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1997년 국내 외 LCD 및 AMOLED 검사장비의 최첨단 제품 생산 등을 주 영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4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2013년 LCD 백라이트유닛인 도광판 확산판을 제조/판매하는 소재사업을 추가함. 주요 거래처는 삼성디스플레이, 중국의 BOE, 대만의 INNOLUX 등이 있음. 2009년 고객사와의 협력개발을 통해 AMOLED 검사장비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현재 주요 매출품목으로 성장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8% 감소,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135.9% 증가. 물가상승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 연결회사의 매출액은 전년대비 6.8% 감소한 1,481억원, 영업이익은 흑자전환된 69억원을 기록함. 원가절감과 우호적인 환율 등으로 인해 전년대비 손익이 크게 개선됨. 동사는 디스플레이 사업부문 이외 반도체 및 배터리 소재 사업영역 등 신규 시장 진입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임.
동사는 2007년 6월 18일 설립되었으며 교보7호기업인수목적과 2020년 4월 9일(합병등기일) 합병을 완료한 후 사명을 나인테크로 변경함. 법률상 존속회사인 교보7호기업인수목적은 2017년 3월 22일 설립됨. 동사는 이차전지 분야의 공정기술(라미, 스테킹) 및 IT산업 분야의 초고정밀 Align 기술 및 특수 이송시스템 기술을 적용한 공정장비를 개발 및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0.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2차전지 조립공정 장비 및 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 개발 초기부터 제품의 원가절감을 위해 장비 구조 단순화, 생산속도의 향상, 부품국산화 등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음. 장비 공급 후 C/S(Customer Satisfaction)팀을 구성하여 고객의 불편사항 및 제품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해가고 있음.
동사는 2018년 11월 6일 코스닥시장에 기업공개를 실시하였음. 주요 사업은 2차전지 각 공정에 투입되는 전자석탈철기(EMF)를 생산, 판매중이며, 2차전지 주요 소재인 리튬 및 첨가제 임가공업을 영위중임. 탈철장비는 투여하는 원료의 특성에 따라 건식 방식과 습식 방식으로 구분되며 이 때 동사는 습식 EMF 장비를 제조할 수 있는 유일한 업체임. 2021년 4월, 충북 음성에 연산1만톤 이상의 2차전지소재 임가공 공장을 완공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2.9% 증가, 영업이익은 360.2% 증가, 당기순이익은 333.4% 증가. 전방 산업 호조로 인해 동사의 주력 제품인 EMF의 수요 급증과 2차전지소재 사업부의 매출 본격화로 인한 것으로 파악됨. 2015년부터는 동사는 국내 시장의 70% 이상 점유하율 유지해오고 있으며, 중국시장 또한 70% 이상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1995년 1월 1일 대성정공으로 설립되었으며, 2022년 8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음. 동사는 정밀부품, 스위스턴 자동선반, 컴팩트 머시닝 센터의 제조 및 판매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동사는 정밀 부품은 정밀기계, 산업기계 및 각 산업의 중요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부품을 생산하며, 최근 2차전지 장비 및 반도체 장비, 방산부품, IT부품들로 그 산업군을 확장해 나가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 증가, 영업이익은 4.5% 감소, 당기순이익은 71% 감소. 폴더블폰 및 노트북 힌지 부품, MSO-COIL 가공 사업, 수소차 샤프트 등 미래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신규 사업을 준비 중에 있음. 글로벌 2차전지 장비 메이커와 함께 2차전지장비 관련 부품사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또 다른 글로벌 방산기업과는 방위산업 관련 부품사업을 진행 중에 있음.
검사 설비의 제조 및 판매하는 전문업체 핵심 고유기술인 고속 영상처리 및 광학 설계 등의 Vision 기술을 기반으로 LCD와 OLED, TSP 등의 불량을 검사하는 검사장비, Film 검사장비, Laser Cutting 및 연마 장비사업을 영위함. 기존의 광학 설계 및 S/W 처리 기술 등을 응용하여 영상처리 S/W 사업 및 3D 솔루션 사업분야에 신규투자를 진행 중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4.6%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평판디스플레이 검사장비(OLED, LCD, TSP) 분야 매출은 전체 매출액의 81.91%를 차지하고 있으며, 반도체 장비 매출이 전체 매출액의 5.12%를 차지함. SK하이닉스로부터 일부 물량을 수주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고객사의 최종 검수를 거치면서 매출로 인식되어 흑자전환으로 실적 향상이 됨.
2000년 5월에 설립되어 2차 전지 설비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차 전지 설비 중 Notching 설비 및 Folding 설비의 제조 및 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진행함. 국내 최초로 양산 적용에 성공하였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고속 Notching설비의 H/W 및 S/W 기술특허 및 요소기술을 보유하였음. 현재 신규사업으로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과 전고체 배터리 장비 개발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2% 증가, 영업손실은 39.4% 증가, 당기순손실은 60.1% 증가. 동사는 국내 배터리 제조사의 생산능력 확충에 따른 수주 증가와 해외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여 실적이 증가함. 반면, 원자재 가격 상승 및 외주비용 증가에 따른 제조원가율 상승과 해외 프로젝트 셋업비용 증가, 부실자산 정리에 따른 영업외비용이 발생하여 손식 폭이 확대됨.
동사는 LCD, PDP, OLED 등 디스플레이산업에서 중요한 핵심기술인 공정기술과 장비기술을 근간으로 하여 검사장비를 개발, 생산/제작 및 판매하는 종합 장비 제조 업체임. PDP Prober는 가격경쟁력과 우수한 기술 및 품질경쟁력으로 중국업체에 수주를 받아 납품하는 등 해외시장에도 진출하고 있음. LCD 제품에 국한하지 않고 태양광장비, 2차 전지, AMOLED장비 등 신제품 개발에 최우선 목표를 가지고 연구개발에 투자중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7%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이차전지사업부는 레이저 노칭 장비의 대규모 수주 증가로 CAPA 확대 및 인력채용을 증대하였으며, 이에 따라 영업손실은 전년 대비 21억 확대됨. 디스플레이사업부는 신규장비 개발로 인한 R&D 비용와 계약자산의 충당금 설정 등으로 인하여 전년 대비 영업이익은 35억 감소하여 적자 전환됨.
머신비전 및 화상처리를 통한 디스플레이 검사 S/W 개발 및 장비를 제작하는 동사는 국내외 디스플레이 고객사(LGD, Tianma, CSOT, GVO, Semipeak 등)에 LCD/OLED 압흔검사장비 등을 공급. 또한 2차전지 배터리 장비에 사용되는 검사시스템 및 검사장비의 개발 및 제조 사업 영위. 시스콘은 국내 자체 로봇알고리즘 기반 제조환경 AMR 완제품 상용화에 성공.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 증가, 영업이익은 99.2%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액은 전년대비로 2차전지 부문의 지속적인 수주와 디스플레이 부문 매출 증가 및 시스콘의 한성웰텍 흡수합병(10월 1일로 진행)으로 인해서 전기대비 증가. 부품가격의 상승 및 향후 매출증대를 위한 인력충원으로 인한 인건비상승, 로봇 부문 R&D 활동 확대로 매출원가와 판관비가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함.
2002년 9월 설립된 동사는 리튬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전극 제조관련 장비를 전문 제작하며 2차 전지 전공정인 Coater, Calender, Slitter, Tape Laminator 및 기타설비 등을 생산. 코팅공정에서 기존 열풍 방식의 건조 시스템의 틀에서 벗어나 과열증기를 이용한 건조 방식의 코터를 개발하여 생산성을 높임. 슬리팅 공정에는 불량 부분을 식별하는 라벨러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1% 증가, 영업이익은 52.2%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의 거래처인 Britishvolt의 법정관리에 따른 충당금 설정(약 114억원)에 의한 일시적 손실이 반영됨. 주가 하락으로 인해 전환사채 전환가격과 주가(전환 및 평가시점)간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전환사채 평가손익(약 161억원)이 반됨.
동사는 평판디스플레이 설비 장비를 생산 공급할 목적으로 2000년 1월 16일에 설립되었으며, 2005년 10월 11일 코스닥시장 상장. 동사는 LCD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OLED용 평판디스플레이(FPD) 장비를 생산하고, 고객과의 오랜 신뢰 구축과 보유 기술력을 바탕으로 활발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동사는 기존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외에 반도체, 이차전지, MLCC 장비로 사업영역을 확대하여 매출처 다각화에 노력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8% 증가, 영업이익은 38.3% 증가, 당기순이익은 44.4% 증가.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의 큰 증가로 인하여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이 증가하였음. 반도체 패키지 제조 장비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OLED, 스트레쳐블(Stretchable)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대응하기 위한 장비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음.
동사는 배터리 제조 공정 중 극판공정 및 조립공정에 사용되는 2차전지 장비의 초정밀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주요 제품으로 극판 공정 장비에 사용되는 PX-SHAFT 및 KNIFE UNIT과 KNIFE-SPACER, 조립 공정 장비에 사용되는 권심, CUTTER와 초음파 혼, ANVIL, 절연판 금형 등을 생산. MES 시스템 도입을 통한 전 생산공정에 대한 공정관리를 수행하고 있으며, 공정별 품질검사를 통하여 높은 품질을 유지.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3% 감소, 영업이익은 73.1% 감소, 당기순이익은 73.7% 감소. 2022년 8월 코스닥상장으로 인한 상장수수료 발생 및 원자재 단가 인상으로 인한 원가율이 상승함. 동사는 국내 2차전지 제조사들(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의 해외 공장 설립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해외 수출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임.
리튬이온 2차전지 활성화 장비를 생산하는 전문업체로, 현재의 사업영역에서 응용 범위를 확장하여 차세대 GaN 전력반도체 개발 및 사업화를 적극 추진 중임. 전력변환장치(SMPS) 및 인버터 기술을 바탕으로 리튬이온 2차전지 생산공정 중 활성화공정에 해당하는 장비를 공급함. 주요 고객은 LG에너지솔루션 등 리튬이온 2차전지 제조업체들이며, 동사의 설비를 통해 최종적으로 전기차, 휴대폰 등의 배터리를 생산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 증가, 영업손실은 47.9% 감소, 당기순손실은 22.9% 증가. 2차전지 최종 수요처인 휴대폰, 전기차 등 전방산업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미국 시장에서의 신규매출이 발생함에 2022년 따라 실적이 개선됨. 주요 수출 목표 시장은 중국 및 유럽, 미국 시장이며, 2020년 현지 법인 설립(중국, 폴란드)을 통해 사업 활성화, 2021년 10월부터 미국법인 운영 중임.
동사는 2차전지 배터리 생산 공정별 비전검사장비와 태양전지 셀 및 모듈 제조설비 장비 등을 고객의 니즈에 맞게 주문생산 납품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국제표준화기구(ISO)의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한 국제표준인 KS Q ISO 9001 규격을 인증받아 유지 관리를 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품질 개선에 대한 체계 시스템을 갖춤. 동사의 주요 제품인 전고체 배터리 개발 "머신비전검사장비" 업그레이드 및 주문 제작에 대한 양산 대응 중.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 감소, 영업이익은 47.3% 감소, 당기순이익은 26.8% 감소. 동사는 거래처 프로젝트별 수익인식 회계처리(재화 인도기준, 용역 진행률)방식으로 매출인식을 하고 있으며, 기말 수주잔고는 468억원으로 전년 대비 117% 증가하였음. 동사는 높은 수준의 품질 방침을 우선으로 하며, 제품 납품 후 각 SITE에 인적 자원을 파견하며 새로운 검사장비 수요 창출 중.
2003년 4월 설립된 동사는 이차전지 제조장비 중에서 파우치형의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 조립공정 장비 제조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함. 전기자동차용 및 ESS용 이차전지 생산 장비에 집중하고 있음. 동사는 2008년부터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태동기부터 미국의 A123 Systems와 협력하여 세계에서 처음으로 조립공정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 성공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2.5% 증가, 영업손실은 29.7% 감소, 당기순손실은 88.7% 증가. 원자재 가격 상승, 인력 증가에 따른 인건비 상승과 파생상품 관련 손실 발생 등의 영향으로 이익이 감소함. 최근 SKI의 해외공장 투자에 따른 수주가 확대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고 있으며 향후 유럽, 미국지역으로 수주가 증가 할 것으로 예상.
동사는 1999년 11월 설립되었으며, 2차전지 조립공정장비 및 충방전장비(Formation, Cycler 등) 제조 및 납품하는 사업을 영위. 또한 자회사(피앤이시스템즈)를 통해 충전인프라 사업도 함께함. 국내 주요 납품처는 이차전지 제조 3사 등을 확보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해외 고객사와의 거래가 꾸준히 증가. 주력사업인 2차전지 사업 뿐 아니라 폐배터리 사업영역 등의 확장으로 제품 고도화 및 사업 다각화를 진행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3.7% 증가, 영업이익은 73.6% 감소, 당기순이익은 86.3% 감소. 사세 확장 및 투자증가로 인한 영업이익은 감소하였지만 적극적 영업활동에 따른 매출 증가세 유지 중. 이차전지 산업은 전기자동차, 스마트폰, 스마트 그리드, ESS 등의 수요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동사는 신형 IT전지 패키징 장비에 관한 연구 과제를 진행하는 등 제품 및 산업 동향에 대응 중.
동사는 2차전지(양극재, 음극재) 소재 열처리 장비를 제공하는 소성로 사업과, 2차 전지 소재 공정설비 엔지니어링 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포스코케미칼, ㈜에스엠랩, ㈜엘지화학 등에 맞춤형 제품 개발 및 생산 공정 설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 전고체 소재, 탄소섬유 소재 생산을 위한 열처리 솔루션과 폐배터리 재활용 솔루션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0.6% 증가, 영업이익은 11.8% 감소, 당기순이익은 126.3% 증가. 국내에 양극재, 음극재 소재의 열처리 장비를 생산하는 업체 중 해외에 거점들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는 동사가 유일함. 글로벌 시장 진출과 신기술 개발을 위해 독일, 중국, 미국 등에 설립한 관계사들과 글로벌 영업 및 연구 개발 활동을 강화하고 있음.
동사는 산업기계 제작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94년 1월 1일 개인회사로 설립되어 그 이듬해인 1995년 1월 12일 법인으로 전환함. 물, 환경, 에너지 관련 플랜트 및 종합건설을 주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발전업 및 신재생에너지 개발사업, 건축설계, 감리 및 CM 등을 영위하고 있음. 건설부문은 EPC 전문 건설 회사로 One Stop Service 체계를 수립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4%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12,800% 증가. 당기 매출액은 부문별로 플랜트부문 69,705백만원(21.3%), 건설부문 234,639백만원(71.8%), 에너지부문 21,501백만원(6.6%)으로 구성되어 있음. 전년도 신규수주확대로 당기 이월수주잔고가 증가, 건설/에너지부문의 매출액이 증가했고 플랜트부문 원가율 개선으로 영업이익이 증가, 흑자전환하였음.
동사는 머신비전(Machine Vision) 및 화상처리를 통한 전자 부품, 디스플레이,필름 검사 S/W 개발 및 장비를 제작함. 전자 부품 관련 검사장비 관련 CI(Chip Inspector) 사업, 디스플레이 관련 검사장비 사업부인 LI(LCD inspector) 사업, 필름 관련 검사장비인 FI 사업으로 분류됨. 머신비전 기술을 기반으로 한 AI 머신비전 개발, X-ray 검사장비 개발등 신사업 개발 중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1.6% 증가, 영업이익은 211.8% 증가, 당기순이익은 164.3% 증가. 매출증가와 함께 원가율의 감소로(-4.2%) 영업이익율이 크게 개선 됨. 머신비전 검사장비 특성상, 한 라인에 서로다른 업체의 검사장비를 사용하기 어려워, 동사는 칩 외관검사기, 디스플레이 BONDER 라인검사기, 필름검사기는 각 고객사에 단독으로 공급중.
동사는 전기 자동차 및 ESS용 2차전지 제조를 위한 조립공정의 핵심 장비 Notching기, Stacking기, Tab welding기 제작을 영위함. 또한 전기 자동차에 장착되는 배터리 모듈 팩을 조립 생산하는 Module & Packline 자동화 장비제작을 주사업으로 영위함. 또한 신성장 동력 위해 국내 대형 수소연료전지 생산 업체인 두산퓨얼셀에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소재 촉매코팅 양산장비를 납품하며 수소연료전지 시장 진입.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1.7% 증가, 영업손실은 231.5%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의 총 인원 중 약 40%를 초과하는 인원이 연구소 인력으로 근무하며 경쟁사 보다 앞선 기술 경쟁력을 보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신규 제품 및 기존 제품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Notching기 및 Stacking기 부문에서 시장의 우위를 선점함.
1999년 12월에 설립되어, 2022년 1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2차전지에 필요한 분체 또는 액체 형태의 원재료를 혼합하는 데 필요한 믹싱 장비와 그 시스템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현재는 연속식 믹싱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중기 계획으로는 건식믹싱 시스템 개발, 장기에는 전 고체 전지에 대비하여 최적화된 교반기술을 개발할 계획.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77.1%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2차전지 원재료 믹싱 장비 외에도 제약·바이오 및 식품제조 장비도 제조하고 있지만, 매출액 비율은 10% 미만임. 전기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스마트폰 등 2차전지의 수요 증가로 인해 2차전지 제조 등 설비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어 2차전지 사업에 영업력을 집중하고 있음.
동사는 X-ray를 이용한 비파괴 자동검사장비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음. 특히 휴대폰 및 자동차 2차전지 분야에 최적화된 검사장비를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음. 동사는 2008년 6월 설립 이후 현재까지 연구및개발에 매진한 결과 2차전지 X-ray 검사 장비는 국내 및 해외시장에서 견고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음. CATL, LG에너지솔루션, BYD, 파나소닉, SK온,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와 주요 글로벌 고객사들을 확보 중.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2.9% 증가, 영업이익은 49.9% 증가, 당기순이익은 30.6% 감소. 매출 구성은 X-ray 2차전지 검사장비 72.81%, 기타 장비 10.82%, AS 매출 16.37%로 이루어져 있음. 2022년 2분기 중국 고객사 계약취소로 대손충당금과 하자보수 및 공사손실충당금 등 일시적 비용이 반영, 영업이익률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3분기 이후부터는 지속적으로 수익성을 회복 중.
동사는 X-ray 이용한 비파괴 자동화 검사장비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주요 사업군으로는 반도체, 배터리, 식품 이물 자동화 검사장비가 있음. 반도체 검사장비의 핵심 기술로 19년 11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하였으며, 전기차의 수요 및 배터리 폭발로 인한 배터리 검사장비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배터리 검사장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폭발물 탐지/제거 엑스레이 모듈장비와 방사선 치매치료 의료기기 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8.9% 증가, 영업손실은 99.7%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국내 3사(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뿐만 아니라 중국 고객사인 EVE, 텐파워, 그레이트파워, ATL 등 해외 수주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임. 국내외 2차전지(배터리) 업체들이 라인증설을 본격화 하면서 국내외 지속적인 수주 및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유럽, 북미 시장의 신규 고객사를 확대해 나갈 계획임.
동사는 2차전지 및 수소전지 제조공정에 적용되는 SLOT DIE와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 적용되는 SLIT NOZZLE의 제조와 해당 제품에 대한 REPAIR 서비스를 주 영업으로 하고 있음. SLOT DIE 와 SLIT NOZZLE을 사용하는 관련 장비 및 부품에 대한 제조를 기타 사업군으로 두고 있음. 자사 제품 뿐 아니라 타사의 마모된 SLOT DIE와 SLIT NOZZLE에 대해서도 REPAIR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02.9% 증가, 영업이익은 62.8% 증가, 당기순이익은 50.4% 증가. 동사는 각 디스플레이 종류의 공정 변화에 대응하며 제품 공급망을 확대하고 있으며, 주요 매출처로는 국내 대표 디스플레이 회사인 삼성 디스플레이 장비 제작사 세메스임. 납품 후 각 Site에 당사의 C/S인원을 파견하여 Set-up 및 시운전 대응까지 진행하여 차후 새로운 매출 수요를 창출하고 있음.
동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제조업이 필요로 하는 SmartFactory의 필수인 공정 자동화시스템을 제조하는 사업을 영위함. 주력제품인 2차전지 공정 자동화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전체 공정 Full 자동화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현재 글로벌 대형 2차전지 기업들에 납품하고 있음. 2021년 2차전지 소재 및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업인 탑머티리얼의 지분을 인수하여 사업과 연계해 해외 배터리 신규 고객사 수주규모를 확대해 나가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9.1% 증가, 영업이익은 123.4% 증가, 당기순이익은 11.4% 감소. 고객사별 전담 인원을 배정하여 수주경쟁 우위를 확보중이며, 지속적인 AS대응으로 고객과의 신뢰관계를 구축하고 있어 지속적인 수주를 유도함. 2023년부터 차세대 하이망간계 양극재의 샘플 판매를 시작으로 2024년 본격적인 생산과 판매를 계획하고 있음.
동사는 반도체, LCD, LED 및 OLED 및 카메라모듈 공정장비를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하고 있음. 국내에 공정장비 제조공장, 및 R&D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 및 대만에 현지 사무소를 운영중에 있음. 또한 계열회사를 통해 부품과 신소재 관련 제품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음. LCD 장비인 디스펜서는 약 60%의 높은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7% 감소, 영업손실은 39.4% 증가, 당기순손실은 17.6% 감소. 국내 주요 자동차 메이커의 SQ인증 취득으로 자동차용 카메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어 향후 새로운 수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함. 향후 전기자동차의 상용화와 ESS(Energy Storage System) 육성 정책에 따라 BMS 및 중대형 배터리 팩은 새로운 수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함.
동사는 1992년 설립되어, 30년 경험의 FA system 제작을 통해 축적된 노하우와 설계기술 활용하며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단기간 내에 많은 설비 공급을 요구하는 고객에 맞춘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음.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균일한 품질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세계 최대의 생산역량과 최첨단 생산 설비를 구축하여 나노관련 사업을 진행 중에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9.2%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우수한 기술진과 함께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여러 분야로 사업 확대 및 수주 확대가 기대됨. 최근 국내외 기업들의 설비투자와 2차전지 자동화설비, Smart Factory 자동화설비, 디스플레이/반도체 생산설비의 수요 증가 등으로 점차 영업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됨.
동사는 2차전지 제조에 필요한 활물질, 도전재, 결합재, 용매를 혼합하는 믹싱 공정을 운용하는 장비와 그 시스템 제조 및 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함. 동사는 믹싱시스템을 Turn-Key로 수주하는 경우 회사는 믹싱 공정에 필요한 장비뿐 만 아니라 해당 3D Layout에 있는 모든 배관 및 설치물까지를 제조하여 납품. Mixing관련 장비만을 믹싱 시스템과는 별도로 판매하기도 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1%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169.5% 증가. 동사의 분체공급공정 제작품은 2층 구조가 필수요소가 아니므로 고객의 설비투자비 절감 및 유지보수비용의 절감, 분체의 정량 투입 및 생산효율성 탁월에 효과를 보임. 일시적으로 회사의 처리 용량을 초과하는 물량에 대해서는 일부 공정을 외주처리하여 고정비 부담 완화.
동사는 SMT, 반도체, 이차전지 시장의 3D 정밀공정검사장비 제조,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반도체와 2차전지 등 핵심 분야에서 제조 라인의 품질 불량을 검출하는 비전 검사장비를 고객사에 납품함. IT 전자제품 조립 제조공정(SMT공정)중 납 도포와 장착 부품을 3D기술을 이용한 정밀측정검사장비인 SMT검사장비, 반도체검사장비, FC-BGA PCB회로기판 검사장비, 이차전지검사장비 등이 동사의 주요 제품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7% 증가, 영업이익은 56.9% 증가, 당기순이익은 16.5% 증가. 세계 유수의 글로벌 거래처 확보 및 마진율 좋은 장비수주, 비용측면에서 매출액 증가세에 따른 규모의 경제 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소폭의 매출 증가에도 영업이익이 대폭 증가함. SMT사업위주에서 벗어나 반도체후공정 검사장비분야의 진입 및 이차전지리드탭 제조 및 검사장비의 런칭으로 사업다각화를 실현함.
2003년에 설립된 회사로 Roll to Roll 기술을 바탕으로 IT용 소재, 2차 전지의 음극 및 분리막 소재, Copper 등의 코팅 및 슬리터 장비의 제작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음. 디스플레이 소재용 필름 및 전자전기와 소형 및 ESS용 중대형 2차 전지의 분리막/음극/양극 소재, 그리고 회로소재 및 2차 전지용 극박 등 생산하는 장비 등을 개발 및 생산함. 국내 Copper 생산업체 중 LS엠트론에 독점 공급중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6% 증가, 영업이익은 42.9% 증가, 당기순이익은 12.5% 증가. 동사의 국내외 주요 고객사의 지속적인 CAPA 증설은 수주잔고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됨. 최근 소재단의 수주잔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수주 대부분은 전지용 동박 생산 장비로 추정. 글로벌 2차전지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는 장기간 지속될 전망됨.
동사 사업은 OLED 레이저장비 부문과 이차전지 부문, 기타 부문으로 분류됨. OLED 레이저장비 부문은 Rigid 및 Flexible OLED 공정장비 등을 생산함. 이차전지 부문은 Laser Notching 및 Stacking 설비 등을 생산함. 기타 부문은 반도체 공정용 DI노광기, 3D 검사 장비 등을 담당함. 필에너지, 필머티리얼즈 등 5개 회사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7%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OLED 레이저장비, 이차전지장비, 기타부문 모두 매출이 증가했음. 이에 매출원가, 판관비, 인건비및복리후생비 증가에도 영업이익이 흑자전환함. Flexible OLED 고성장세 전망에 전세계 패널 업체들은 설비증설 계획을 발표 중.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가 설비투자를 주도, 일부 중국 업체들도 증설에 가세하는 중.
동사는 2003년 3월 설립되었으며, 2차전지 공정 장비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국내 2차전지 장비업체로는 유일하게 국내 이차전지 제조 3사인 삼성SDI, LG전자, SK이노베이션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 고객사로는 일본의 Murata, 태국의 GPSC 등을 확보하고 있음. 주력사업인 2차전지 장비 분야의 사업 고도화에 집중하는 한편 재생배터리 장비 사업과 디스플레이 가공 장비 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동사는 프랑스 ACC와 각형 2차전지 조립공정 설비 공급계약을 체결 등 해외시장 공급처 다각화를 꾸준히 추진해 유럽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확대할 나갈 예정으로 매출 성장이 기대됨. 2021년 내에 극판공정의 핵심장비를 추가 개발하여 국내 유일의 2차전지양산 Full-Line 장비 제작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임.
1. 생산 라인 기술과 자동화: 2차 전지 생산은 대규모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생산 라인의 효율성과 생산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이슈입니다. 자동화 기술의 도입과 생산 라인의 고도화, 생산 공정의 최적화가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일관성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공정 안정성과 품질 관리: 2차 전지 제조 과정에서의 공정 안정성과 품질 관리는 핵심적인 이슈입니다. 공정 중에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과 품질 관리 체계의 구축이 중요합니다. 생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 오류, 재료 손실 등을 최소화하여 생산 비용을 줄이고 제품의 성능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3. 장비 기술과 혁신: 2차 전지 제조를 위한 장비의 기술 개발과 혁신은 핵심적인 이슈입니다. 생산 라인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한 장비와 기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장비 제조업체들은 장비의 성능과 신뢰성을 개선하고, 생산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4. 안전과 환경 관리: 2차 전지 생산 과정에서는 안전과 환경 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다뤄집니다. 전지 제조 시에 발생하는 폐기물 처리와 배출물 관리,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한 생산 과정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또한, 장비 사용과 유지보수 과정에서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고, 환경 친화적인 생산 방법과 재료 사용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5. 비용 관리와 유지보수: 2차 전지 장비의 비용 관리와 유지보수는 산업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이슈입니다. 효율적인 비용 관리를 통해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장비의 정기적인 유지보수와 고장 시 빠른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이슈들은 2차 전지 산업에서 지속적으로 관리되고 연구되는 영역입니다. 산업의 성장과 기술의 발전을 위해 이러한 이슈들에 대한 연구와 혁신이 계속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3D 프린터 관련주 TOP11 (0) | 2023.06.07 |
---|---|
3D 낸드(NAND) 관련주 TOP18 (0) | 2023.06.07 |
전고체 2차 전지 관련주 TOP19 (0) | 2023.06.06 |
2차 전지 소재, 부품 관련주 TOP49 (0) | 2023.06.06 |
LFP(리튬인산철) 2차전지 관련주 TOP11 (0) | 2023.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