 감속기, 항공부품, 방위산업부품, 풍력발전설비부품 제조임, 신성장 동력을 위한 새로운 사업으로 로봇용 정밀감속기, 전기차량용 기어박스, 에너지분야 기어박스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8% 증가, 영업이익은 165.3% 증가, 당기순이익은 44.6% 증가. 장비 부문의 수출 증가와 제철설비. 산업용 기어박스 부문의 수익성 개선에 힘입어 매출 영업이익 모두 개선. 2020년 10월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프로젝트에 최종 선정됨. 본격적인 양산이 시작되면 회사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임.

 

 

 

18. 로봇 관련주 - 케이피에프(024880)

동사는 한국볼트 사명으로 1963년 10월 1일 설립되었으며, 1994년 12월 19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2006년에는 자동차부품 사업으로 확장하면서 사명을 케이피에프로 변경하였음. 화스너제품은 건설, 장비, 플랜트 산업 등 기간산업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필수제품이며 각 산업별로 특화된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 종속회사 5개를 포함한 연결 기업으로 화스너, 자동차용 단조부품 및 선박용 케이블 3개 사업부문으로 구성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6.8% 증가, 영업이익은 3093.1%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중국산 화스너에 대한 Anti-dumping 제재 발효에 따른 베트남 자회사(KPF VINA)의 수주량 증가와 수출 비중이 높은 사업 특성상 원달러 등 환율 상승이 수익 개선을 이끔 자회사 에스비비테크의 정밀 감속기와 같은 신성장 사업 육성을 통해 시장 영향력을 확대할 예정

 

 

 

19. 로봇 관련주 - 코닉오토메이션(391710)

동사는 제어SW 사업, 스마트팩토리 사업, IT인프라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반도체 설비 제어 SW인 EasyCluster 솔루션은 지난 25년간 전 세계 6,000 Copy 이상 설치되어 안정성 및 효율성을 인정받음. 실험실 자동화 시스템인 K-LAS 솔루션은 2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 품질 검사에 최적화 되어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이엠 등 국내 양극재 소재 회사들에 납품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0.3% 증가, 영업이익은 18.3%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전방산업인 반도체 산업 및 2차전지 산업의 성장에 따라 매출액은 증가하였으나 사업확장에 따른 인건비 증가와 원재료 비중이 높은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매출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함. 동사는 고객사별로 유지보수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하고 추가적인 솔루션 공급을 통해 매출 신장을 추진하고 있음.

 

 

 

20. 로봇 관련주 - 퍼스텍(010820)

동사는 국내에 단일 사업 부문(방위산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방위산업은 정부가 유일한 수요자라는 수요독점의 특성이 있음. 1975년 9월에 전신인 제일정밀공업가 설립되어 국가 방위사업체로 지정된 이후 T-50, 수리온, 단거리지대지, 지대공 유도무기, K-9 자주포, K-10 탄약운반차 등 체계사업에 참여함. 다양한 분야에서 발사통제장비, 구동장치, 냉각장치, 자동소화장치 등을 개발·생산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7.2% 증가, 영업이익은 28.2% 감소, 당기순이익은 53.7% 감소. 매출액 증가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등 모두 전년 대비 감소함. 방산사업은 장기 전망에 따른 연구개발에 주력 중임. 위기관리 경영체제를 더욱 강화하고 각 사업별로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경영체질과 원가절감을 강력하게 혁신해 수익성을 개선해 나갈 방침임.

 

 

 

21. 로봇 관련주 - 포메탈(119500)

동사는 1969년 협진단철공업사로 설립되어 1985년 법인전환 이후 2009년 포메탈로 상호를 변경함. 국내외 주요 대기업 및 중견기업에 산업기계, 자동차, 방위산업, 로봇/풍력 및 농기계에 소요되는 주요 단조 품, 단조정밀기계부품을 매출처에 공급하고 있음. 단조산업은 전방산업의 경기변동에 큰 영향을 받으며 전반적인 국제, 국내경기 그리고 정부의 국방시책과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투자정책 및 환율변동에 영향을 받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2.1% 증가, 영업이익은 4.3% 감소, 당기순이익은 14.2% 감소. 매출액이 증가하였으나, 원재료 가격 증가에 의한 매출원가 상승 및 영업이익이 감소함. 동사는 오랜 기간 동안 거래를 해 온 2-3개의 회사로 부터 안정된 원자재 공급을 받고 있음. 동사의 강점은 단조공법을 사용하면서도 복잡하고 난해한 형상의 기계부품을 생산해 내는 기술력에 있다고 볼 수 있음.

 

 

 

22. 로봇 관련주 - 푸른기술(094940)

동사는 1997년 7월 26일에 설립되었으며, 2007년 9월 14일에 주식을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메카트로닉스기술과 AI인식기술을 바탕으로 금융자동화, 역무자동화, 로봇 등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모듈사업에서 시스템사업으로 수직계열화를 통한 사업규모를 확장하고 있음. 현재 금융자동화의 매출액 비중이 약 56%로 가장 크며 한국전자금융 등에 보급형 CD 및 북미시장에 ATM 등을 공급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6% 증가, 영업이익은 1196.2% 증가, 당기순이익은 88.1% 감소. 원가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매출 확대와 판관비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늘어남. 역무자동화의 공격적 영업을 통하여 국내외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신규사업분야로 협동로봇 및 의료로봇의 개발을 통하여 사업의 영역을 확대하고 있음.

 

 

 

23. 로봇 관련주 - 피제이전자(006140)

동사는 전자제품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사업(EMS)을 영위하는 회사로 1969년 7월 설립되었으며 1993년 코스닥시장에 상장. 동사는 토탈 제조 시스템을 갖추고 고객 요구에 맞는 전자제품을 제조, 공급하는 전자제품생산(EMS) 전문업체임. GE 및 SIEMENS BRAND로 국내외에 판매되는 초음파진단기를 전문생산하여 한국지이초음파등에 기존의 모델 이외에 신규 모델의 Order를 수주받아 공급.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1.6% 증가, 영업이익은 10.9% 감소, 당기순이익은 15.4% 감소.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줄어듬. 기타 SMD가공 및 SET가공 부문에서 동사의 생산기술과 품질관리에 대한 시장의 호평으로 생산의뢰가 증가함. 동사는 우수한 부품 구매력을 통하여 저렴하게 생산한 제품을 고객들에게 제공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음.

 

 

 

24. 로봇 관련주 - 해성티피씨(059270)

동사는 설립 초기인 1991년(개인회사, 1997년 법인 전환)부터 현재까지 오직 감속기 한 분야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 감속기 및 Gear의 설계, 제조 전문기업임. 수직 및 수평 이동수단인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의 핵심부품인 승강기용 권상기(감속기)를 생산함. 확보하고 있는 특수감속기의 설계 및 제조기술을 제조로봇용 고정밀 Cycloid 감속기, 풍력발전기용 Cycloid 감속기 등 연관분야로 확대 적용하여 신규사업을 확장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8.6% 감소, 영업손실은 17.6% 증가, 당기순손실은 10.3% 감소. 지속적인 품질개선과 제조기술을 축적하여 기어드식 승강기용 감속기 분야에서 품질과 시장점유율 국내 1위의 지위를 유지함. 현재 당사는 국내, 외 고객사의 요구에 맞추어 기존 보유 제품에 대한 시리즈화(ex. 로봇용 감속기 모델 라인업 확대 등) 및 응용 제품 개발에 역점을 두고 사업을 추진할 계획.

 

 

 

25. 로봇 관련주 - 현대무벡스(319400)

동사는 현대그룹 계열사로 2011년 8월 1일 최초 설립되어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4호 주식회사와 2021년 3월 4일(합병등기일)에 합병을 완료함. 동사는 물류자동화, 승강장안전문(PSD), IT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스토리지, 셔틀, 반송, 분류 시스템 무인대차 등의 물류 프로세스 자동화 구현에 필요한 제품, 시공, 컨설팅, 유지보수 등의 물류자동화 토탈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3% 감소, 영업이익은 21.1% 감소, 당기순이익은 13.7% 증가. 아마존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AWS 기반의 클라우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기술인력 충원, 연구개발 강화 등을 통해 엔지니어링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음. 물류자동화 사업의 고객군 추가 확보 및 IT 사업과 물류자동화 사업의 시너지 강화를 통한 기술력 제고를 기반으로 수익 증대를 목표로 하고 있음.

 

 

 

26. 로봇 관련주 - 휴림로봇(090710)

동사는 산업용 로봇 및 지능형 로봇을 생산공급할 목적으로 1999년 11월 29일에 법인전환 형태로 설립됨. 또한, 2006년 12월 5일, 로봇업체로는 최초로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지식기반사회로의 발전에 따라 로봇의 패러다임은 노동대체 수단으로서의 '전통적 로봇'에서 인간 친화적인 '지능형로봇'으로 변화되고 있음. 동사는 산업용로봇 뿐만 아니라 지능형로봇을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사업의 분야를 확대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3.1% 증가, 영업손실은 151.1% 증가, 당기순손실은 57.4% 감소. 신규 지분취득으로 인한 연결범위가 변동됨에 따라 전년 대비 매출이 크게 늘어남. 단 원재료 가격 상승 등 원가율 악화와 판관비, 인건비 등 비용 증가에 따라 적자폭 확대. 동사는 스마트한 퍼스널 로봇 '테미'를 론칭해 서비스 로봇 시장에 본격 진출함.

 

 

 

로봇 관련 이슈

1. 인공지능과 로봇의 융합: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로봇은 보다 스마트하고 자율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과 로봇의 융합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윤리, 규제, 안전 등의 이슈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2. 로봇과 일자리: 자동화와 로봇화가 진행됨에 따라 일부 직업들은 로봇에 의해 대체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자리의 변화와 재배치가 필요한 이슈가 있습니다. 로봇과 인간의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3. 로봇의 안전과 규제: 로봇이 인간과 동일한 환경에서 작업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할 때 안전성과 규제 문제가 중요합니다. 로봇의 작동 안전성, 사고 예방, 표준화된 규제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4. 로봇과 사회적 영향: 로봇이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면서 사회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봇에 대한 사회적 수용, 경제적 영향, 교육 및 복지 분야에서의 활용 등이 관련된 이슈입니다.

5. 개인정보 보호: 로봇은 우리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이슈가 중요하게 다뤄져야 합니다. 로봇이 수집한 개인정보의 처리, 보관, 공유 등에 대한 규제와 보호가 필요합니다.

6. 로봇의 유용성과 활용: 로봇이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료, 농업, 제조,방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로봇 기술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로봇의 활용 방안과 잠재적인 이점, 그리고 이를 통한 혁신과 경제 발전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