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는 1979년 1월 22일에 단해공압공업 주식회사 로 설립. 1999년 12월 상호를 주식회사 TPC메카트로닉스로 변경함. 공장 자동화부품을 생산하는 공압사업부, 전동 모터 및 리니어모터를 활용한 릭교로봇을 생산하는 모션사업부를 운영 중임. 신규사업으로서 3D프린터 전략팀과 협동로봇 전략팀을 운영. 로봇솔루션파트는 미국 Rethink Robotics사와 대만 Quanta Storage사의 제품을 국내 시장에 판매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4% 증가, 영업이익은 56.9% 감소, 당기순이익은 98.7% 감소. 차량용 반도체 공급이슈 완화 등으로 인한 생산확대, 전기차 시장 확대등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에 힘입어 매출 성장. 단 원가 상승 지속으로 영업이익은 감소. 리니어 모션등 신규사업의 안정화 및 기존 공압시장의 영향력 확대와 신규사업인 바이오-메카트로닉스 사업을 통해 사업의 양적 성장을 이룰 계획
2. 3D 프린터 관련주 - 로보스타(090360)
동사는 1999년 2월 26일에 산업용 로봇 제조업 등을 주목적으로 설립하였으며, 2011년 10월 17일에 코스닥에 상장한 주권상장법인임. 동사는 산업용 로봇과 로봇 기반의 자동화 시스템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산업의 고도화에 대응하는 로봇의 성능 개선을 추진하고 있음. Robot 사업 부문과 공정장비 및 로봇 기반의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System Engineering 사업 부문으로 구분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5% 증가, 영업이익은 700.9% 증가, 당기순이익은 100.9% 증가. 매출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지만 원가율 개선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소폭 증가. 디스플레이, 자동차 산업 외 2차 전지 및 반도체 산업용 제품의 매출 비중을 확대함에 따라 특정 산업의 투자 환경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는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함.
3. 3D 프린터 관련주 - 모아텍(033200)
전자기기, 가전, 자동차 등에 들어가는 소형정밀모터인 STEPPING MOTOR의 생산과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임. STEPPING MOTOR 및 응용제품 매출이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함. 부동산 임대업체 MOATECH REALTY, INC와 MOATECH MANUFACTURING PHILIPPINES.,INC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 증가, 영업손실은 74.5% 증가, 당기순손실은 24.2% 증가. 원화약세, 원재료 가격인상 등으로 인한 원가상승으로 인해 매출이 증가하였음에도 영업손실 발생. 동사는 현재 원가 측면에서 진입장벽이 높은 가전시장에의 확대가 어려운 상황에서 주택설비 시장으로의 진출을 적극 노리고 있음. 주택설비용 제품에 적극 힘을 주는 모습임.
4. 3D 프린터 관련주 - 세중(039310)
동사는 1995년 12월에 "주식회사 한컴리서치"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2000년 6월 코스닥시장에 등록되었음. 주요사업의 내용으로는 여행 사업부문, 에쓰앤씨 사업부문, 정보기술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여행사업은 법인 고객사 임직원의 해외출장 시 개별적인 출장 일정을 총체적으로 담당하여 년간 계약관게로 진행되어 진입장벽이 높아 타사가 진입하기 어려운 시장구조를 갖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8% 증가, 영업손실은 80.6% 증가, 당기순이익은 16.4% 감소. 전년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한 이유는 분할 사업부문으로 퇴직 정산에 따른 퇴직급여 증가로 인한 것. 여행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유통 업체들의 오프라인 매장 증가로 POP 수요가 증가하고, COVID-19 영향이 감소해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임.
5. 3D 프린터 관련주 - 스맥(099440)
동사는 정보통신장비의 개발,제조 및 관련 소프트웨어의 개발, 판매 등을 주 목적사업으로 1996년 3월에 설립됨. 동사는 공작기계, 자동화 장비, 융복합 장비, 로봇 등을 제조하는 기계사업부문과 이동통신장비, IP네트워크 장비 등을 제작하는 ICT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기계사업부문은 공작기계 및 관련 부품, 산업용 Robot의 제조ㆍ판매 등을 주요사업으로 함.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1%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코로나 팬데믹에 따라 제조산업 전반에 스마트공장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동사 매출도 크게 늘어남. 판관비와 인건비 절감 성공으로 영업이익 대폭 확대. 국내 공작기계 시장은 현대위아와 디엔솔루션즈가 1,2위를 다투고 있으며, 동사는 업계 3,4위에 위치하고 있다고 추정됨.
6. 3D 프린터 관련주 - 신도리코(029530)
동사는 1960년 7월 7일에 신도교역 주식회사로 설립, 1996년 12월 24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2D & 3D 전문기업으로 A3 복합기는 지난 63년간 국내 복합기 MS 1위의 자리를 한결같이 지켜왔으며, Full Line-Up을 구축하여 다양한 고객과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음. 3D 프린터는 개인용, 전문가용, 산업용 제품 Line-Up을 강화하여 시장에 대응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5%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52.8% 감소. 전년 대비 높은 매출을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환율 및 원자재가격 상승, 영업경쟁 심화, 일부 조직에 대한 인력 조정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적자를 기록함. 2023년은 수익 중심의 체질개선을 통한 내실경영을 실천하고,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적극 찾아 나가면서 지속가능한 경영 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
7. 3D 프린터 관련주 - 에스티아이(039440)
1997년 7월에 설립됨. 지배기업의 주요제품으로는 Chemical 중앙공급 System, 세정 및 Etching 장비, 검사장비 등이 있음. 동사가 개발한 반도체 패키징 공정장비 '무연납 진공 리플로우장비'는 현재 미국업체가 독점하고 있는 시장임. 고도의 기술력이 집약된 장비로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장비 개발에 성공하였고, 매출처 확보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으며 그 결과 최근 중국 진출에 성공하였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2% 증가, 영업이익은 36% 증가, 당기순이익은 28.7% 증가.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매출원가와 판관비, 인건비 등 부담이 가중됐지만 매출 증가 폭이 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늘어나며 수익성 개선됨. 영업이익 증가에도 법인세 부담이 감소되면서 당기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늘어남.
8. 3D 프린터 관련주 - 코렌텍(104540)
국내 최초 인공관절 전문 제조기업으로 2000년 설립한 이래 인공관절의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주요 제품은 인공고관절 및 인공슬관절이며, 척추고정기기, 견관절, 족관절의 연구 개발 및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공. 인공관절 분야는 인공 장기류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산업화하여 육성 가능하고, 차세대 주력 바이오 산업으로 성장 가능한 분야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3.2% 증가, 영업이익은 54.7% 증가, 당기순이익은 133.1% 증가. 전년동기 대비 비용은 소폭 상승하였으나, 매출 구성하는 전 부문에서의 실적 개선을 통한 영업이익의 증가 인공견관절, 척추고정기기, 인공족관절 등으로 제품 라인업을 확장 중임. 생체구조형 관절 모듈의 개발을 위해 서울대학교, 세종대학교 및 ㈜덴티움과 공동으로 연구 진행 중.
9. 3D 프린터 관련주 - 티앤알바이오팹(246710)
동사는 세포프린팅에 필수 재료라 할 수 있는 바이오잉크의 상용화를 완료하였고, 3D 바이오프린팅(세포 프린팅 포함) 시스템을 독자 개발함. 생분해성 인공지지체는 조직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조직의 형성 및 재건에 도움을 주는 제품이며, 두개악안면 재건과 교정 및 성형 2개의 카테고리로 구분됨. 그 외에도 체외실험용 3D 오가노이드 (장기유사체) 및 3D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임.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77.9% 증가, 영업손실은 25.8% 증가, 당기순손실은 85.2% 감소. 현재 자산총계는 759원이며, 부채총계는 366억원, 자본총계는 392억원으로 부채비율은 약 93%임. 제품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의 증가 및 인력충원에 따른 판관비 증가, 기업규모 확대에 따른 신규공장 설립과 그에 따른 비용이 증가했음.
10. 3D 프린터 관련주 - 하이비젼시스템(126700)
동사는 2010년 4월 8일 설립되어, 2012년 1월 26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하이비젼시스템과 합병하였으며, 상호를 ㈜하이비젼시스템으로 변경함. 동사는 주로 휴대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 및 스마트 부품에 대한 공정 및 검사 자동화 장비의 개발 및 제조를 주 사업으로 영위함. 트리플카메라 및 3D카메라 등 더욱 고도화된 처리기능을 가진 신규 카메라모듈이 등장 중에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6% 감소, 영업이익은 42.3% 감소, 당기순이익은 44.5%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며 매출 감소에 따른 매출원가 부담은 줄었지만 판관비와 인건비 부담은 오히려 늘어나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함. 법인세 비용 부담 감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 축소 영향으로 당기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대폭 감소함.
11. 3D 프린터 관련주 - 휴림로봇(090710)
동사는 산업용 로봇 및 지능형 로봇을 생산공급할 목적으로 1999년 11월 29일에 법인전환 형태로 설립됨. 또한, 2006년 12월 5일, 로봇업체로는 최초로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지식기반사회로의 발전에 따라 로봇의 패러다임은 노동대체 수단으로서의 '전통적 로봇'에서 인간 친화적인 '지능형로봇'으로 변화되고 있음. 동사는 산업용로봇 뿐만 아니라 지능형로봇을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사업의 분야를 확대하고 있음.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3.1% 증가, 영업손실은 151.1% 증가, 당기순손실은 57.4% 감소. 신규 지분취득으로 인한 연결범위가 변동됨에 따라 전년 대비 매출이 크게 늘어남. 단 원재료 가격 상승 등 원가율 악화와 판관비, 인건비 등 비용 증가에 따라 적자폭 확대. 동사는 스마트한 퍼스널 로봇 '테미'를 론칭해 서비스 로봇 시장에 본격 진출함.
3D 프린터 관련 이슈
1. 지적재산권 침해: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물체를 제작하는 것은 디지털 파일의 복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지적재산권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파일의 불법 복제 및 판매에 대한 대응 방안과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한 법적 조치가 필요합니다.
2. 제조 산업의 변화: 3D 프린터는 제조 과정을 혁신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대량 생산 방식에서 개별 맞춤 생산 방식으로의 전환으로 인해 제조 산업의 구조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제조 업체들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과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3. 규제와 안전성: 3D 프린터는 다양한 물질과 소재를 사용하여 물체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규제와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특히 의료 분야에서는 생체 물질의 사용과 관련된 규제가 필요합니다.
4. 환경 문제: 3D 프린터는 재료의 효율적인 사용과 재생 가능한 소재의 활용 등으로 인해 환경 측면에서 잠재적으로 이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소재 제조, 폐기물 처리 및 에너지 소비 등에 따른 환경적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5. 교육과 기술 접근성: 3D 프린터는 창의적인 제작과 학습에 많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육 및 기술 접근성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3D 프린팅 기술을 보다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합니다.