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와 연결회사 주요 사업은 ICT 부문, 위성방송서비스 부문, 기타 부문으로 분류됨. ICT 부문은 무선통신, 초고속인터넷, 기업회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 위성방송서비스 부문은 케이티스카이라이프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 기타 사업은 음원 스트리밍, 부동산 상품 기획 및 설계, 부동산 금융, 광고, 미디어 및 콘텐츠 제작과 기획, 투자, 유통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함.
KT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 증가, 영업이익은 1.1% 증가, 당기순이익은 7% 감소.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음. KT는 2020년 디지털 플랫폼 기업(DIGICO)으로 변화를 선언하고 미디어, 금융, B2B 등 다양한 사업에서 고객 중심의 플랫폼으로 혁신을 가속화 하고 있으며 미디어, 금융 등의 사업을 키우고 있음.
2. 통신 대표주 - LG유플러스(032640)
LG유플러스 개요
모바일과 스마트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슈머 사업과 기업인프라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LG헬로비전, 미디어로그 등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다양한 콘텐츠를 고객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디지털 정책과 5G 기술 및 기반의 발전으로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모빌리티 등 B2B 사업의 미래 성장동력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음. LG유플러스의 '22년 4분기 모바일 누적 가입자수는 1989만6000명으로 나타남.
LG유플러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4% 증가, 영업이익은 10.4% 증가, 당기순이익은 6.9% 감소.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소폭 늘었으나 당기순이익은 영업 외 수익 감소, 영업 외 비용 증가로 전년 대비 악화함. 22년 9월 플랫폼 사업으로 전환을 통해 '유플러스 3.0' 시대를 열겠다고 선포하고 데이터를 이용해 고객을 심층적으로 이해한 플랫폼을 만들어 디지털 혁신기업으로 전환 예정임.
3. 통신 대표주 - SK텔레콤(017670)
SK텔레콤 개요
동사의 사업은 이동전화, 무선데이터, 정보통신사업 등의 무선통신사업, 전화, 초고속인터넷, 데이터 및 통신망 임대서비스 등을 포함한 유선통신사업, 플랫폼 서비스, 인터넷포털 서비스 등의 기타사업으로 구분됨. 시장점유율은 무선통신사업(MVNO제외) 약 4%, 초고속인터넷부문은 약 29%, IPTV부문은 약 31% 수준임. 무선통신사업부문의 매출 비중이 약 75%, 유선통신 및 기타부문이 약 25%의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SK텔레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 증가, 영업이익은 16.2% 증가, 당기순이익은 62.1% 감소. 주력인 무선통신부문의 실적 확대와 함께 초고속 인터넷 등 유선부문의 선전으로 영업수익 확대됨. 원가율 또한 개선되며 영업수익성 또한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한 모습. 실적 개선을 위해 5G 통신망 구축을 주도하고 빅데이터, AI를 접목한 서비스를 선보이는 등 다방면으로 노력 중임.
통신 관련 이슈
1. 5G 네트워크 구축: 5G 기술의 상용화와 함께 통신사들은 5G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5G는 고속 데이터 전송과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하여 더 빠르고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구현합니다. 이는 대역폭 확장과 다양한 서비스의 지원을 가능하게 하여 통신사들에게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합니다.
2. 인터넷 of Things (IoT) 시장 성장: IoT 기기의 증가와 연결된 서비스의 확대로 인해 통신사들은 IoT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됩니다. IoT 기기와의 연결을 통해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3.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통신사들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업 및 개인에게 데이터 저장, 컴퓨팅, 분석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유연성과 확장성이 높으며, 기업들은 이를 통해 비용 절감과 효율성 향상을 이룰 수 있습니다.
4. 스마트 시티 개발: 통신사들은 스마트 시티의 구축을 위해 다양한 기술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시티는 인프라, 교통, 환경, 안전 등 다양한 영역에서 통신 기술의 활용이 필요하며, 통신사들은 이를 위한 서비스 및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5. 모바일 결제 서비스 확대: 통신사들은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여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결제를 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모바일 결제는 스마트폰을 통해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기능으로, 통신사들은 이를 통해 수수료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