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와 차트

반응형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관련주 목차

     

 

 

 

1.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관련주 - 네온테크(306620)

네온테크 개요

동사는 산업용 드론 사업의 입찰 경쟁 시 기술 점수 부문에서 10여곳의 경쟁업체들 대비 상위 1~3위 수준을 확보하고 있음. 동사는  2000년 10월 20일 설립되었으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MLCC용 절단 장비 제조 및 판매를 주 영업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음/ 동사는 유통 분야에서 주요 자동화설비 제조사와 20년째 대리점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오고 있어 타사에 비해 경쟁력을 가지고 있음.

 

 

네온테크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 증가, 영업손실은 29.7% 증가, 당기순손실은 79.8% 증가. 동사는 세계 최초로 플립칩-볼그리드어레이용 양면 세정 쏘&소터를 개발해 반도체 후공정 효율을 대폭 높여서 반도체 패키지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동사는 드론 핵심기술 특허 4건을 보유하고 있어 상용화가 시작되면 산업용 드론 시장 개화에 따른 수혜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

 

 

 

2.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관련주 - 대주전자재료(078600)

대주전자재료 개요

동사는 전자제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부품용 소재를 종합적으로 개발, 제조, 양산할 수 있는 전자재료 전문기업. 생산 제품들은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칩형 전자부품에 응용되는 칩부품용 전극재료와 LED용 형광체, AMOLED 재료, 태양전지용 전극재료, 이차전지 음극재료 등이 있음. LED용 형광체는 LG화학 형광체 사업부를 인수하여 세계 2위의 생산능력을 확보함.

 

 

대주전자재료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4% 감소, 영업이익은 32% 감소, 당기순이익은 95.6% 감소. 최근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는 에너지 밀도 향상을 통한 배터리 용량확대를 위해 양극의 High-Nickel 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실리콘 음극활물질의 음극 적용 확대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은 분말, 글라스 프릿, 유기 조성물을 독자적으로 개발 내재화하여 매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음.

 

 

 

3.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관련주 - 삼성전기(009150)

삼성전기 개요

동사는 수동소자(MLCC, 칩인덕터, 칩저항)를 생산하는 컴포넌트 사업부문, 카메라모듈/통신모듈을 생산하는 광학통신솔루션 사업부문, 반도체패키지 기판을 생산하는 패키지솔루션 사업부문으로 구성. 지역별로는 수원에 위치한 본사를 포함 국내에 총 3개의 생산기지(수원, 세종, 부산)와 해외 총 6개의 생산기지(중국, 필리핀, 베트남)를 보유함. 컴포넌트 부문 매출이 43.85%로 가장 큼.

 

 

삼성전기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 감소, 영업이익은 20.4% 감소, 당기순이익은 9.9% 증가. 인플레이션에 따른 금리인상 지속, 소비여력 축소 등 경기 불확실성 환경이 예상되나 AI, 서버, 전장 등 새로운 기술 변곡점을 통한 사업기회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와이파이 통신 모듈 사업 매각절차를 진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관련 자산 및 부채를 매각예정으로 분류하였고, 관련 손익을 중단영업손익으로 분류함.

 

 

 

4.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관련주 - 삼화콘덴서(001820)

삼화콘덴서 개요

동사는 종합콘덴서(축전기) 제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56년 설립되었으며 1976년 한국거래소에 상장됨.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서 관계사인 삼화전기가 생산중인 전해콘덴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콘덴서, 즉 전력용 콘덴서(FILM), 단층 세라믹 콘덴서, 적층형 콘덴서(MLCC)를 생산하고 있음. 내수면에서는 대형 IT기업과의 안정적인 거래관계 유지로 경쟁사에비해 상대적 우위에 있음.

 

 

삼화콘덴서 실적

2022년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5% 증가, 영업이익은 8% 감소, 당기순이익은 2.5% 증가하였음. 탄소 배출 규제에 따른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 전환으로 부품 수요 증가 예상되어 MLCC 자동차 사업부문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예상되었음. 중전기 분야에서 동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연되었던 신규 및 보수분 투자가 진행됨에 따라 수요 확대 전망함.

 

 

 

5.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관련주 - 아모텍(052710)

아모텍 개요

1994년 설립되어 1999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고, 2003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수동전자부품 및 BLDC모터 전문 제조기업임. 사업부문은 크게 세라믹 칩 부품, 안테나 부품, BLDC 모터 부문으로 나누어짐. 국내는 물론 중국, 대만, 미국, 유럽 등에서도 제품을 판매함. 당기말 현재 중국 및 베트남 현지 생산법인 등 총 5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중에서 청도아모텍(유)의 지분매각이 결정됨.

 

 

아모텍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6% 증가, 영업손실은 82% 감소, 당기순손실은 97.3% 증가. 신사업 아이템 및 자동차 전장용 제품 실적 증가에 따라 견조한 외형 성장을 보였고, 원가율 개선 및 판관비 통제 등으로 영업손실 규모가 대폭 축소됨. 해외 영업력을 강화하기 위해 미주, 일본, 중국, 대만, 유럽 등에 지사 또는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시장조사 및 고객 밀착 영업 등을 진행하고 있음.

 

 

 

6.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관련주 - 아바텍(149950)

아바텍 개요

동사는 2000년 설립되었으며,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음. 동사는 Glass Slimming & ITO코팅, 디스플레이필터, 강화 Glass 등의 디스플레이 관련 제품과, 냉장고등 백색가전으로 분류되는 가전제품의 표면처리 제품을 생산함. 2016년 이후 후공정인 Metal Coating 제품 생산을 진행하고 있으며, MLCC(적층세라믹콘덴서)는 2020년 하반기부터 양산을 개시함.

 

 

아바텍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9.4% 감소, 영업손실은 123.8%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코로나19(COVID-19)의 장기화 및 금리인상으로 선진국 중심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영업손실폭이 전년 대비 급증함. 2023년도부터는 MLCC 사업부에서 핵심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사업의 수익성 및 원가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여, 시장에서 자리 잡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7.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관련주 - 윈텍(320000)

윈텍 개요

동사는 머신비전(Machine Vision) 및 화상처리를 통한 전자 부품, 디스플레이,필름 검사 S/W 개발 및 장비를 제작함. 전자 부품 관련 검사장비 관련 CI(Chip Inspector) 사업, 디스플레이 관련 검사장비 사업부인 LI(LCD inspector) 사업, 필름 관련 검사장비인 FI 사업으로 분류됨. 머신비전 기술을 기반으로 한 AI 머신비전 개발, X-ray 검사장비 개발등 신사업 개발 중임.

 

 

윈텍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1.6% 증가, 영업이익은 211.8% 증가, 당기순이익은 164.3% 증가. 매출증가와 함께 원가율의 감소로(-4.2%) 영업이익율이 크게 개선 됨. 머신비전 검사장비 특성상, 한 라인에 서로다른 업체의 검사장비를 사용하기 어려워, 동사는 칩 외관검사기, 디스플레이 BONDER 라인검사기, 필름검사기는 각 고객사에 단독으로 공급중.

 

 

 

8.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관련주 - 코스모신소재(005070)

코스모신소재 개요

동사는 1967년 설립되어 기능성필름(이형필름, 점착필름, 인슐레이션필름)과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토너, 토너용 자성체 등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NCM 양극활물질 사업은 시장확대와 고객사의 요구에 맞춰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MLCC용 이형필름도 전방 산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라 3공장을 증설함. 삼성전기, 삼성SDI 등의 메이저브랜드들이 최대 매출처임.

 

 

코스모신소재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58.7% 증가, 영업이익은 49% 증가, 당기순이익은 53.9% 증가. 매출 대부분이 수출에서 발생하는 사업구조임. 주력제품인 양극활물질 및 기능성필름의 수출이 확대되면서 매출 상승세를 시현함. 수익성 또한 크게 상승한 모습. 복합기 기종 토너개발 및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관련 이슈

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는 다층 세라믹 콘덴서(커패시터)로, 전자 기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전기 부품입니다. MLCC는 다층으로 쌓인 세라믹 기판과 그 사이에 전기적으로 절연된 금속 전극을 갖고 있습니다.

MLCC는 작고 경량이며, 높은 용량을 가질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전자 기기의 회로 설계와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MLCC는 높은 주파수 응답 및 전압 안정성을 제공하여 전자 기기의 성능 향상에 기여합니다.

MLCC는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사용되며,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텔레비전, 자동차 및 산업용 장비 등의 전자 기기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MLCC는 전력 공급, 신호 필터링, 노이즈 제거, 보호 및 안정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1.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 최근에는 전자 기기의 수요 증가로 인해 MLCC의 공급 부족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스마트폰, 컴퓨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되는 MLCC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공급 부족으로 인한 가격 상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기술 발전과 용량 증가: MLCC 기술은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용량 증가와 함께 더 작고 고밀도로 설계된 MLCC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는 전자 제품의 더 작고 효율적인 설계에 기여하며, 새로운 기기 및 응용 분야의 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환경 및 회수 문제: MLCC는 일부 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폐기물 처리 및 환경 문제가 주목됩니다. 지속 가능한 제조 및 회수 방법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며, 환경 규제 및 관련 정책에 따른 대응이 필요합니다.

4. 국제 경쟁과 트렌드 변화: MLCC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하며, 중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의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시장 점유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에 따라 MLCC의 수요 및 사용 방식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주 재무차트 > 기술(TECHN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대장주 TOP6  (0) 2023.06.26
아이폰 관련주 TOP20  (1) 2023.06.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관련주 TOP24  (0) 2023.06.25
보안(정보) 관련주 TOP39  (2) 2023.06.21
보안(물리) 관련주 TOP16  (0) 2023.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