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와 차트

반응형

음원,음반 관련주 목차

     

 

 

 

1. 음원,음반 관련주 - CJ ENM(035760)

CJ ENM 개요

동사는 1994년 12월 종합유선방송사업과 홈쇼핑 프로그램의 제작공급 및 도소매업을 목적으로 실립되어 1999년 1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로서 현재 tvN, Mnet, OCN, Olive, XtvN, Tooniverse 등의 채널을 운영하고 있음. 주요 종속회사로 스튜디오드래곤이 드라마 콘텐츠 제작 등을 영위 중임. 커머스 사업은 Live TV와 T커머스, CJ몰(CJmall)을 운영함.

 

 

CJ ENM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9% 증가, 영업이익은 53.7%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미국 제작사인 FIFTH SEASON의 연결 대상 편입, 티빙 오리지널 콘텐츠 확대 등 영향으로 비용이 증가해, 매출상승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은 감소함. 영업수익성 악화와 더불어 금융원가, 지분법손실, 무형자산손상차손 등 증가 영향으로 지배주주 소유주지분 순손실 1,201억원이 발생함.

 

 

 

2. 음원,음반 관련주 - JYP Ent.(035900)

JYP Ent. 개요

동사는 1996년 4월 25일 설립되어 2001년 8월 30일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소속 연예인 가수 및 배우의 엔터테인먼트 활동과 음반, 음원의 제작 및 판매, MD 등 부가사업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음. 동사는 급변하는 음악 산업 트렌드에 유기적 대응과 아티스트의 효율적 운영 관리를 위해 기존 기능 중심의 수직적 조직 구조를 아티스트 단위의 수평적 조직 구조로 개편하면서 최적화된 레이블 시스템을 구축함.

 

 

JYP Ent.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8.4% 증가, 영업이익은 66.9% 증가, 당기순이익은 0% 증가. 동사 소속 아티스트 2PM, 박진영, TWICE, Stray Kids, ITZY, Xdinary Heroes,NMIXX 등이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매출증가에 기여했음. 동사는 2023년도에도 새로운 아티스트 데뷔를 통해 아티스트 라인업을 공고히 할 계획임.

 

 

 

3. 음원,음반 관련주 - NHN벅스(104200)

NHN벅스 개요

동사는 온라인 음원서비스 및 음원유통을 목적으로 2002년 6월에 설립되었으며, 2010년 4월 인터넷 사업을 영위하는 네오위즈인터넷을 흡수합병함. 음악포털 `벅스`를 통해 디지털 음원서비스(B2C) 및 음원유통(B2B)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음악방송 `세이캐스트`를 운영. 2018년 1월에 국내 음원 서비스 업체 중 처음으로 ‘AAC(Advanced Audio Coding) 256kbps 이상’의 음질 서비스를 도입.

 

 

NHN벅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4% 증가, 영업이익은 62.7%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자체 제작 OST와 프로젝트 앨범 제작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음원 IP를 확보하고자 함. 플랫폼 내에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VOD 서비스를 활용한 공연 사업도 추진할 예정. 스마트TV 및 신규 플랫폼에 전용 어플리케이션 출시 등 멀티플랫폼 전략을 강화. 이는 가입자 증대와 고객 로열티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

 

 

 

4. 음원,음반 관련주 - YG PLUS(037270)

YG PLUS 개요

동사는 음반 및 음원 유통과 음악서비스, MD제조 및 유통, 광고대행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1996년 11월 설립됨. YG엔터테인먼트, 하이브 등 소속 아티스트의 음반 및 음원 유통사업과 음악 플랫폼 운영대행사업, 아티스트 MD/캐릭터 제작 및 판매사업, 광고대행사업 등을 전개하고 있음. 또 종속회사로는 YG인베스트먼트(투자), 그린웍스(골프), 코드코스메인터내셔널이 있음.

 

 

YG PLUS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6% 증가, 영업이익은 2047.3% 증가, 당기순이익은 46.9% 감소. 지난 2020년부터 실적이 부진한 종속회사들을 정리하면서, 주력사업인 음악유통, 음악데이터 시스템, MD 사업의 지속적인 고도화를 통해 수익기반을 안정화 했음. 음악 인프라 시스템 구축을 통한 음악유통 밸류체인 강화, 투자 및 파트너십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5. 음원,음반 관련주 - 다날(064260)

다날 개요

동사는 소프트웨어 개발, 수출 및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7년 7월 설립되어 2004년 7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휴대폰 결제 서비스를 주 사업으로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결제 및 인증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온/오프라인 휴대폰 결제를 비롯하여, 신용카드, 바코드 결제 등의 커머스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연결종속회사들의 사업부문은 디지털콘텐츠부문, 프랜차이즈부문, 렌탈서비스부문으로 구별됨.

 

 

다날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차세대 결제 플랫폼 구축사업 투자 및 계열사 연구개발, 마케팅등 비용 상승으로 영업이익은 -28억원, 보유 금융자산 및 무형자산 평가손실로 당기 순이익은 -338억원을 기록함. 당사는 온라인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으로도 사업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향후 시장 확장과 이용률 확대를 기대하고 있음.

 

 

 

6. 음원,음반 관련주 - 드림어스컴퍼니(060570)

드림어스컴퍼니 개요

동사는 1999년 1월 20일 설립되었으며 2003년 12월 19일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온라인 음악 서비스, 음반 및 디지털 콘텐츠 유통, 아티스트 MD, 공연 사업, 고음질 오디오 플레이어 및 인공지능 스피커 제조/판매 등을 영위하고 있음. 2018년 12월 서비스를 시작한 FLO는 개인 맞춤형 음악 추천 서비스와 UX를 강점으로 가지며, 출시 1년 만에 국내 Top-Tier 음원 플랫폼으로 발돋움함.

 

 

드림어스컴퍼니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4%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텐츠 비즈니스 성장으로 음원, 음반 유통 매출액 상승, MD관련 매출액이 늘어나면서 외형 성장에 성공. 단 원가율 악화와 판관비, 인건비 등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 적자전환. 동사 음악 플랫폼 플로(FLO)가 오디오 오픈 플랫폼으로 발전함. 플로의 기능을 응용해 오디오 큐레이션 서비스도 제공하기 시작

 

 

 

7. 음원,음반 관련주 - 알비더블유(361570)

알비더블유 개요

동사는 2010년 3월 5일에 방송제작, 음반제작, 연예기획 및 매니지먼트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매니지먼트, 음원/음반/영상/저작관리, 제작 대행(OEM 등), 공연, 상품 판매 등의 사업부문으로 운영되고 있음. 2015년 6월 29일 알비더블유로 사명을 변경함. 2021년 3월 31일 WM엔터테인먼트의 지분 70%를 인수함. 2021년 11월 22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함.

 

 

알비더블유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8% 증가, 영업이익은 70.6% 감소, 당기순이익은 94.6% 감소. K-POP 한류 콘텐츠 제작 전문회사로서, 주로 K-POP 아티스트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기반으로 파생되는 여러 분야를 개발하여 서비스해 나가고 있음.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상승하였지만 판관비 및 원가 비용의 상승으로 영입이익 크게 감소하였음.

 

 

 

8. 음원,음반 관련주 - 에스엠(041510)

에스엠 개요

글로벌 한류 및 K-Pop을 선도하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그룹으로, Culture Technology를 창안하고 활용하여 SM Culture Universe를 만들어가고 있음. 소속 아티스트는 강타, 보아,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샤이니, EXO, 레드벨벳, NCT 127, NCT DREAM, 슈퍼엠, WayV, 에스파 등이 있음. 동사는 현재 카카오가 인수를 준비하고 있음.

 

 

에스엠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3% 증가, 영업이익은 34.8% 증가, 당기순이익은 40.1% 감소. 하반기에만 약 70회의 콘서트를 진행하였으며 콘서트 사업부문 매출은 전년대비 약 12배 증가하며 외형 성장을 견인하였음. 오프라인 콘서트 재개에 따라 응원봉을 포함한 MD 매출이 호조를 보이며 MD/라이센싱 사업부문 매출도 크게 증가하였음.

 

 

 

9. 음원,음반 관련주 - 에프엔씨엔터(173940)

에프엔씨엔터 개요

2006년 피쉬엔케익뮤직으로 설립된 동사는 엔터테인먼트, 인쇄, 미디어 콘텐츠 제작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함. 에프엔씨스토리, 에프엔씨인베스트먼트 등 8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있음. 전속 계약을 맺은 아티스트는 FT아일랜드, AOA, 이동건, 정진영, 이국주, 노홍철, 김용만, SF9 등 73명임. 주택복권을 시작으로 추첨식복권을 인쇄하고 있으며, 영화티켓, 승차권, 스포츠티켓, 선거투표용지와 주세 납세증지를 납품하고 있음.

 

 

에프엔씨엔터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3% 감소, 영업손실은 214.5% 증가, 당기순손실은 89.4% 증가. 국내에서 진행하는 여러 영화 제작 환경에 관심을 두며 파트너십을 만들어가고 있는 중이며 출자자로서의 투자 역할 뿐 아니라 제작에 참여하며 한국영화 발전에 도움되고자 함. 동사의 인쇄 사업은 국조폐공사 상품권 협력업체로써 최신 장비도입과 고품질의 상품권제작으로 이 분야에서 탁월한 역량을 발휘하고 있음.

 

 

 

10. 음원,음반 관련주 -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와이지엔터테인먼트 개요

국내 및 일본과 중국 등 전 세계에서 매출이 발생하는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블랙핑크, 아이콘, 악동뮤지션, 트레저 등의 인기 아티스트를 보유. 동사는 전속 아티스트 매니지먼트를 이용한 용역사업 및 로얄티 사업은 아티스트의 영향력 및 스타성에 기반해 수익을 창출함. 매출 구성은 상품, 기타제품 40.09% 음악서비스매출 40.09%,광고 모델 17.22%, 기타수수료 10.37%, 출연료 매출 4.57% 등으로 구성되어있음.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6% 증가, 영업이익은 68.3% 증가, 당기순이익은 406% 증가. 동사의 기존 인기 아티스트(블랙핑크, GD 등) 부터 신인 그룹(트레져, 베이비 몬스터 등 )까지 소속 아티스트들의 왕성한 활동이 예정돼 있기 때문에 매출 성장이 기대됨. 기업 고객과의 광고 및 행사 대행 계약, 성장 가능성 있는 운동선수, 모델과의 매니지먼트 계약 확대를 위해 노력 중임.

 

 

 

11. 음원,음반 관련주 - 지니뮤직(043610)

지니뮤직 개요

'지니' 플랫폼을 통한 온라인 음악 서비스 및 유통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1991년 2월 7일에 설립돼, 2000년 7월 18일에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동사는 다양한 국내외 고음질 디지털 앨범 스튜디오 원음급 초고음질 프리미엄 FLAC 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AI 뮤직컬러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함. 동사는 주주사인 CJ ENM으로부터 확보한 다양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자체 플랫폼 운영을 통해 디지털 음악 서비스를 제공함.

 

 

지니뮤직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5% 증가, 영업이익은 31.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다양한 성장 전략을 통해 사업 경쟁력 확보를 기반으로 연결 재무제표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라는 경영성과를 기록함. 효율적인 광고비 집행 등 고정비 절감 노력으로 당해 사업연도 흑자전환에 성공하였으며, 연결 영업이익율 및 연결 당기순이익율은 각각 4.83%, 6.53%를 나타냄.

 

 

 

12. 음원,음반 관련주 - 카카오(035720)

카카오 개요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메신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커머스, 모빌리티, 페이, 게임, 뮤직, 콘텐츠 등 다양한 영역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음. 신규 사업에 지속 투자하고 있음. 카카오엔터프라이즈를 통해 B2B 행보를 본격화할 계획이며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1조원 이상의 자금을 투자 유치함. 2022년 4월에는 디지털헬스케어 사업 본격화를 위해 카카오헬스케어를 출범함.

 

 

카카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8% 증가, 영업이익은 2.5% 감소, 당기순이익은 2.8% 감소. 매출 늘었지만 영업비용이 큰 폭으로 늘어 수익성은 전년 대비 악화함.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전년 대비 반토막 수준. 비욘드 코리아 앞세워 해외 매출 규모를 키워가겠다는 방침. 카카오는 2021년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이 10% 수준이었는데, 이를 2025년까지 30%로 확대할 계획.

 

 

 

13. 음원,음반 관련주 - 판타지오(032800)

판타지오 개요

동사는 1991년 1월 8일에 ETRI 연구원 창업지원제도 1호로 설립되었으며 1997년 6월 26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배우 매니지먼트, 영화·드라마·음반제작 등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영위함. 동사의 주력 매출인 매니지먼트 사업은 광고/영화/드라마/방송 등의 대중 매체에 소속 아티스트들이 개별 출연을 함으로서, 그에 따른 광고 영업으로 매출을 창출하고 있음.

 

 

판타지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이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함. 육성 시스템을 기반으로 끊임없이 새로운 배우 및 가수를 발굴하고 배양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의 지속가능성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다양한 라인업을 통한 수익성을 확보. 배우 매니지먼트 업계내에서 유일하게 R&D 시스템을 운영 중이며, 배우와 가수 영역에 걸친 종합엔터테인먼트 기업을 지향함.

 

 

 

14. 음원,음반 관련주 - 하이브(352820)

하이브 개요

2005년 2월 1일 설립되었으며 2020년 10월 15일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되어 거래되고 있음. 레이블(Label) 영역, 솔루션(Solution) 영역, 플랫폼(Platform) 영역으로 나눠 음악 콘텐츠를 제작 및 서비스하고 있음. 동사는 매출을 앨범, 공연, 광고·출연료 및 매니지먼트, MD 및 라이선싱, 콘텐츠, 팬클럽 등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음.

 

 

하이브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1.4% 증가, 영업이익은 24.5% 증가, 당기순이익은 61.8% 감소. 소속 아티스트 앨범 매출의 증가 및 신규 레이블 인수 아티스트의 확대에 따라 앨범 매출이 전년 대비 증가하였고 2분기부터 아티스트들의 대규모 공연이 본격화됨에 따라 공연매출도 증가함. 새로운 아티스트 발굴과 육성을 통한 아티스트 라인을 공고히 하여 이를 바탕으로 앨범, 공연 등 매출 및 기타 성장 기대.

 

 

 

음원,음반 관련 이슈

1. 음원 스트리밍: 디지털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의 인기와 함께 음원 스트리밍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수익 모델과 저작권 관련 이슈 등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2. 저작권 문제: 음악 저작권은 음원의 작곡가, 작사가, 편곡가 등에게 속해 있으며, 이를 보호하기 위한 논의와 법적 분쟁이 이슈로 제기될 수 있습니다. 저작권 보호와 관련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시스템, 저작권 협회의 역할, 음악의 불법 복제와 유포 등이 이슈로 떠오를 수 있습니다.

3. 아티스트와 음악산업 관계: 아티스트와 음악산업 간의 계약 조건, 수익 분배, 아티스트의 권리 등을 둘러싼 문제는 종종 이슈가 됩니다. 아티스트의 노동 조건 개선, 공정한 계약 조건, 소속사와의 갈등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4. 음악의 다양성과 소수 음악 장르의 대중화: 대중 음악 시장에서 주류로 인정받기 어려운 소수 음악 장르와 아티스트의 대중화에 대한 논의가 있습니다. 음악의 다양성과 대중성 간의 균형을 이끌어내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습니다.

5. 음악 스트리밍 수익과 아티스트 보상: 음악 스트리밍은 음악 소비 형태의 변화를 가져왔지만, 아티스트에게 공정한 보상을 제공하는 방안이 중요한 이슈입니다.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의 수익 모델과 아티스트에 대한 보상 정책 등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음원의 불법 다운로드와 해킹, 음악 플랫폼의 알고리즘과 추천 시스템, 음원의 품질과 음향 기술 등 다양한 음원 관련 이슈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