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TFT-LCD 및 OLED 등의 기술을 활용한 Display 관련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Display 단일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대부분의 제품을 해외로 판매하고 있으며, 플렉서블 OLED 스마트폰, Wearable용 원형 OLED 패널 등을 출시하고 있음. 파주와 구미에 TFT-LCD 및 OLED 공장과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주, 유럽 및 아시아에 해외 현지법인을 두고 있음.
LG디스플레이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거시경제 환경 악화로 주요 제품군의 수요 부진이 심화되었으며, 이에 수요 부진으로 인한 출하 감소와 LCD 판가 하락의 영향으로 TV 사업 부문의 매출은 전년 대비 26% 감소함. 동사의 신성장 동력인 Auto 사업은 전년 대비 20% 수준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였음.
2. IT 대장주 - LG전자(066570)
LG전자 개요
동사와 종속기업의 주요사업부문은 Home Appliance & Air 솔루션, Home Entertainment, Mobile Communications, Vehicle component 솔루션 등 6개로 구분. OLED TV는 초슬림, 월페이퍼, 롤러블 TV 등 지속적인 혁신 제품 출시로 프리미엄 시장을 지속 선도하고 있음. 디스플레이 오디오와 내비게이션 영역에서는 동사의 디스플레이 및 소프트웨어 역량을 활용하여 제품 차별화중.
LG전자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9% 증가, 영업이익은 12.5% 감소, 당기순이익은 16% 증가. 영업이익은 주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재료비 증가 및 글로벌 공급망 이슈에 따른 물류비 증가 등 영향으로 전기 대비 감소함. 지분법 이익 감소에 따른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감소 대비 전년도 휴대폰 사업의 중단영업 손실 반영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한 당기순이익이 증가함.
3. IT 대장주 - SK하이닉스(000660)
SK하이닉스 개요
1983년 현대전자로 설립, 2001년 하이닉스반도체를 거쳐 2012년 최대주주가 SK텔레콤으로 바뀌면서 SK하이닉스로 상호를 변경함. 국내와 중국에 4개의 생산기지와 연구개발법인, 미국, 중국, 홍콩, 대만 등에 판매법인을 운영 중임. 인텔의 NAND사업 인수는 1단계 절차를 완료함. 주력제품은 D램, 낸드플래쉬,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이며, 일부 Fab을 활용하여 시스템반도체인 CIS 사업과 Foundry 사업도 병행함.
SK하이닉스 실적
Solidigm 연결 편입 및 고용량 제품 판매 확대 등으로 2022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3.8% 증가함(매출비중은 DRAM과 NAND가 각각 63%와 32%). 메모리 수요 부진으로 인한 판가 하락 및 연말 재고평가손실 확대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5.1% 감소함. D램과 낸드플래시의 가격 약세가 올해 상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1분기까지는 재고자산 규모와 재고평가손실액이 감소하기 어려울 전망임.
4. IT 대장주 - 삼성SDI(006400)
삼성SDI 개요
동사는 소형전지, 중/대형전지 등의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생산/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소형전지는 원형, 파우치 등의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으며 자동차용 중형전지는 고효율, 고용량 리튬이온 2차전지를 개발하고 이를 자동차 완성업체에 공급하고 있음.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에너지 분야에서 활용되는 소재를 개발 및 판매함.
삼성SDI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5% 증가, 영업이익은 69.4% 증가, 당기순이익은 66.9% 증가. 중대형전지 사업은 자동차용 전지의 미주와 유럽향 매출 확대와 고부가 ESS 제품 매출 증가로 매출과 손익 모두 사업 착수 이후 최대의 성과를 올렸음. 전자재료 사업은 OLED와 반도체 등 고부가 제품 중심 신소재 판매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음.
5. IT 대장주 - 삼성에스디에스(018260)
삼성에스디에스 개요
동사는 1985년 5월 1일에 설립되었으며, 2014년 11월 14일 한국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한 공개법인임. 동사가 제공하는 IT서비스는 크게 비즈니스 솔루션과 클라우드&ITO 서비스로 구분됨. 삼성 관계사를 대상으로 MES(생산관리시스템), ERP(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등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는 등 삼성 관계사의 IT서비스 최적화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음.
삼성에스디에스 실적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4% 증가, 영업이익은 13.4% 증가, 당기순이익은 79.9% 증가.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라 매출원가와 판관비, 인건비 등 부담은 늘었지만 매출 증가 폭이 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함. 고금리 등 영향으로 이자비용 부담은 늘었지만 영업이익 증가와 함게 법인세 비용 부담 감소로 인해 당기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함.
6. IT 대장주 - 삼성전자(005930)
삼성전자 개요
한국 및 DX부문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총괄, SDC, Harman 등 232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임. 세트사업은 TV를 비롯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DX부문이 있음. 부품 사업에는 DRAM, NAND Flash,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DS 부문과 중소형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고 있는 SDC가 있음.
삼성전자 실적
프리미엄 제품판매 확대와 환율 상승으로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지만 반도체 판가 하락 및 세트사업 물류비 증가 등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함. 파운드리 부문은 호조를 보인 반면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LSI는 판매부진, 가격하락과 함께 재고평가손실도 실적에 악영향을 미침. MX사업부는 스마트폰 판매둔화와 중저가 수요약세로 인해 4분기 매출과 이익이 모두 감소함. 네트워크사업부는 국내 5G망 증설과 북미 등 해외사업 확대로 매출이 증가함.
IT 대표주 관련 이슈
1. 기술 혁신과 개발: 새로운 기술 및 솔루션의 개발과 혁신은 IT 산업을 성장시키는 주요한 요소입니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등의 기술 혁신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가능하게 하고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2. 디지털 변환: 기업과 조직이 디지털 변환을 추진하는 데에 있어 호재가 될 수 있습니다.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을 디지털 플랫폼으로 이전하고, 고객 경험을 개선하며,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등의 디지털 전환은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3. 인공지능과 자동화: 인공지능과 자동화 기술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며,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에 기여합니다.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 고객 서비스 개선, 예측 분석 등 인공지능과 자동화 기술을 활용한 혁신은 IT 산업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4. 사이버 보안: 사이버 공격과 데이터 침해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사이버 보안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사이버 보안 기술과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이버 보안 기업들은 성장할 수 있는 호재를 가질 수 있습니다.
5.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은 기업들이 IT 인프라를 유연하게 확장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들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및 관련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