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TFT-LCD 및 OLED 등의 기술을 활용한 Display 관련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Display 단일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대부분의 제품을 해외로 판매하고 있으며, 플렉서블 OLED 스마트폰, Wearable용 원형 OLED 패널 등을 출시하고 있음. 파주와 구미에 TFT-LCD 및 OLED 공장과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주, 유럽 및 아시아에 해외 현지법인을 두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거시경제 환경 악화로 주요 제품군의 수요 부진이 심화되었으며, 이에 수요 부진으로 인한 출하 감소와 LCD 판가 하락의 영향으로 TV 사업 부문의 매출은 전년 대비 26% 감소함. 동사의 신성장 동력인 Auto 사업은 전년 대비 20% 수준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였음.
동사와 연결회사는 광학솔루션, 기판소재, 전장부품 사업부문의 총 3개 사업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사업 포트폴리오 관리 강화 목적으로 전자부품 사업을 별도 사업담당체제로 운영함. 모바일, 디스플레이, 자동차, 사물인터넷 등의 사업 영역에서 관련소재/소자, 전기전자 부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음. 해외 판매망으로는 미국, 대만, 중국, 일본, 독일에 판매법인 및 지사가 설립되어 있으며 판매 및 고객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1% 증가, 영업이익은 0.6% 증가, 당기순이익은 10.3% 증가. 동사 미래의 핵심 사업인 전장부품 사업부문은 친환경 자동차용 부품, 자율주행 관련 부품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36% 성장한 연간 매출 1조 4,464억원을 달성함. 동사는 광학솔루션, 기판소재, 전장부품 사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수익성 개선으로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기 대비 31% 상승함.
동사는 석유화학 사업부문, 전지 사업부문, 첨단소재 사업부문, 생명과학 사업부문, 공통 및 기타부문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연결회사는 2020년 12월 1일 전지 사업부문을 단순·물적분할하여 (주)LG에너지솔루션 및 그 종속기업을 설립함. 동사는 양극재, 엔지니어링 소재, IT소재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부가 제품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전환을 추진 중에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8% 증가, 영업이익은 40.4% 감소, 당기순이익은 49.7% 감소. 석유화학 사업부문 40.8%, LG에너지솔루션 49.3%, 첨단소재 사업부문 6.6%, 생명과학 사업부문 1.6%, 공통 및 기타부문 1.6%로 매출구성.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 원가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경기 변동에 따른 사업 Risk를 최소화하고 사업의 Fundamental을 강화.
동사는 반도체 개발 및 제조,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 LG그룹에 소속되어 있음. Display Panel을 구동하는 핵심부품(System IC)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Display 단일 사업 부문으로 구성되어있음. 동사의 주력제품은 Driver-IC, T-CON, PMIC이며 Mobile향 P-OLED DDI, Touch Controller 등으로 제품 라인업 확대를 통해 매출성장 중에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6% 증가, 영업이익은 16% 감소, 당기순이익은 21.2% 감소. 동사의 종속회사를 포함한 연결 실체 기준으로 LED 제조, LED 판매, LED 연구개발로 크게 부문을 구분됨. Display 시스템 반도체 핵심 부품을 Total Solution으로 제공함은 물론 수입의존도가 높았던 제품들을 국산화하였음.
1983년 현대전자로 설립, 2001년 하이닉스반도체를 거쳐 2012년 최대주주가 SK텔레콤으로 바뀌면서 SK하이닉스로 상호를 변경함. 국내와 중국에 4개의 생산기지와 연구개발법인, 미국, 중국, 홍콩, 대만 등에 판매법인을 운영 중임. 인텔의 NAND사업 인수는 1단계 절차를 완료함. 주력제품은 D램, 낸드플래쉬,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이며, 일부 Fab을 활용하여 시스템반도체인 CIS 사업과 Foundry 사업도 병행함.
Solidigm 연결 편입 및 고용량 제품 판매 확대 등으로 2022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3.8% 증가함(매출비중은 DRAM과 NAND가 각각 63%와 32%). 메모리 수요 부진으로 인한 판가 하락 및 연말 재고평가손실 확대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5.1% 감소함. D램과 낸드플래시의 가격 약세가 올해 상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1분기까지는 재고자산 규모와 재고평가손실액이 감소하기 어려울 전망임.
동사는 OLED의 핵심 구성요소인 유기재료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2014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덕산하이메탈로부터 인적분할 방식으로 신설되었음. 덕산하이메탈에서 화학소재사업부문을 덕산네오룩스로 인적분할하였고 2015년 2월 6일 코스닥시장에 재상장됨. 동사는 OLED의 발광 소재 중 HTL과 Red Host, R Prime, G Prime을 주력으로 양산 납품 중이고, 기타 B Prime 등도 양산 판매를 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7% 감소, 영업이익은 12% 감소, 당기순이익은 16.9% 감소. 동사의 총자산은 3615억원이며, 부채총계는 412억원으로, 동사는 지속적인 영업을 통한 재무안정성 개선을 노력하고 있음. 수익성 지표 측면에서는 ROE가 전년대비 6.7%p 감소한 12.8%, 매출액순이익률이 전년대비 2.5%p 감소한 22.0%임.
동사는 2017년 8월 28일자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음. 지배회사인 동사의 주 사업은 CCM(초소형 카메라모듈)에 장착되는 소형 프레스부품과 자동차부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것임. 동사의 '스티프너(Stiffener)'는 카메라 모듈 내 이물질 침입으로 인한 제품 내부 손상을 방지. 또한 전자파 차단효과가 탁월해 전자파로 인한 장애발생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제고시켜줌.
2022년 12월 연결기준 동사 매출액은 18.9% 증가, 영업이익은 265% 증가, 당기순이익은 216.4% 증가. 동사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면서 매출원가와 판관비는 일부 늘었지만 인건비는 오히려 감소하는 등 비용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대폭 증가함. 영업이익 증가 효과로 인해 이자 및 법인세 비용 부담 증가에도 불구하고 당기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큰 폭 증가함.
동사는 첨단 IT산업의 핵심부품인 FPCB와 그 응용부품을 전문적으로 제조, 공급하는 회사로 전문 FPCB 벤처 기업임. FPCB 제품의 주요 목표시장은 스마트폰, OLDE, LCD모듈, 카메라모듈, 가전용TV, 전장부품 등을 생산하는 세트 메이커임. 고객의 대부분은 삼성전자, LG전자, 삼성디스플레이등 국내 대형 IT제조업체들이며 또한 일본과 중국 등지로 해외 고객 확보에 전력을 다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2.1% 증가, 영업이익은 84.7% 증가, 당기순이익은 76.1% 증가. IT기기의 고기능·고용량화, 경박단소화가 요구되면서 FPCB의 수요 확대로 이어지고 있고, 이에 당사의 고객처가 다변화되어 성장을 이루고 있음. 또한 2022년 자회사를 통하여 차량용 휴대폰 충전사업을 영업양수하여 신규 사업을 시작함.
동사는 소형전지, 중/대형전지 등의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생산/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소형전지는 원형, 파우치 등의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으며 자동차용 중형전지는 고효율, 고용량 리튬이온 2차전지를 개발하고 이를 자동차 완성업체에 공급하고 있음.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에너지 분야에서 활용되는 소재를 개발 및 판매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5% 증가, 영업이익은 69.4% 증가, 당기순이익은 66.9% 증가. 중대형전지 사업은 자동차용 전지의 미주와 유럽향 매출 확대와 고부가 ESS 제품 매출 증가로 매출과 손익 모두 사업 착수 이후 최대의 성과를 올렸음. 전자재료 사업은 OLED와 반도체 등 고부가 제품 중심 신소재 판매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음.
동사는 수동소자(MLCC, 칩인덕터, 칩저항)를 생산하는 컴포넌트 사업부문, 카메라모듈/통신모듈을 생산하는 광학통신솔루션 사업부문, 반도체패키지 기판을 생산하는 패키지솔루션 사업부문으로 구성. 지역별로는 수원에 위치한 본사를 포함 국내에 총 3개의 생산기지(수원, 세종, 부산)와 해외 총 6개의 생산기지(중국, 필리핀, 베트남)를 보유함. 컴포넌트 부문 매출이 43.85%로 가장 큼.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 감소, 영업이익은 20.4% 감소, 당기순이익은 9.9% 증가. 인플레이션에 따른 금리인상 지속, 소비여력 축소 등 경기 불확실성 환경이 예상되나 AI, 서버, 전장 등 새로운 기술 변곡점을 통한 사업기회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와이파이 통신 모듈 사업 매각절차를 진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관련 자산 및 부채를 매각예정으로 분류하였고, 관련 손익을 중단영업손익으로 분류함.
한국 및 DX부문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총괄, SDC, Harman 등 232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임. 세트사업은 TV를 비롯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DX부문이 있음. 부품 사업에는 DRAM, NAND Flash,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DS 부문과 중소형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고 있는 SDC가 있음.
프리미엄 제품판매 확대와 환율 상승으로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지만 반도체 판가 하락 및 세트사업 물류비 증가 등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함. 파운드리 부문은 호조를 보인 반면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LSI는 판매부진, 가격하락과 함께 재고평가손실도 실적에 악영향을 미침. MX사업부는 스마트폰 판매둔화와 중저가 수요약세로 인해 4분기 매출과 이익이 모두 감소함. 네트워크사업부는 국내 5G망 증설과 북미 등 해외사업 확대로 매출이 증가함.
동사는 2009년 02월 18일에 설립됐으며, 2014년 11월 5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높은 온라인 세일즈 역량을 바탕으로 아마존, 네이버 쇼핑과 쿠팡, 라쿠텐, 동남아 라자다, 인도의 플립키트, 타타클릭, 릴라언스지오, 크로마와 가은 온라인 유통채널을 통해 판매를 확대하는 중. 동사는 스마트폰 케이스와 보호필름, 기타 모바일 액세서리 등을 슈피겐(Spigen)이라는 브랜드를 사용하여 글로벌 판매하고 있음.
2022년 12월 연결기준 동사 매출액은 4,45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함. 영업이익은 519.8억으로 다소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은 327.7억원으로 감소함. 동사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와 판관비, 인건비 등 부담은 늘었지만 매출 증가 폭이 커 영업이익 역시 증가함. 북미 지역에서 발생하는 꾸준한 매출과 아시아 지역에서의 매출 성장이 매출액 증가로 이어지며 영업이익 또한 확대된 모습을 보임.
동사는 2000년 2월 23일 설립된 2차전지 보호회로 제품을 주력으로 하며 그 외 2차전지 배터리팩 및 센서 제품을 개발 및 생산 하는 회사임. 향후 전기자동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용 보호회로 및 배터리팩 시장진입을 준비하고 있음. 동사는 NICE 기업집단에 속해있으며, NICE 기업집단은 동사를 포함하여 57개사로 국내법인 44개사, 해외법인 13개사로 구성되어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6%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는 보호회로 사업 뿐만 아니라 배터리 Pack, 센서, 전자담배 사업을 진행 하고 있으며 신규사업으로 자동차 전장, 중형 배터리(노트북, 무선 청소기 등) 시장으로의 진입을 준비하고 있음. 향후 전기자동차 및 에너지 저장장치 등 대형 시장으로 진입 하고자 다양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1949년 11월 설립되어 아연괴 및 기타 유가금속등을 제조, 판매하는 종합비철금속제련회사로 비철금속을 제련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자회사를 통해 인쇄회로기판 제조업, 반도체 패키지업, 용역, 농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당기말 현재 총 14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 중임. 당기말 기준 사업부문별 매출비중은 제련 40.4%, 전자부품 67.6%, 반도체 6.4%, 상품중계 0.4% 및 연결조정 -15.1%로 구성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195.7% 증가. 아연괴 등 제련부문의 실적 호조로 매출액 성장률이 높게 나왔고, 영업레버리지 효과에 따른 영업흑자 전환 및 대규모 순이익을 시현함. 2차 전지 리싸이클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22년 11월 석포제련소 내 건식파일럿 공장을 완공하여 시운전을 완료하였으며, 현재는 습식 파일럿 공장 도입을 추진.
동사는 화학소재 개발 및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동사의 제품은 주로 PCB(인쇄회로기판),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자부품 제조에 이용됨. 현재 보유한 기술력 및 영업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사업범위 확장 중이며, 그 예로는 반도체 기판제조용 도금소재 등의 신규 시장. 제품은 삼성전기 등의 글로벌 PCB 제조사를 통하여 한국, 미국, 중국의 글로벌 전자기기 제조업체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전자기기에 탑재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 증가, 영업이익은 80.6%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원가율 상승과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줄어듬. 주요 제품 중 화학 약품의 가격이 하락하였으나 기판 가공 부문의 제품들의 가격 상승이 매출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파악됨. 송도 연구개발(R&D)센터를 신축하기 위해 537억5,000만원을 신규 시설 투자함.
동사는 위니아로부터 분사되어 설립되었으며 유통사업, 물류사업, Care서비스사업을 영위. 국내 No.1 서비스대행 기업으로 Apple, Electrolux, Sony(SIE) 등 글로벌 제조사 등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WINIA AID LOGISTICS AMERICA, LLC를 청산하고 자회사DAYOU AMERICA, INC.를 설립하였음. WINIA AMERICA, LLC는 2022년 이의 종속회사로 편입되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7% 감소, 영업이익은 35.4% 감소, 당기순이익은 36.4% 감소. 재무적인 측면에서 2022년 연결기준 부채비율 88.5%, 자기자본비율 53.0%로 재무구조 건전성 확보하였음. 2022년부터는 신규사업인 소형가전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연결 대상 종속회사인 DAYOU AMERICA, INC.를 통하여 글로벌 사업 진출을 계획하고 있음.
동사는 이녹스로부터 인적 분할을 통해 신규 설립되었으며, 2017년 7월 10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 되었음. 현재 고분자 합성, 배합 기술을 기반으로하여 FPCB용 소재, 반도체 PKG용 소재, 디스플레이용 OLED 소재등을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IT소재 사업을 하고 있음. 당사는 전세계 대부분의 OLED 패널제조사들에게 OLED 핵심소재를 공급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4% 증가, 영업이익은 0.4% 증가, 당기순이익은 6.5% 증가. 총자산은 4,639억원, 유동자산은 2,730억원이고 당기말 총 부채는 836억원임. 부채비율은 22%로 전년 대비 줄어들었음. 2023년에도 글로벌 통화긴축 지속, 원자재ㆍ에너지 수급 차질의 장기화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클 것으로 전망됨.
동사는 1994년 설립되어 2003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제조업체임. 베트남에 위치한 INTERFLEX VINA CO.,LTD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등이 주요 고객사임. 영풍전자, 비에이치 등이 주요 경쟁사임. 현지 고객 요구에 따라 중국 및 베트남 출자회사에 CAPA 증설 투자를 진행하는 등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 감소, 영업이익은 715.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전기 대비 신규 모델 제품 매출 증가로 이에 따라 영업이익은 크게 상승하였으며 및 당기순손익도 흑자전환되었음. 2022년도 신규 모델 판매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당기순손익이 흑자전환함에 따라 관련 수익성 지표가 전반적으로 개선됨.
동사는 1997년 설립이후 반도체(후공정) 생산용장비 제조전문업체로서의 기술적인 기반을 다져왔고 공압실린더등의 제품개발과 시장확보를 위해서 꾸준히 노력하여 왔음. 창업초기의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기술개발에 투자하여 이제는 동사의 고유장비 및 제품에 대한 국내 및 해외에서 품질에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음. 1997년 설립이후 반도체(후공정) 생산용장비 제조전문업체로서의 기술적인 기반을 다져왔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2% 증가, 영업이익은 19.3% 증가, 당기순이익은 7.7%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 부담이 늘었지만 판관비와 인건비 등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다소 증가함. 영업이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법인세비용 부담 증가 등의 영향으로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함.
동사는 2010년 4월 8일 설립되어, 2012년 1월 26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하이비젼시스템과 합병하였으며, 상호를 ㈜하이비젼시스템으로 변경함. 동사는 주로 휴대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 및 스마트 부품에 대한 공정 및 검사 자동화 장비의 개발 및 제조를 주 사업으로 영위함. 트리플카메라 및 3D카메라 등 더욱 고도화된 처리기능을 가진 신규 카메라모듈이 등장 중에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6% 감소, 영업이익은 42.3% 감소, 당기순이익은 44.5%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며 매출 감소에 따른 매출원가 부담은 줄었지만 판관비와 인건비 부담은 오히려 늘어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함. 법인세 비용 부담 감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 축소 영향으로 당기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대폭 감소함.
1. 새로운 아이폰 모델 출시: Apple은 정기적으로 새로운 아이폰 모델을 출시하는데, 이는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슈입니다. 새로운 아이폰 모델은 주요 기능 개선, 성능 향상, 디자인 변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과 업계에서 화제가 됩니다.
2. 보안 및 개인정보 이슈: 스마트폰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는 항상 중요한 이슈입니다. 아이폰은 사용자 데이터 보호를 강조하고 있으며, 관련된 보안 취약점이나 개인정보 유출 사례에 대한 대응이 관심을 받습니다.
3. 애플 생태계: 아이폰은 애플의 생태계에 속하며, 다양한 애플 서비스와 기기 간의 통합을 강조합니다. 이에 따라 애플 생태계의 서비스 확장, 앱스토어 정책 변경 등이 아이폰 관련 이슈로 떠오를 수 있습니다.
4. 카메라 및 사진 기능: 아이폰은 강력한 카메라와 사진 기능으로 유명합니다. 최신 아이폰 모델은 사진 촬영 및 편집 기능의 향상을 포함하며, 이는 사진 및 비디오 관련 커뮤니티에서 관심을 끌 수 있는 이슈입니다.
5. 충전 및 배터리 관련 이슈: 스마트폰의 배터리 수명과 충전 기술은 항상 사용자들의 관심사입니다. 아이폰의 배터리 수명 연장 기술, 무선 충전 지원, 배터리 관리 기능 등에 대한 이슈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갤럭시 부품주 관련주 TOP39 (0) | 2023.06.26 |
---|---|
IT 대장주 TOP6 (0) | 2023.06.26 |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관련주 TOP8 (0) | 2023.06.25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관련주 TOP24 (0) | 2023.06.25 |
보안(정보) 관련주 TOP39 (2)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