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와 차트

반응형

폐배터리 관련주 목차

     

 

 

 

1. 폐배터리 관련주 - LG에너지솔루션(373220)

동사는 EV, ESS, IT기기, LEV 등에 적용되는 전지 관련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EV용 배터리의 경우 경쟁사 대비 앞선 개발과 공급 및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Global 자동차OEM 대부분을 고객으로 확보하였음. 배터리 Recycle/Reuse 사업과, 배터리 및 차량 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해내는 BaaS 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3.4% 증가, 영업이익은 57.9% 증가, 당기순이익은 3.2% 감소. 신규 전기차 수요 증가와 EV용 원통형 수요 확대 및 원가 상승분의 판가 인상 반영을 통해 매출 및 영업이익 증가 폭 확대. 2022년 신·증설 투자 및 품질 강화 투자에 총 6.3조원을 사용하였음. 향후에도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경영 환경 및 시장 변화에 맞춰 적정한 투자를 집행해 나갈 예정임.

 

 

 

2. 폐배터리 관련주 - NPC(004250)

동사와 연결회사는 플라스틱 사출 제조 판매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배적 단일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금형부문도 플라스틱 사출공구에 포함되어 있으며, 컨테이너, 파렛트, 체어&데스크, 환경제품, 시트류제품, 컨테이너 등이 있음. R/T사업부는 전용컵을 삽입하면 컵의 하부로부터 맥주가 자동으로 채워지는 트렌디 제품인 Reverse tap을 개발중이며, IOT기술을 접목하여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중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8% 증가, 영업이익은 16.9% 감소, 당기순이익은 7.4% 증가. 매출은 주력제품의 내수 및 수출 동반 확대로 증가세를 나타냈으나, 원자재 가격의 급등 및 판관비 증가로 인해 영업수익성은 하락하는데 그침. 플라스틱 산업의 긍정적 전망과 함께 꾸준한 매출활동 및 대체품 개발 등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함.

 

 

 

3. 폐배터리 관련주 - POSCO홀딩스(005490)

동사는 자동차, 조선, 가전 등 산업에 원자재를 공급하는 철강사업(포스코)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무역/건설/에너지를 포함한 친환경인프라사업(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건설, 포스코에너지 등)도 운영. 제선, 제강 및 압연재의 생산과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업체 그룹 전반의 성장 전략을 수립하고 미래 사업 테마를 발굴하며 M&A 등 신사업을 추진하는 미래사업 포트폴리오 개발자 역할을 수행.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 증가, 영업이익은 47.5% 감소, 당기순이익은 52.5% 감소. 동사의 철강 사업은 작년 침수 사고가 난 포스코 포항공장의 복구 비용과 판매량 감소 등으로 작년 4분기 실적 부진을 나타냈지만, 올해 1분기부터는 정상화를 거치며 실적 회복기대됨. 전기차용 이차전지의 시장규모 확대를 예상해 설비 확충 등 성장 사업 발굴을 위한 투자에 집중하고 있어 매출 성장이 기대됨.

 

 

 

4. 폐배터리 관련주 - SK이노베이션(096770)

SK가 2007년 투자사업부문을 영위할 SK와 석유, 화학 및 윤활유 제품의 생산 판매 등을 영위할 분할신설법인인 동사를 인적 분할함으로써 설립됨. 2009년 10월 윤활유 사업부문을, 2011년 1월 석유 및 화학 사업부문을 각각 물적 분할하였음. 사명을 SK에너지에서 SK이노베이션으로 변경하였으며 2018년 9월 말에 회사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FCCL사업을 넥스플렉스에 매각 완료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6.6% 증가, 영업이익은 124.9% 증가, 당기순이익은 437.2% 증가. 중장기적인 공급 잉여가 예상되는 화학 원료 경쟁을 지양하고 2025년말 완공을 목표로 국내 최초의 Recycle Cluster 구축을 진행 중임. 배터리 사업은 Site 신증설 및 신규공장가동을 통해 생산능력이 2배 이상 증가했고, 매출액 7조 6,177억원이라는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함.

 

 

 

5. 폐배터리 관련주 - 디에이테크놀로지(196490)

2000년 5월에 설립되어 2차 전지 설비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차 전지 설비 중 Notching 설비 및 Folding 설비의 제조 및 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진행함. 국내 최초로 양산 적용에 성공하였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고속 Notching설비의 H/W 및 S/W 기술특허 및 요소기술을 보유하였음. 현재 신규사업으로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과 전고체 배터리 장비 개발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2% 증가, 영업손실은 39.4% 증가, 당기순손실은 60.1% 증가. 동사는 국내 배터리 제조사의 생산능력 확충에 따른 수주 증가와 해외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여 실적이 증가함. 반면, 원자재 가격 상승 및 외주비용 증가에 따른 제조원가율 상승과 해외 프로젝트 셋업비용 증가, 부실자산 정리에 따른 영업외비용이 발생하여 손식 폭이 확대됨.

 

 

 

6. 폐배터리 관련주 - 새빗켐(107600)

현재 폐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양극활물질을 정제ㆍ분리하여 전기차에 적용되는 리튬이차전지의 부원료로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가 영위하는 사업은 크게 폐전지 재활용 사업과 폐산 재활용 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음. 2022년 6월 국내 대형 배터리 소재회사 2개사가 리사이클 원료 공급을 위해 설립한 합작법인과 리사이클 원료 및 전구체복합액 공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4.1% 증가, 영업이익은 84.1% 증가, 당기순이익은 74.1% 증가. 전기자동차 시장의 빠른 성장으로 인하여 제품 수명이 만료된 폐배터리 제품 수량의 증가가 필연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폐배터리로부터 탄산리튬을 추출하는 공정을 신규로 개발 중임. 개발이 완료되어 국내 생산이 현실화되면 100% 수입해 양극재를 생산하던 국내2차전지 산업의 경쟁력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

 

 

 

7. 폐배터리 관련주 - 성일하이텍(365340)

동사는 2차전지 리사이클링 전문 업체로 코발트, 리튬 등의 핵심물질을 추출하여 재활용하는 사업을 영위함. 동사는 셀업체 및 글로벌 완성차 OEM업체 중심으로 안정적 수급망 및 거점을 구축 하였으며, 기존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나오는 스크랩뿐 아니라 사용 후 전기차, ESG배터리도 원재료로 확보함. 전처리 공정을 담당하는 리사이클링 파크와 제련 및 제품화를 진행하는 하이드로 센터를 통해 2차전지 리사이클링 관련 일괄 공정 보유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3.3% 증가, 영업이익은 186.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SK의 수산화리튬 회수기술과 동사의 NCM 회수 기술을 협력 하며, 국내에서 2025년 상업공장의 가동을 목표로 하고 향후 미국/유럽 등 해외공장 증설 추진. 배터리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유일한 습식 제련 전문기업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큰 폭의 실적 성장.

 

 

 

8. 폐배터리 관련주 - 아이에스동서(010780)

동사 및 종속회사는 콘크리트사업부문, 건설사업부문, 환경사업부문, 해운사업부문, 기타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주요 사업인 콘크리트사업부문은 PHC PILE, Ext PILE 외 건축자재를 생산/판매하며, 건설사업부문은 건축, 토목공사를 바탕으로 아파트 및 상가를 공급함. 또한 환경사업부문은 폐자원, 골재판매, 폐기물 처리용역 및 환경설비건설 등의 사업을 영위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1.7% 증가, 영업이익은 11% 증가, 당기순이익은 86.4% 증가. 사업부문 별로는 콘크리트사업부문 매출은 전체의 9.4%, 건설사업부문은 72.3%이며, 환경사업부문은 18.6%를 차지함. 2022년 주요 현장 준공과 폐기물 시장 확대로 매출액이 전년보다 증가함. 이에 따라 매출원가 증가에도 영업이익이 증가함. 동사는 건설폐기물과 폐배터리 처리 등 환경사업 역량을 강화 중.

 

 

 

9. 폐배터리 관련주 - 에코프로(086520)

동사는 1998년 설립 되어 미세먼지 저감 및 온실가스 감축 등의 환경사업과 이차전지용 하이니켈 양극재 제조 사업을 영위하였음. 2007년 7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함. 2016년 5월, 동사의 이차전지용 하이니켈 양극재 제조 사업을 물적분할 하여 자회사인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을 설립함. 2021년 5월, 당사의 환경사업을 인적분할하여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을 설립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4.9% 증가, 영업이익은 613.4% 증가, 당기순이익은 85% 감소. 전지재료사업과 환경사업 부문 모두 성장. 전지재료사업부문의 매출 성장은 EV용 양극재 판매 성장이 주요했으며, 환경사업부문은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부문의 수주를 크게 확대함. 매출액 및 영업이익 증가의 주요한 요인은 자회사로부터의 배당 수익 확대에 기인함.

 

 

 

10. 폐배터리 관련주 - 영화테크(265560)

동사는 전기자동차/이차전지 부품, 자동차 전장부품, 전력전자부품 등의 연구, 설계, 개발, 제조 및 판매하고 있음. 현재 동사의 포트폴리오는 안정성과 다양성을 갖추고 있음. 국내 자동차 5사는 물론 해외 글로벌 OEM사에 제품을 개발/공급하는 중임. 동사의 대표 제품 중 정션박스는 자동차 전체 부품 중 약 40%~50% 차지하는 전장부품에 전원 및 신호를 공급/분배하는 것으로, 현재 내연기관 차량, 전기차, 수소전기차량등에 적용.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 증가, 영업이익은 17.8% 감소, 당기순이익은 88.9% 증가. 매출액 증가하면서 매출원가 또한 증가. 인건비및복리후생비가 크게 증가하면서 영업이익 감소. 순이익은 증가함. 전기차, 이차전지 전력변환 관련 핵심 부품들을 자체개발, 국내외 자동차 및 전자OEM 사에 공급하는 것 외에도 모터컨트롤러 등 각종 전력전자부품 및 모듈 등을 개발 및 공급 추진 중.

 

 

 

11. 폐배터리 관련주 - 원익피앤이(217820)

동사는 1999년 11월 설립되었으며, 2차전지 조립공정장비 및 충방전장비(Formation, Cycler 등) 제조 및 납품하는 사업을 영위. 또한 자회사(피앤이시스템즈)를 통해 충전인프라 사업도 함께함. 국내 주요 납품처는 이차전지 제조 3사 등을 확보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해외 고객사와의 거래가 꾸준히 증가. 주력사업인 2차전지 사업 뿐 아니라 폐배터리 사업영역 등의 확장으로 제품 고도화 및 사업 다각화를 진행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3.7% 증가, 영업이익은 73.6% 감소, 당기순이익은 86.3% 감소. 사세 확장 및 투자증가로 인한 영업이익은 감소하였지만 적극적 영업활동에 따른 매출 증가세 유지 중. 이차전지 산업은 전기자동차, 스마트폰, 스마트 그리드, ESS 등의 수요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동사는 신형 IT전지 패키징 장비에 관한 연구 과제를 진행하는 등 제품 및 산업 동향에 대응 중.

 

 

 

12. 폐배터리 관련주 - 웰크론한텍(076080)

동사는 산업기계 제작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94년 1월 1일 개인회사로 설립되어 그 이듬해인 1995년 1월 12일 법인으로 전환함. 물, 환경, 에너지 관련 플랜트 및 종합건설을 주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발전업 및 신재생에너지 개발사업, 건축설계, 감리 및 CM 등을 영위하고 있음. 건설부문은 EPC 전문 건설 회사로 One Stop Service 체계를 수립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4%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12,800% 증가. 당기 매출액은 부문별로 플랜트부문 69,705백만원(21.3%), 건설부문 234,639백만원(71.8%), 에너지부문 21,501백만원(6.6%)으로 구성되어 있음. 전년도 신규수주확대로 당기 이월수주잔고가 증가, 건설/에너지부문의 매출액이 증가했고 플랜트부문 원가율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증가, 흑자전환하였음.

 

 

 

13. 폐배터리 관련주 - 이지트로닉스(377330)

동사의 주요 개발, 생산제품은 전력변환부품으로 친환경산업(전기차/수소차, 신재생에너지), 이동통신, 방산, 선박, 의료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됨. 활발하게 생산되는 제품군은 전기차 및 수소차용 인버터, 컨버터, OBC, 5G 통신용 정류기, 전력시스템 DC배전용 50kw DC/DC 컨버터, 방산 분야 인버터, 컨버터, OBC 등이 있음. 주요 고객사는 현대자동차 등.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1.8% 증가, 영업손실은 9816.7%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유동비율(당기 865.29%, 전기 165.55%)은 전기 대비 699.74%p 증가. 차입금의존도는 감소. 유동성 변동 주요 사유는 2022년 2월 코스탁시장 상장에 따른 유상증자로 인한 자금유입. 동사는 2016년 이후 연구개발비 지속적으로 투입해오고 있음. 2022년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는 19.11%.

 

 

 

14. 폐배터리 관련주 - 인선이엔티(060150)

동사는 건설폐기물의 수집ㆍ운반 및 중간처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7년 11월 13일에 설립되었으며, 2002년 6월 11일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동사는 2022년 12월 기준 5개의 종속회사를 두고 있으며, 모두 비상장 기업임. 파주비앤알, 영흥산업환경을 2021년 4분기 신규 연결함. 국내 유일 폐기물 일괄처리 기술 및 특허를 보유함을 바탕으로 자동차재활용 사업에 진출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 감소, 영업이익은 20.6% 감소, 당기순이익은 12.1% 감소. 주요 사업 부문인 건설폐기물 처리 사업이 세종지점, 인선기업, 영흥산업환경 등 비수도권 지역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매출이 감소. 매출 감소와 판관비, 인건비 증가에 따라 영업이익 감소. 2020년 10월 인수한 영흥산업환경의 소각로 증설공사가 완료됨에 따라 향후 관련 매출 증가와 수익성 제고 효과가 기대.

 

 

 

15. 폐배터리 관련주 - 케이피에스(256940)

동사는 디스플레이 패널업체를 대상으로 정밀장비 제작 및 제어, 비젼기술을 바탕으로 OLED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비를 개발,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주요 제품인 OELD 마스크 인장기는 증착장비와 함께 핵심 장비로 분류됨. OLED 디스플레이는 전공정과 후공정으로 구분됨. 각각 디스플레이 원판을 제조하고, 완제품에 적용될 디스플레이를 생산하는 과정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3% 증가, 영업손실은 30% 감소, 당기순손실은 25.7% 감소. 2022년초 수주 프로젝트의 납품으로 전년도 대비하여 큰폭으로 매출이 상승하였으나, 중국 코로나 봉쇄 장기화, 금리인상 여파 등으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의 지속으로 당사의 국내외 주요거래처의 투자가 지연되고 있음. 바이오사업부에서는 항암파이프라인을 확보하여 항체항암제 후보물질에 대한 전임상 위탁계약을 맺었음.

 

 

 

16. 폐배터리 관련주 - 코스모화학(005420)

동사는 1968년 2월에 설립되었으며, 이산화티타늄(아나타제, 루타일), 폐수처리제 등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음. 종속기업으로는 기능성필름, 2차전지용양극활물질 등을 생산 및 판매하는 코스모신소재와 유기 및 무기 화학공업 제품제조, 시스템 인터그레이션서비스업을 영위하는 코스모촉매 및 코스모에코켐이 있음. 국내 유일의 이산화티타늄 제조업체이며, 수입제품 외 국내 경쟁 생산업체는 없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0.1% 증가, 영업이익은 35.9% 증가, 당기순이익은 3.3% 증가. 신소재부문을 포함한 대부분의 사업부문에서 지난해에 이어 비교적 큰 폭의 매출 상승세를 기록하였으며, 외형 확대 및 비용 절감으로 수익성 또한 확연히 개선된 모습. 루타일형, 장섬유용 제품 및 상품판매 등 신제품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점 긍정적으로 평가.

 

 

 

17. 폐배터리 관련주 - 파워로직스(047310)

동사는 PCM(Protection Circuit Module), SM(Smart Module),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CM(Camera Module) 등을 생산 및 판매함. 보라전자(천진)유한공사, 보라전자과기(양주)유한공사, 엔코, 티엔에스 등 10개 회사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삼성SDI, 삼성전자, LG화학 등을 주요 거래처로 보유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1% 감소, 영업손실은 178% 증가, 당기순손실은 504.7% 증가. 핵심 완제품 시장인 스마트폰 수요감소는 국내외 경쟁기업과의 경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 기존 제품 Portfolio의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있음. 2022년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12억~12.4억대 수준으로 전년대비 11% 내외 감소함.

 

 

 

18. 폐배터리 관련주 - 하나기술(299030)

동사는 2003년 3월 설립되었으며, 2차전지 공정 장비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국내 2차전지 장비업체로는 유일하게 국내 이차전지 제조 3사인 삼성SDI, LG전자, SK이노베이션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 고객사로는 일본의 Murata, 태국의 GPSC 등을 확보하고 있음. 주력사업인 2차전지 장비 분야의 사업 고도화에 집중하는 한편 재생배터리 장비 사업과 디스플레이 가공 장비 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는 프랑스 ACC와 각형 2차전지 조립공정 설비 공급계약을 체결 등 해외시장 공급처 다각화를 꾸준히 추진해 유럽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확대할 나갈 예정으로 매출 성장이 기대됨. 2021년 내에 극판공정의 핵심장비를 추가 개발하여 국내 유일의 2차전지양산 Full-Line 장비 제작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임.

 

 

 

19. 폐배터리 관련주 - 현대차(005380)

동사는 1967년 12월에 설립되어 1974년 6월 28일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동사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완성차 제조업체로, 현대자동차그룹에 속하였으며, 현대자동차그룹에는 동사를 포함한 국내 53개 계열회사가 있음. 소형 SUV인 코나, 대형 SUV인 팰리세이드, 제네시스 G80 및 GV80 등을 출시하여 SUV 및 고급차 라인업을 강화 하였으며, 수소전기차 넥소를 출시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2% 증가, 영업이익은 47% 증가, 당기순이익은 49% 증가. 내수는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크게 증가한 상황은 아니나, 코로나19 기저효과로 해외시장의 경우 판매량이 증가한 상황.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성이 점차 제거되고 있으며, 우수한 품질과 상품성으로 바탕으로 실적 회복 및 브랜드 가치 상승하고 있는점 긍정적.

 

 

 

폐배터리 관련 이슈

폐배터리 관련 이슈는 주로 환경오염, 자원 회수 및 재활용, 안전 문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1. 환경오염: 폐배터리는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적절히 처리되지 않으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폐배터리의 내부 구성물 중 일부는 독성 물질이며, 폐기물 처리 시 이러한 물질이 지표토 또는 지하수로 누출될 수 있습니다.

2. 자원 회수 및 재활용: 폐배터리에는 유용한 금속과 다른 재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자원을 회수하고 재활용하는 것은 자원 절약과 환경 보호를 위해 중요합니다. 그러나 적절한 폐배터리 수거 및 처리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는 회수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3. 안전 문제: 일부 폐배터리는 충전 중에 과열되거나 폭발할 수 있는 안전 문제가 있습니다. 올바른 폐기 및 처리 절차를 따르지 않으면 폐배터리의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인명피해나 재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규제와 정책: 폐배터리 처리에 대한 규제와 정책은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시스템을 조정하고 지속 가능한 관행을 촉진하는 데 중요합니다. 국가 및 지역 단위의 규제와 정책이 폐배터리 처리에 관여하여 안전하고 환경 친화적인 접근 방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폐배터리 생명주기 관리는 자원 절약과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주 재무차트 > 기술(TECHN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관련주 TOP50  (0) 2023.06.09
로봇 관련주 TOP26  (0) 2023.06.09
NFT(대체불가토큰) 관련주 TOP27  (0) 2023.06.08
LED 관련주 TOP42  (0) 2023.06.07
CCTV&DVR 관련주 TOP9  (0) 2023.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