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지표는 Marc Chaikin이 그랜빌의 OBV 개념을 받아들여 수정 개발한 거래량 관련 지표입니다. OBV의 문제점은 주가 움직임 폭의 강약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거래량을 누적시켜 나가기 때문에 하루에도 수없이 변화하는 주가움직임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과, 시작일에 따라 OBV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절대적인 값 자체는 아무 의미가 없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Marc Chaikin은 당일의 종가와 당일 주가움직임의 중간치([고가+저가]/2로 정의)와의 관계를 거래량에 반영한 지표를 만들었다.
short 기간의 (C -L)-(H- C))/ (H-L)*V 의 지수평균 - long기간의 (C -L)-(H- C))/ (H-L)*V 의 지수평균
Chaikin's Oscillator 지표 추가 및 설정방법(키움증권 영웅문)
0600 화면 -> 우클릭 -> 지표추가 -> Chaikin's Oscillator 검색 -> 적용
Chaikin's Oscillator 지표추가
추가한 Chaikin's Oscillator지표를 더블클릭하면 설정화면으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기간을 설정하거나 기준선을 변경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Chaikin's Oscillator 지표 설정
Chaikin's Oscillator 지표 해설
- 괴리도(Divergence) 분석
Chaikin's Oscillator는 이전의 상승에서보다 낮은 곳에서 고점을 형성할 경우에는 약세괴리로 매도신호를 나타내고, 반대로 주가는 신저가에 도달했으나 Chaikin's Oscillator는 이전의 하락에서보다 높은 곳에서 저점을 형성할 경우에는 강세괴리로 매수신호를 나타냅니다.
- Chaikin's Oscillator의 방향전환에 따른 매매기법
이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먼저 주가의 중장기 추세를 파악하여 추세에 순응하는 매매를 해야만 된다는 것입니다. 중장기 추세가 상승 추세일 경우에는 매수신호만을 취하고, 하락 추세일 경우에는 매도신호만을 취해야 합니다. 예를들면 Chaikin's Oscillator가 제로라인 아래에서 위로 상승돌파할 경우에는 매수신호를 나타내는데, 이때 중장기 추세가 상승 추세이면 매수를 해야하지만 중장기 추세가 하락 추세일 경우에는 매수를 해서는 안됩니다.
Chaikin's Oscillator 지표 활용법
괴리도 분석을 활용해 보면 아래와 같이 고점은 올라가고 있는데 Chaikin's Oscillator의 고점은 내려가고 있는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약쇠괴리로 판단하고 매도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Chaikin's Oscillator 괴리도 활용
방향전환의 신호로 사용하기 위해선 전체적인 추세를 먼저 읽어야 합니다. 보통 상승추세의 하단을 잡는데 사용가능하며 하락추세에서는 매도시점을 나타내기때문에 활용하기 힘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