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2011년 부산은행, BNK투자증권, BNK신용정보, BNK캐피탈이 공동으로 주식의 포괄적 이전 방식에 의해 설립한 지방은행 최초의 금융지주회사임. 2015년 경남은행의 계열사 편입으로 부산/경남은행 두 은행 체제가 되었음. 2015년에 GS자산운용(BNK자산운용 사명 변경)을 자회사로 편입하여 은행, 증권, 자산운용, 여신전문, 저축은행업 등을 포괄하는 종합금융그룹이 됨. 2019년 11월 BNK벤처투자 자회사 편입됨.
BNK금융지주 실적
은행 및 캐피탈의 자산성장, NIM 상승 등의 영향으로 이자이익이 증가하였고, 희망퇴직 규모 감소와 투자증권의 성과급 감소 등의 영향으로 판매관리비는 줄어듦. 수수료부문은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른 PF관련수수료 감소, 금리상승 및 주가하락에 따른 유가증권 관련 이익 감소 등의 영향과 여수신 증가에 따른 출연료 및 예금보험료 등의 증가 영향으로 전년 대비 실적이 감소함. PF여신 등 부실우려 차주에 대한 충당금을 추가 적립함.
2. 은행 관련주 - DGB금융지주(139130)
DGB금융지주 개요
2011년 5월 대구은행, 대구신용정보, 카드넷을 공동으로 주식의 포괄적 이전 방식에 의해 설립된 DGB금융그룹의 지주회사임. 주요 사업은 은행업(대구은행), 증권업(하이투자증권), 생명보험업(DGB생명보험), 여신전문금융업(DGB캐피탈), 자산운용업(하이자산운용) 등이 있음. 2015년 1월 DGB생명보험의 지분을 98.9% 인수하였으며, 종합적인 자산관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8년 10월 하이투자증권을 자회사로 편입함.
DGB금융지주 실적
NIM개선으로 이자이익의 증가추세가 이어지며 은행과 캐피탈 부문의 실적은 증가하였으나. 주식시장과 자산시장의 침체가 이어지며 증권업 부문의 실적 부진로 인해 당기순이익이 감소함. 증권사의 브로커리지 및 IB/PF부문 수수료 감소, 주식/파생부문 운용수익 감소 등으로 비은행부문의 수수료이익 및 유가증권 관련 이익이 감소함.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전년 대비 0.39%p 증가한 0.95%, 연체율은 0.27%p 증가한 0.61%를 기록함.
3. 은행 관련주 - JB금융지주(175330)
JB금융지주 개요
2013년 전북은행의 주주로부터 주식이전 방법으로 설립된 금융지주회사로 자회사에 대하여 경영관리와 이에 부수하는 자금지원, 자금조달 등을 영위함. 전북은행, 광주은행, JB우리캐피탈, JB자산운용, JB인베스트먼트를 자회사로, 프놈펜상업은행, JB캐피탈 미얀마, JB증권 베트남 JB프놈펜자산운용 등을 손자회사로 둠. 2021년 전북은행 자회사로 캄보디아에 자산운용사 설립하였으며, 2022년 신기술금융사인 메가인베스트먼트 인수함.
JB금융지주 실적
기준금리 인상과 사업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전략의 영향으로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의 합산 NIM이 2.96%로 17bp 증가함에 따라 이자이익은 전년 대비 19.8% 늘었음. 21년 유가증권시장 호황으로 인한 기저효과 등으로 유가증권관련 손익이 344억원으로 44% 감소함에 따라 비이자이익은 34.6% 줄어듦. 기준금리 급등에 의한 연체율 증가 우려에 따라 선제적으로 보수적인 충당금을 반영한 결과 충당금전입액이 95.5% 증가함.
4. 은행 관련주 - KB금융(105560)
KB금융 개요
2008년 설립된 KB금융그룹의 지주회사로서 업계 선두권의 시장지위와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은행, 카드, 증권, 생명보험, 손해보험, 저축은행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함. 2022년 12월말 기준 업계 1위 점유율을 가진 KB국민은행과 더불어 13개의 자회사를 보유함. WM, CIB, 글로벌, 자본시장부문을 신성장 영역으로 집중 육성하고, 디지털금융 강화 전략으로 No.1 금융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 중임.
KB금융 실적
기준금리 인상과 포트폴리오 개선에 따른 NIM 상승으로 이자이익이 증가하였으나, 코로나19 지속, 정책지원 중단 등 불확실성 지속에 따른 보수적인 충당금적립으로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함. 비이자이익은 금리 인상으로 인한 자산시장 침체 등 비우호적인 시장 환경에 따른 자본시장부문, 증권 브로커리지 및 은행 신탁/IB 손익 감소 영향으로 전년대비 1조원 이상 감소함. 장기/자동차 손해율 개선으로 보험영업이익이 성장함.
5. 은행 관련주 - 기업은행(024110)
기업은행 개요
1961년 중소기업자에 대한 효율적인 신용제도를 확립함으로써 자주적인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중소기업대출 특화 전문은행임. 60년 넘게 축적된 중기금융 노하우와 정교한 신용평가시스템을 바탕으로 우량 기업 발굴 및 지원하며,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 중임. 연결대상 주요종속기업은 IBK자산운용, IBK투자증권, IBK캐피탈 등임. 전국과 해외에 601개의 지점과 30개의 출장소를 보유하고 있음.
기업은행 실적
견고한 대출자산 성장과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NIM 상승 등으로 안정적인 이익을 실현하였고, 특히, 경상 대손충당금 외에 추가 충당금을 적립하여 미래위험에 대비한 손실흡수 능력을 확보함.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전년말보다 8.2% 늘어난 220.7조원을 기록함(중소기업대출 점유율 23.0%).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5,289억원 증가한 1조 4,853억원을 기록하였고, 대손비용률은 전년대비 15bp 증가한 0.51%를 기록함.
6. 은행 관련주 - 신한지주(055550)
신한지주 개요
동사는 신한금융 계열사에 대한 지배/경영관리, 종속회사에 대한 자금지원 등을 주요 사업목적으로 하는 금융지주회사임. 주요 사업부문은 은행업, 신용카드업, 금융투자업, 생명보험업, 자산운용업, 여신전문업, 저축은행업 등이 있음. 신한은행 외에도 전반적으로 우수한 자회사 사업 지위를 토대로 균형 있는 사업포트폴리오 기반의 안정적인 이익창출력 유지 중임. 21년 1월 신한자산운용을 완전자회사로 편입함.
신한지주 실적
이자이익은 은행, 카드, 캐피탈 중심으로 기업 중심의 견고한 대출 성장 지속과 시장금리 상승기조에 힘입어 전년 대비 17.9% 증가함. 비이자 부문은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유가증권 관련 손익 감소와 자본시장 및 부동산 시장 악화에 따른 수수료이익이 감소하며 전년 대비 30.4% 감소함. 글로벌 부문은 적극적인 시장 변화에 대응함으로써 당기순이익 기준 전년 대비 43.0% 성장하였으며, 손익 비중이 전년대비 2.4%p 늘어남.
7. 은행 관련주 - 우리금융지주(316140)
우리금융지주 개요
동사는 2019년 1월 설립한 지주회사로 주요 종속회사들의 사업은 은행업, 신용카드업, 종합금융업 등임. 2019년 우리자산운용/ABL자산운용(우리글로벌)을 자회사로 편입함. 2021년 3월 우리금융저축은행 지분 100%를 취득하여 자회사로 편입, 8월 포괄적 주식교환 방식으로 우리금융캐피탈을 완전 자회사화하였음. 2023년 3월 다올인베스트먼트(현 우리벤처파트너스)의 지분 52%를 취득하여 자회사로 편입함.
우리금융지주 실적
이자이익은 기업대출 중심 대출 성장에 기반하여 꾸준한 개선세를 보였고, 비이자이익은 신탁, 리스 관련 자회사 실적 호조로 수수료이익이 전년대비 16.2% 증가함. 비은행 부문 손익 비중은 2022년 16%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2022년 우리금융F&I 설립에 이어, 금년 3월에는 벤처캐피탈을 인수함. 급격한 금리상승 및 대내외 경기둔화 우려에도 고정이하여신(NPL)비율 0.31%, 연체율 0.26%로 업계 최저 수준을 유지함.
8. 은행 관련주 - 제주은행(006220)
제주은행 개요
1969년 지역경제의 균형발전과 활성화라는 제주도민들의 여망 실현을 위해 설립되어, 지금까지 제주지역 경제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는 지방은행임. 대출 업무 외에 카드업무, 환업무, 방카슈랑스, 수익증권 판매, 유가증권 운용, 신탁 업무 등 광범위한 금융 업무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제주도내 23개 지점, 6개 출장소, 서울ㆍ부산 지역에 각각 1개 지점으로 총 31개의 영업망을 구축하고 있음.
제주은행 실적
2022년 당기순이익은 차세대ICT 상각에 따른 판관비 증가,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등에도 불구하고, 이자이익의 증가로 전년 대비 23.7% 증가함. 2022년말 기준 예수금(잔액)은 원화예수금 60,520억원, 양도성예금증서 783억원, 외화예수금 141억원 등 총 62,534억원의 수신고를 기록함. BIS기준 총자기자본비율은 16.42%이며,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27.81%(대손충당금 403억원, 고정이하여신 315억원)임.
9. 은행 관련주 - 카카오뱅크(323410)
카카오뱅크 개요
동사는 2017년 4월 '은행법'에 근거하여 은행업 본인가를 취득하였으며, 당해 7월부터 모바일 앱 기반의 사업을 영위함. 100% 모바일 기반의 혁신적인 UX, 유저 중심의 상품 및 혜택, IT 기술의 적극적인 활용 등의 강점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효용과 편의성을 개선시키면서 금융산업의 혁신을 주도하는 플랫폼으로 성장. 모바일 앱 기반의 디지털 플랫폼 사업자로서 금융업 뿐 아니라 비금융업 전반에 걸친 여러 파트너사들과 제휴.
카카오뱅크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50.8% 증가, 영업이익은 37.5% 증가, 당기순이익은 28.9% 증가. 대출증가 및 금리상승에 따른 이자수익이 증가함. 인건비와 대손비용 증가로 인해 영억이익 증가폭은 축소됨. 2022년 12월말 기준 고객수는 2042만명으로 증가했고, MAU도 1,644만으로 시장 리드 중임. 플랫폼 비즈니스는 정체하였으나, 지속적인 수익원 다각화 노력 중임.
10. 은행 관련주 - 하나금융지주(086790)
하나금융지주 개요
2005년 설립된 하나금융그룹 지주회사로서 자회사 지배 및 경영관리, 자금공여 등의 업무를 수행함. 하나금융그룹은 지주사인 동사를 중심으로 하나은행, 하나증권, 하나카드, 하나캐피탈, 하나생명, 하나손해보험을 비롯한 14개의 자회사와 전세계 25개국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음. 그룹통합멤버십인 '하나멤버스'를 금융권 최초로 개발했으며, 모바일 금융 앱 '하나원큐'는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한번의 로그인만으로 가능하게 함.
하나금융지주 실적
금융시장 변동성 증가에 따른 수수료 이익과 매매평가익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자산 성장과 우호적인 금리 환경을 바탕으로 한 일반영업이익의 큰 폭 상승함. 그룹 전체 충당금 전입액은 선제적 충당금과 부동산 PF 및 글로벌 부문 부실위험에 따른 추가 적립 등으로 전년대비 6,820억원 증가한 1조 2,147억원을 기록함. 그룹의 자산건전성 지표는 전년 대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34%임.
은행 관련 이슈
1. 경제 성장: 경제가 성장하고 기업들이 활발한 경기를 보일 때, 은행은 대출 수요가 증가하고 이자 수입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경제 성장은 고용 증가와 소비 증가를 동반할 수 있어 은행의 예금 수입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이자율 상승: 이자율 상승은 은행에게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 은행은 대출 이자율을 상승시키거나 예금 이자율을 낮출 수 있어 이자 수입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3. 금융 시장 안정성: 금융 시장이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상태일 때, 은행은 안정적으로 운영되며 고객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안정성은 대출 수요를 촉진하고 예금 유치를 도울 수 있습니다.
4. 규제와 정부 정책: 정부의 금융 규제와 정책이 은행에 유리한 영향을 미칠 때, 은행은 성장과 수익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융 규제 완화, 신규 사업 지원, 금융 혁신 등은 은행의 활동을 촉진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5. 금융 기술 혁신: 디지털 금융 기술의 발전과 혁신은 은행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뱅킹, 핀테크 서비스,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도입하여 은행은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들에게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6. 수출 및 국제 거래 활발화: 국제 거래의 증가와 수출 증가는 은행에 수익을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 국제 거래를 지원하고 수출 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을 제공하는 은행은 성장과 발전을 이룰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